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수련병원들 전공의 설문 결과 정부 전달…14일 추가모집 정식 건의
전공의들 스스로 타진한 '즉시 복귀' 희망자는 최소 200명 이상
정부, 5월 추가 모집 긍정적으로 검토할 듯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권지현 기자 = 복귀를 원하는 사직 전공의들의 규모가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면서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14일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한다.

수련병원장 등 의료계 '대선배'들이 나서서 특례를 얻었던 앞선 사례와 달리 이번에는 전공의들이 스스로 복귀 뜻을 밝힌 만큼 정부가 추가 모집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커졌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들의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이날 0시까지 닷새간 진행한 설문 결과를 저녁 회의를 거쳐 최종 정리한 후 보건복지부에 전달했다.

애초 적지 않은 중복 참여로 전체 사직 전공의 수(1만여명)보다 많은 인원이 응답했기에 보정 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수련병원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정확한 수치를 말할 수는 없지만, 일단 대한의학회를 통해 중복을 걷어내니 참여자가 3분의 1로 줄었고, 조건부 복귀를 합치면 과반이 돌아오겠다고 했다"며 "다만 즉시 복귀는 전체의 한 자릿수 퍼센트 수준"이라고 말을 아꼈다.

전공의들의 '복귀 조건'은 입대한 사직 전공의들의 제대 후 복귀 보장,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논의 등이다. 이 조건을 다 충족하긴 어려운 상황인 만큼 '즉시 복귀' 의사를 밝힌 백명 단위의 응답자가 5월 복귀 희망자로 추정된다.

수련병원협의회 관계자는 "정부에서 검증한 기관에서 중복 참여를 제거해서 설문 결과를 공식 발표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별개로 의사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진행된 설문에서는 즉시 복귀를 희망하는 전공의가 최소 200∼300명가량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선 대한의학회 요청에 따라 오픈채팅방을 통해 시작된 '5월 전공의 모집 요청을 위한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 조사'에서는 이달 7일 기준 200명 안팎의 전공의가 익명으로 복귀 의향을 내비쳤다.

전공의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 사직 전공의가 4∼11일 진행한 또다른 설문에서는 88명의 전공의가 복귀하겠다는 뜻을 실명으로 밝혔다.

이들 두 설문의 참여자가 중복될 가능성을 고려하더라도 적어도 200명 이상은 즉시 복귀를 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익명을 요청한 한 의료계 관계자는 "2000년 의약 분업 당시처럼 전공의들이 100% 돌아오는 건 아무도 상상조차 하지 않겠지만, (설문 결과) 200여명보다는 더 돌아올 것 같다"며 "전공의들이 솔직하게 말을 못 해서 그렇지, 정부가 5월 모집을 열어주면 돌아올 친구들이 분명히 많을 것"이라고 봤다.

연이어 여러 설문들의 결과가 나옴에 따라 의료계 입장에서는 5월 추가 모집의 전제 조건으로 '복귀 의사 확인'을 내건 정부를 설득할 최소한의 명분이 쌓였다.

복지부 관계자는 설문 결과에 대해서는 함구하면서도 "협의회에서 설문 결과를 토대로 내일(14일) 전공의 복귀를 건의할 걸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협의회가 5월 추가 모집을 건의해 온다면 검토 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행 규정상 전공의들은 수련 공백 기간이 3개월을 넘으면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올해 수련이 3월에 시작했기에 이달 말까지 수련에 복귀하지 않으면 응시 대상자들의 전문의 시험 응시 기회는 사라진다.

만일 정부가 5월 추가 모집의 문을 열어줄 경우 복귀자들은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한 뒤 석 달간의 추가 수련을 통해 전문의가 된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17 ‘캐즘’ 이후 준비하는 포스코…1.6조 규모 유상증자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6 사법부 압박 나선 민주당… ‘법 왜곡 판검사 처벌법’ 발의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5 ‘민간인’ 김건희 “대선에 영향 우려”…황당 이유로 검찰 출석 거부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4 '한덕수측' 이정현·김기현, 김문수 캠프 공동선대위원장 합류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3 젤렌스키의 튀르키예 초대, 푸틴 대신 트럼프가 ‘화답’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2 시골 마을에서 불법 대리모 수술‥적발되자 마취 여성 버리고 줄행랑 new 랭크뉴스 2025.05.14
47511 美 4월 물가 예상보다 낮은 2.3% 상승…관세쇼크 아직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10 빈 살만 만난 트럼프 "정말 좋아해"…'전략적 경제동반자 협정'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9 美 트럼프, 사우디 빈살만 만나 “기쁘다”…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 체결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8 中 "14일부터 對美 추가관세율 125→10%"…미중 무역합의 이행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7 민주, 법 왜곡한 판·검사 처벌법 발의…최대 징역 10년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6 동심엔 '절제' 요구‥초호화 비행기 선물에는 '진심'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5 "오늘의 주인공은 한국" 일본 10대 사로잡은 K컬처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4 얇아도 단단, 열 분산장치까지…삼성 ‘초슬림폰’ 시장 선점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3 계약 무산 '체코 원전' EU 위원까지 발목잡기‥'프랑스 몽니' 계속되나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2 사우디 아람코, 트럼프 방문날 "美 정유공장 4.8조 투자"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1 김건희 “대선에 영향 우려”…황당 이유로 검찰 출석 거부 new 랭크뉴스 2025.05.13
47500 한국 영화 몰락, 일본 영화는 약진... 칸영화제 78번째 개막 new 랭크뉴스 2025.05.13
» »»»»» 수련병원協, 정부에 '전공의 5월 모집' 건의…복귀 길 열릴 듯 new 랭크뉴스 2025.05.13
47498 20개월 딸 출생신고 못한 '미혼부'‥'헌법불합치'에도 법 개정 않는 국회 new 랭크뉴스 2025.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