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명동거리 공실 상가, 연합뉴스
[서울경제]
전국 소상공인 대표 기관인 소상공인연합회(소공연)가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 이와 함께 업종별 차등적용, 주휴수당 폐지도 강력하게 주장했다.
26일 송치영 소공연 회장은 여의도 소재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최저임금 소상공인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겠다. 내년도 최저임금만큼은 무조건 동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송 회장은 “38년 동안 최저임금은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오르기만 하는 최저임금을 더 이상 버텨낼 재간이 없다”며 “소상공인들이 IMF때보다, 코로나19 때보다 더 심한 경기 불황으로 역대급 위기에 처해 있다”며 “설상가상으로 미국발 통상전쟁으로 올해는 GDP 성장률 1%도 힘든 암울한 실정”이라고 전했다.
통계청의 숙박 및 음식점업 생산지수 추이에 따르면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3년 2월 이후 22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업 생산지수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최장기 침체 기록이다.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매출 평균은 1년 전보다 0.72% 감소한 약 4179만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정부에 폐업 지원금을 신청한 자영업자는 급증했는데 1분기 원스톱폐업지원 신청 건수는 2만3785건으로 작년 동기보다 64.2% 늘었다.
송 회장은 174만명으로 역대 최고를 경신한 주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근로자 증가세를 근거로 들며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번 2026년도 최저임금 심의과정에서 최저임금 동결을 제1의 기치로 내걸고 업종별 차등 적용, 주휴수당 폐지를 주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역대급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이번만큼은 최저임금 동결로 적정 임금 유지를 통해 최소한의 희망을 보여줘야 한다”며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에 최저임금과 관련한 공개토론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