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리카르도 샤이 후임으로 2027∼2030년 감독직 수행…이사회 만장일치
伊 일간 "베르디 해석 권위자…밀라노 관객이 가장 사랑하는 예술가"


지휘자 정명훈
[대구콘서트하우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로마·서울=연합뉴스) 신창용 특파원 박원희 최주성 기자 = 지휘자 정명훈(72)이 세계적 권위의 오페라 극장인 이탈리아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Teatro alla Scala)의 차기 음악 감독(Music Director)에 선임됐다.

라 스칼라 극장은 12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정명훈이 리카르도 샤이의 뒤를 이어 2027년부터 음악 감독직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1778년 개관한 라 스칼라 극장은 전 세계 성악가에게 꿈의 무대로 꼽힌다. 아시아인이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감독직을 맡는 것은 247년 극장 역사상 정명훈이 최초다.

이탈리아 일간지 라레푸블리카에 따르면 포르투나토 오르톰비나 총감독이 이사회에 정명훈의 음악 감독 선임안을 공식 제안해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정명훈의 임기는 2030년까지로, 오르톰비나 총감독의 임기와 나란히 종료된다.

주세페 살라 밀라노 시장 겸 라 스칼라 극장 이사회 의장은 회의 뒤 "총감독이 이 인사를 제안했는데 이는 그의 권리이자 의무다. 그는 선택의 이유를 충분히 설명했고 나는 대신 평가할 생각이 없다"며 "이사회는 만장일치로 총감독의 제안을 지지했다"고 설명했다.

현 음악 감독인 샤이는 "오페라 시즌 준비에는 긴 시간이 필요한 만큼 이번 결정이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오페라는 작품과 지휘자, 연출, 성악가까지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사전 준비가 필수적이다. 오늘 결정이 적절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알레산드로 줄리 이탈리아 문화부 장관은 이날 "라 스칼라 극장은 전적인 권리와 자율성이 있으며 나는 이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라 스칼라 극장은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작곡가 주세페 베르디의 '나부코'(1842년)와 '오텔로'(1887년), 자코모 푸치니의 '나비 부인'(1904년) 등 수많은 걸작 오페라가 초연된 곳이다.

음악 감독은 극장에서 공연할 작품 선정부터 단원 선발까지 음악적 부분을 총괄한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를 필두로 클라우디오 아바도, 리카르도 무티, 다니엘 바렌보임 등 당대 최고의 지휘자가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 감독을 맡았다.

피아니스트로 시작한 정명훈은 1974년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공동 2위를 차지하며 이름을 알렸다. 이후 1978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부지휘자로 임명되며 지휘자로도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유럽에 진출해 독일 자르브뤼켄방송교향악단 음악감독, 프랑스 국립 바스티유 오페라단 음악감독 등을 역임했다.

특히 라 스칼라 극장과 오랜 기간 관계가 긴밀했다.

1989년부터 아홉 차례 오페라 프로덕션을 맡아 84회의 공연과 141회의 콘서트를 지휘했다. 이는 역대 음악 감독으로 임명된 지휘자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출연 횟수다.

2016년 러시아 볼쇼이 극장에서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를 지휘하는 등 이 극장의 해외 오페라 투어를 지휘한 경험도 있다. 2023년 3월에는 극장 소속 관현악단인 라 스칼라 필하모닉의 첫 번째 명예 지휘자로 추대됐다.

특히 정명훈은 베르디 해석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으며 라 스칼라 극장에서 폭넓은 레퍼토리로 두각을 나타냈다고 라레푸블리카는 전했다. 또한 밀라노 관객이 가장 사랑하는 예술가 중 한 명이라고 이 매체는 평가했다.

정명훈은 독일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수석 객원지휘자이자 파리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명예 음악감독, KBS교향악단 계관 지휘자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28 [가만한 당신] "마지막 나치 전범" 여성의 삶과 재판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7 '영끌' 한계 달했나…서울 주담대 연체율 두달 연속 최고치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6 美 '마트 빌까봐' 中 '공장 놀까봐'…트럼프·시진핑, 90일 관세휴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5 [샷!] '정년 연장'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4 대학 축제 들이닥친 대포카메라들…'홈마존'까지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3 연 7억 벌고 월 800만원 쓴다, 강남도 제친 ‘여의도 부자들’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2 부동산 냉각기에도 강남·‘준강남’은 신고가 행진… 신고가 비중 60% 육박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1 김문수 앞에 놓인 난관 셋…강성이미지, 韓·韓 포섭, 이준석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20 "尹과 관계 끊어라"... 한동훈 안철수 맹공에 김문수 대응 주목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9 칼 빼드나 했는데…이재명, '기재부 해체론' 한 템포 쉬어가나[Pick코노미]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8 뉴욕증시, 미중 관세완화에 ‘환호 랠리’…나스닥 4%↑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7 이재명·김문수·이준석, TK서 3자 격돌…'보수텃밭' 쟁탈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6 [단독] AI위원회 설치, 청와대 이전... 이재명, 하루 단위로 '100일 집권 로드맵' 준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5 이재명의 적은 이재명 이미지? 'YS 성대모사' 유세까지 한다[대선 인사이드]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4 표심 잡을 키워드는 '경제성장'과 '민주주의'... 대선 공약에 담긴 시대정신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3 '금리 8%'에 낚였다…알고보니 연 이자 겨우 6만원, 이 적금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2 도로 달리다 파편에 맞아 사망한 택시기사…’무면허 10대’ 운전자에 참변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1 트럼프 "가장 큰 건 中시장 개방…금주 말 시진핑과 통화할수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10 튀르키예와 47년간 맞선 PKK "조직 해체, 무력투쟁 종식"(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3
47109 하마스, 미국-이스라엘 이중국적 인질 석방…납치 584일만(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