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6.3 대선주자 탐구 6.3 대선에 도전장을 내민 사람들. 나라를 맡겠다는 그들은 과연 누구일까요. 그들이 언제 어떻게 정치 무대에 올랐는지, 정치를 하기 전에는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기억하시나요? 세월이 바꾸는 건 강산만이 아닙니다. 노래 가사처럼 사람들은 모두 변하고 세상이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습니다.

오늘의 추천!더중플은 ‘6.3 대선주자 탐구(https://www.joongang.co.kr/plus/series/282)’입니다. 그들의 사상과 전략, 공약, 지지 기반 같은 것에 천착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들이 걸어온 길을 되돌아보면서 탄생과 성장과 사랑과 투쟁의 이야기, 즉 땀냄새나는 삶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합니다.

기사 전문은 중앙일보의 프리미엄 서비스 '더중앙플러스(https://www.joongang.co.kr/plus)'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선주자 탐구- 두 ‘흙수저’의 군 면제 사연


장면1 “야, 인마, 손 빼!”

순식간이었다. 육중한 프레스가 무서운 속도와 무게로 그의 손을 내리누를 듯 덮쳐왔다. 급히 정신을 차린 소년공 이재명(이하 경칭 생략)이 손을 빼는 순간 프레스기가 그의 왼쪽 손목 바깥쪽을 강하게 때렸다.

그가 15세 되던 해인 1978년 대양실업에서 벌어진 일이다. 소 등가죽을 프레스기로 재단해 야구 글러브, 스키 장갑 등을 만들던 그 회사는 그의 다섯 번째 직장이었다.

이재명은 프레스반 ‘시다’였다. 소가죽 원단을 이리 저리 들고 날랐다. 원단은 무거웠고, 보수는 노동강도에 비해 형편없이 적었다.
소년공 시절의 이재명 후보. 사진 이재명 캠프
‘시다’의 꿈은 ‘프레스공’이었다. 그는 원단을 나르는 틈틈이 어깨너머로 프레스공의 작업을 훔쳐봤다. 쉬는 시간에 기계가 비면 몰래 가서 조작해보기도 했다. 프레스공이 돼야 월급도 올라가고 대우도 좋아질 수 있어서다.

소년공의 열망과 노력에 행운이 겹쳤다. 공장에 유압 프레스기가 들어오면서 기존 숙련공들이 모두 그쪽으로 이동한 것이다. 이재명은 졸지에 프레스공으로 승진해 구닥다리 기계식 프레스기 한 대를 맡게 됐다.

신이 나서 일하던 그에게 어느 날 바로 그 사고가 터졌다. 이재명은 프레스에 강타당한 손목을 부여잡은 채 고통스러워했지만, 병원에는 가지 않았다. 며칠 쉬면 나으려니 싶었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 않았다.

7년 뒤인 1985년, 징병검사장에서 방사선 사진을 보던 군의관이 한숨을 내쉬었다. 이재명은 그때 그가 내뱉은 한 마디를 평생 잊지 못한다.

장면2 “김문수 있소?”

“전데 누구십니까?”

“보안사에서 왔는데.”

뜨끔했다.

“군대에 가야 할 거 같네.”

더 뜨끔했다.

1971년 가을, 서울대에서 잘린 김문수(이하 경칭 생략)는 강제 징집 대상이었다.

대학 입학식 날 둘째 형 김영수(왼쪽)씨와 함께한 김문수 후보. 그는 그로부터 1년 6개월 뒤 강제징집 위기에 처한다. 중앙포토
대구 국군통합병원에 자진 출석한 그에게 보안사 요원이 어울리지 않는 ‘덕담’을 했다.

“너 몸 아픈 데 없지? 군대 잘 다녀와라.”

주저주저하던 김문수가 결심한 듯 입을 열었다.

“저…. 사실 저한테 안 좋은 데가 있는데요….”

거대 양당의 두 대선 후보에게는 공통점이 많다. 둘 다 지독하게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보냈고, 노동자로 오랫동안 살았다. 그리고 군대에 가지 않았다. 면제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발버둥 쳐도 ‘흙수저’임을 부인할 수 없었던 두 후보는 어떻게 해서 ‘금수저’의 전유물로 인식되던 ‘군 면제’ 판정을 받을 수 있었을까. 지금부터 그때 그 상황으로 돌아가 보자.

이재명의 굽은 팔, 군의관이 탄식했다 소년공 이재명이 프레스기에 부상한 그 순간은 실로 아슬아슬했다. 이재명은 훗날 다음과 같이 그때를 묘사했다.

