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민심 보니... 결집 안 되고 싸늘하기만"
"韓의 개별 지원 유세, 중도 확장에 효과적"
"韓의 개별 지원 유세, 중도 확장에 효과적"
한동훈(앞줄 가운데) 전 국민의힘 대표가 20일 부산 수영구 광안리해수욕장 일대에서 시민들을 만나 같은 당의 김문수 대통령 선거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부산=뉴시스
'친(親)한동훈계인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21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내건 세 가지 조건이 무리하지 않은데도 김문수 (대선) 후보가 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
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윤 전 대통령) 탄핵을 반대했던 세력과는 완전히 절연하는 게 선거 전략상 옳다"는 주장도 내놨다.조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김문수 후보가 민심 흐름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 생각된다"
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한 전 대표는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으로 △비상계엄·탄핵 반대 입장에 대한 사과와 가담 인물 배제 △윤 전 대통령 부부와의 절연 △대선 후보 경선 중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약속에 대한 김 후보의 공개 사과 등을 제시했었다."尹, 자진 탈당인지 위장 탈당인지 모르겠다"
이와 관련, 조 의원은 "파면당한 대통령이 소속돼 있는 정당의 대선 후보라면 당연히 국민들께 크게 사과해야 한다고 본다"며 "그런데 지금 보여 주는 (김 후보의) 모습은 아쉬운 대목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지난 17일 윤 전 대통령의 국민의힘 탈당에 대해서도 "자진 탈당인지, 위장 탈당인지 모르겠는 상황"이라고 쏘아붙인 뒤,
"제명이나 출당 조치를 통해 윤 전 대통령과 절연하는 게 더 설득력이 있었을 것"
이라고 짚었다.윤 전 대통령 탈당 이후 한 전 대표가 선대위 공식 참여 대신 개별 유세를 하는 건 '전략적 판단'이라는 게 조 의원 설명이다. 그는
"중도층, 무당층, 젊은 층에선 김 후보 지지가 상당히 약하다"
며 "이런 상황에서는 별도로 (유세를) 하는 게 확장성 면에서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고 설명했다. 전날 한 전 대표가 부산 광안리에서 벌인 첫 지원 유세 중 김 후보 이름 언급 없이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돼야 한다'는 식으로만 말한 것에 대해선 "세 가지 요구 사항을 김 후보가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만 했다면, 아마 이름까지 호명하지 않았겠나"라고 말했다.조 의원은 "부산 민심을 보면 상당히 결집이 안 되고 싸늘하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고 했다. 그는 "김문수 후보자의 마음가짐, 선대위 구성이 좀 달랐어야 하는데 전혀 변함이 없다. (영남이 보수의 텃밭이라는) 사고가 그대로 이어진다고 판단한다면 부산뿐 아니라 경남에서도 (득표가) 상당히 어려워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1일 서울 중구 메가박스 동대문점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관람을 마친 뒤 미소짓고 있다. 뉴시스
尹 '부정선거' 다큐 관람엔 "李 1호 선거운동원 자청"
조 의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윤 전 대통령을 향해 날 선 비판을 쏟아내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4일 파면 이후 첫 공개 행보로 이날 '부정선거 의혹' 관련 다큐멘터리 영화를 극장에서 관람했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의 제1호 선거운동원을 자청하고 있는 것
"
이라는 게 조 의원의 평가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본인 때문에 치러지는 조기 대선에서 반성은커녕 (어떻게) 저렇게 뻔뻔할 수 있는지 어처구니없고 한심하다"며 이같이 밝혔다.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부정선거 의혹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관람을 위해 서울 중구의 한 영화관을 찾았다. 전직 한국사 강사이자 '윤석열 탄핵 반대' 시위에 적극 참여했던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도 함께했다. 윤 전 대통령의 이번 '극장 나들이'는 전씨의 초대에 응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