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과 중국이 대중, 대미 관세를 각각 30%와 10%로 향후 90일간 낮추겠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당초 예상을 뛰어넘는 대폭 인하란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 중국은 이날 관세에 관한 구체적인 합의 내용을 담은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관련 첫 미·중 고위급 협상에서 이뤄진 합의에 따른 것이다. 이번 합의로 미·중 관세 전쟁으로 인한 시장의 우려가 일정 부분 완화할 것이란 관측이다.

외신에선 "세계 최대 두 경제 대국 간의 무역 긴장이 완화하는 신호"(미 CNBC 방송) "이번 합의는 미·중 간의 무역을 중단시킨 교착 상태를 깨뜨릴 것"(뉴욕타임스)이란 평가가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오른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연합뉴스


미·중 "관세 대폭 낮췄다…115%포인트 인하"
합의 내용에 따르면 미국은 중국 상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145%에서 30%로 낮춘다. 중국은 미국산 제품에 매겼던 보복관세를 125%에서 10%로 인하한다. 각각 상호관세를 115% 포인트 인하하기로 합의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미국의 경우 올초 중국에 부과한 좀비 마약 펜타닐 관련 관세 20%와 상호관세 중 기본관세 10%를 남긴 것이다. 중국도 최소한의 10% 상호관세를 남겨뒀다. 이에 따라 미·중은 펜타닐 관련 관세 20%를 제외하면 각각 10%의 상호관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양국은 인하된 관세를 오는 14일부터 90일간 한시적으로 적용한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양국은 90일간의 유예에 합의하고 관세 수준을 대폭 낮췄다"며 "상호관세를 각각 115%포인트 인하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들어 미·중 양국은 서로에 대한 보복관세를 반복하며 관세가 양쪽 모두 100%를 넘어갔다. 때문에 이런 가운데 이틀간 열린 미·중 고위급 마라톤 협상에선 양국이 '폭탄 관세'를 어느 정도 인하할지가 최대 관심사였다.

이번 협상엔 미국의 베센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중국의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리청강 상무부 국제무역담판대표 겸 부부장 등이 참석했다.

협상을 마친 미국과 중국은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평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전면적인 (미·중 무역 관계의) 리셋(재설정) 협상이 있었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양국의 관세 인하는 50~80% 수준이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개시 직전인 지난 9일 대중국 관세 관련 "80%가 적절하다"고 밝혔다. 미국이 대중국 관세를 50%로 인하하는 걸 고려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도 나왔다.

트럼프 미 대통령. 신화통신=연합뉴스


예상 뛰어넘은 인하 배경은…"경제적 타격" 공통 위기감

그러나 예상을 뛰어넘는 대폭 인하 배경엔 양국의 강대강 충돌이 계속되면 미·중 모두 회복하기 어려운 경제적 타격을 입을 것이란 공통의 위기감이 작용했단 분석이다. 베센트 장관도 이날 "우리(미국과 중국)는 이번 협상을 통해 공통의 이해관계가 있단 결론을 내렸다"며 "모두 디커플링(탈동조화)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합의는 양국 기업의 숨통을 트이게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선 미·중 무역 전쟁이 지속될 경우 "곧 마트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것"이란 월마트 등 미 4대 유통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의 경고가 나왔다. 이에 많은 미 기업들이 미·중 양국의 관세율 인하 합의를 기다려왔다. 미 수입 업체들은 이번 합의에 대해 "수입 비용 급등을 피하고, 경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환영하고 있다고 미 NBC뉴스는 전했다.

중국으로선 중국 공장들에 대한 대미 수출 주문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압박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전쟁으로 인해 중국 경제는 이미 높은 실업률, 침체된 소비 지출 등 경제적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펜타닐 관련 태도 변화도 이번 합의에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다.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펜타닐 문제와 관련 "현재로서 달라진 건 없다"면서도 "아주 긍정적인 길에 있으며 매우 건설적 대화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펜타닐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 성분의 밀거래를 단속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대해서도 양국이 실질적인 논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신화통신=연합뉴스


"미·중 정상회담 발판…관세전쟁 종식"

양국은 실무진이 참여한 추가적인 무역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양국 합의에 따라 추가 논의는 중국과 미국, 제3국에서 번갈아 진행될 수 있다고 전해진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의 대중 무역 적자를 줄일 구매 협정을 체결할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번 합의는 양국에 해빙 분위기를 조성해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 발판을 마련한 측면도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전문가들을 인용해 "양 정상이 만나는 그 시점엔 실질적인 미·중 관세 전쟁 종식이 가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선 이번 합의가 양국 관계 악화를 완전히 막기엔 역부족일 수 있단 분석도 제기된다.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알리시아 가르시아 헤레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WP에 "이번 합의는 해결책이 아니다"며 "갈등이 천천히 진행되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52 유럽 주요국 "러, 휴전 의지 안 보여…제재 강화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51 美민주당 잠룡 캘리포니아 주지사, 노숙자 문제 해결에 '역점'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50 쿠글러 연준 이사 “미·중 합의 고려해도 관세의 부정적 여파 클 것”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9 침대로 막고 탈출 시도했지만...폼페이 최후의 날, 한 가족의 처절한 사투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8 정명훈, 伊 라 스칼라 ‘247년 역사상 첫 동양인’ 음악감독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7 정명훈, 伊라스칼라 음악감독 선임…247년 역사 아시아 최초(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6 여자 화장실서 비명소리…성폭행하려던 30대, 시민이 잡았다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5 일대일로 참여·경협 강화…美 관세에 뿔난 남미국가들 '중국행'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4 채 상병 묘역 ‘패싱’한 김문수···이기인 “채 상병 누군지도 모르는 게 보수냐”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3 ‘남진 콘서트 뒤풀이 예약’ 사기 피해 ‘주의보’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2 "친구가 마약했다" 날뛰어…놀이터서 마약한 중학생들, 경찰에 덜미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1 ‘전두환 얼굴 가방’ 판 쇼핑몰…5·18재단 항의에 중단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40 [속보] 90일 관세휴전 트럼프…"시진핑과 주말에 통화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9 ‘국회 출동’ 전 수방사령관 부관 “윤, 두번·세번 계엄하면 된다고 해”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8 李 ‘공공지원’ vs 金 ‘시장자율’… 방점 다른 경제공약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7 곡괭이와 삽으로 상가 지하 5m 팠다…구미서 황당 사건, 무슨일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6 40세 미만 여성 ‘미만형 위암’ 조기진단 길 열려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5 출구없는 한국 경제… KDI “경기둔화” 공식 언급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4 마주 앉은 김혜경·설난영…후보 배우자도 ‘대선 레이스’ new 랭크뉴스 2025.05.13
51933 “킥보드 타셨나요? 벌금 6만원입니다”…전국 최초 전동 킥보드 없는 거리, 어디? new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