싹둑 잘린 성삼문 오동나무
[촬영 한종구 기자]
[촬영 한종구 기자]
(홍성=연합뉴스) 한종구 기자 = 충남 홍성군이 지역 명물로 꼽히던 '성삼문 오동나무'를 베어내 비판 여론이 일자 그 자리에 후계목을 심기로 했다.
26일 홍성군에 따르면 성삼문 오동나무는 조선 초기 집현전 학자이자 사육신 중 한 명인 성삼문 선생이 과거 급제 소식을 전해 들은 부친이 북을 매달아 치며 기뻐했다는 일화로 알려져 있다.
이후 1950년대 고목으로 남아 있던 나무에서 새싹이 돋아나 70년 넘게 자라며 유허지의 상징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홍성군이 최근 '매죽헌 쉼터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원래 오동나무를 포함한 후계목 5그루를 벌목해 논란이 일었다.
문화재적 가치와 지역 정체성을 훼손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군은 충남산림자원연구소에서 성삼문 오동나무 후계목 3그루를 제공받아 성삼문 선생 유허지 내에 심을 방침을 밝혔다.
새로 심을 오동나무는 높이 8∼10m, 직경 40㎝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충남산림자원연구소가 국립산림과학원과 함께 2011년부터 조직배양 기술을 활용해 2014년 대량 증식에 성공한 유전 동일 개체다.
정확한 식재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이르면 올가을 심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무 비용은 지급하지 않지만, 운송비와 식재비는 홍성군이 부담하기로 했다.
홍성군 관계자는 "지역민 정서 회복과 역사적 상징성 복원을 위한 조치"라며 "생육 환경을 정비하고 향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