" “0.001초만 손목을 늦게 뺐다면 손 전체가 쥐포처럼 으스러져 한쪽 손이 사라졌을 것이다.” "
최악의 상황을 모면했지만 그렇다고 손이 온전했을 리 없다. 손목은 순식간에 무섭게 부어올랐고, 팔이 몹시 아팠다. 그런데 왜 그는 곧바로 병원에 가지 않았을까.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완전 개판이네" 군의관 비명…이재명·김문수 군면제 사연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947

더중앙플러스 - 6.3 대선주자 탐구 “이 빨갱이! 심상정 불어!” 통닭구이 고문 버틴 김문수[김문수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4

수배고 뭐고 고향 달려갔다…“문수야 안아줘” 엄마의 마지막 [김문수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83

그 여자, 김문수랑 결혼한다고? 경찰은 ‘닭장차 5대’ 보냈다 [김문수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85

욕먹고 여당 간 혁명가 김문수…첫 상대, 무려 박지원이었다 [김문수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2312

김문수에 “밥 한끼 사주고 싶소”…98년 성탄전야, 한 노인의 접대 [김문수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432

43세 김문수, 서울대 졸업…모친의 ‘마지막 유언’ 지켰다 [김문수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86

“니들은 되고 김문수는 안되냐” 30년 동지 홍준표 ‘마지막 의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147

이재명, 수면제 수십알 삼켰다…아버지 죽도록 미웠던 17살 [이재명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76

고졸 따낸 이재명 “최고의 날”…아버지는 “다시 공장 다녀라” [이재명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43

이재명 “저 사시 붙었어요”…부친의 눈물, 그게 임종이었다 [이재명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44

이재명 생가마을서 만난 노인 “재맹이? 아버지 닮아 머리 좋아” [이재명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680

대낮 납치된 성남노조 간부…“이변”이라 불린 청년의 등장 [이재명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95

이재명도 아버지도 움찔했다…“내를 때리소!” 모친의 반란 [이재명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3871

김혜경 “하…이혼해야 하나” 이재명 지갑 속 사진 뭐길래 [이재명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657

허벅지 피멍 가득한 여고생…분노한 이준석, 그때 朴이 왔다[이준석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4999

“우리가 거지냐, 왜 구걸해” 이준석 바꾼 ‘삼성전자 사건’[이준석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63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879 TK 이어 PK… 흔들리는 보수 쟁탈전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8 "지귀연, 룸살롱 접대 의혹" 꺼낸 민주…법조계선 촬영시점 의심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7 법사위, 대법원 대선 개입 청문회…조희대 특검 소위 회부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6 "한국인, 중국인은 안 받습니다"…日 식당 줄줄이 '출입 금지' 내걸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5 “‘윤석열 출당’ 같은 ‘인천상륙작전’을”…김문수는 “대통령 판단에”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4 이재명 “내란세력 ‘깨끗한’ 법정에 세울 것”…윤석열·대법 동시겨냥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3 "임신했다 속여 수억원 요구"…손흥민 협박한 20대 여성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2 "거인 홍준표" 이제야 찬사? 탈당 때도 안 붙잡더니‥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1 이재명 유세장에 뜬 파란 풍선·손거울…의문의 물건들 정체 알고보니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70 중국 “미 펜타닐 명분 관세 여전, 중국 반격도 유효”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9 "당근서 '이것' 거래하면 불법입니다"…적발시 벌금 5000만원이라는데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8 "재판장, 이의있소!" 손 번쩍‥"나가라"던 지귀연 급당황?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7 한미, 5일 밀라노서 첫 환율 협의…"실무 협의 계속 진행"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6 '윤 전 대통령 처가 요양원' 급식업체, 식품위생법 위반으로 과태료 처분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5 [외전인터뷰] 윤호중 "이재명, TK 30%?‥영남 표심 변화 분명해"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4 민주 “지귀연 ‘강남 룸살롱 접대’ 얼굴사진 확보…부인 쉽잖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3 중국 ‘관세 휴전’ 이행…대미 관세 125%→10%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2 “평화의 기회 주겠다”는 트럼프, 14년 만 제재 풀린 시리아···국가 경제 정상화 수순 밟을까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1 김건희 “대선 전엔 안돼” 거부에 소환 조사 불발…촉박해진 ‘검찰의 시간’ new 랭크뉴스 2025.05.14
47860 中, 美 ‘펜타닐 관세’ 반격 조치 해제 안 해… 갈등 불씨 여전 new 랭크뉴스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