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혹 휩싸인 논문 다수는 예술 등 비이공계 분야 연구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6월30일 서울 여의도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전혀 문제가 없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가 ‘이공계 관행’을 언급하며 연구 윤리 위반 논란에 휩싸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옹호하고 나섰다. 학계에선 황당하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연구 분야별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이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학문 별 차이로는 설명하기 힘든 논문 작성과 연구의 기본 원칙을 훼손했다고 봐서다.

문 수석부대표의 발언은 11일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나왔다. 그는 “보통 교수가 외부에서 가져온 프로젝트에 (대학원생이) 공동 참여해서 그걸 토대로 석사학위 논문을 쓴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경우) 공동저자로 교수도 제자와 함께 이름 올려 학술지에 제출해도 된다고 이공계 윤리지침에 나와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공계가 다른 학계에 견줘 논문 작성과 심사 기준에 다소 차이가 있는 건 사실이다. 한국과학기술지편집인협의회(KCSE)와 한국연구재단이 펴낸 ‘이공계 연구윤리 및 출판윤리 매뉴얼’(이공계 논문 매뉴얼)에는 “대부분 이공계 연구는 협업의 형태로 이뤄지기에 논문 저자는 지도교수나 책임연구원을 포함한 다수가 된다”며 “이 점은 인문계열의 경우와 아주 다르다”라고 나와 있다. 이 매뉴얼은 “인문계열, 특히 문학, 사학, 철학에서는 ‘논문 작성시에 일어나는 사고의 발전이 논문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학생이 적성한 논문에는 지도교수가 저자로 함께 들어가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해 학생이 단독 저자가 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쓰여 있다.

문제는 이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단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한 대학의 이공계 전공 교수는 한겨레에 “제자 학위 논문을 인용 없이 자신을 제1저자로 넣어 발표하는 행위가 이공계 관행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제자 논문을 그대로 옮겨오면서도 저자에 제자 이름을 뺀 이 후보자의 논문 사례를 겨냥한 것이다. 인용이나 주석 표기와 같은 논문 작성의 기본 규칙도 지키지 않은 사례도 적잖다. 실제 앞서 언급한 이공계 논문 매뉴얼에도 제자 논문을 적절한 출처 표기 없이 활용하거나, 저자의 기여를 누락하는 행위를 용인한다는 내용은 없다.

충남대 연구윤리지침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연구자가 속한 학문 분야에서 윤리적 또는 법적으로 비난을 받을만한 행위인지 여부 △학계의 관행과 특수성 등을 두루 고려해 연구부정행위를 판단한다고 돼 있다. 이 후보자가 주로 활동한 한국색채학회 또한 연구윤리 관련 규정에도 “다른 사람의 글을 인용하거나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차용(참고)할 경우에는 반드시 주석을 통해 인용 여부 및 참고 여부를 밝혀야 한다”고 쓰고 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또다른 한 교수는 “이공계에만 적용되는 특별한 연구윤리지침은 없다”며 “설사 프로젝트 참여자로서 제자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등의 행위가 이공계 관행이라고 할지라도 학계 전체에 통용되는 기본적인 연구 윤리 지침에 맞게 작성된 건지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 후보자의 논문 147편 가운데 80편가량은 공학 분야가 아닌 예술일반, 디자인, 미술 등으로 분류가 돼 있다는 점이다. 현재 논란이 된 대부분의 논문들도 공학 이외 분야에 속해 있다.

이 후보자 논문을 검토 중인 전국 교수·학술 단체 14곳 연합체인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오는 14일 검증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755 토요일 최고기온도 36도···수요일에 비 소식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54 미 법원 “AI 학습, 저작권 침해 아냐” 잇단 판결···저작권 논쟁 새 국면 맞나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53 [이지 사이언스] "행복해지고 싶으면…오프라인 행사 많이 참석하세요"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52 ‘김건희 집사’ 김씨는 누구?…대기업들의 석연찮은 180억 투자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51 “김건희-노상원 비화폰 통화”, 김태효는 HID와 무슨 일을? [논썰]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50 아이들에게 꼭 양산 씌우세요…기상청이 당부하는 이유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9 사도 바울이 유튜버였다면… ‘좋댓구알’ 대신 ‘말씀·기도’로 소통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8 [단독] 정부, 美협상 위해 ODA 예산 삭감해 국방비 증액 가능한지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7 '강선우 방지법'까지 발의...논란의 여가부 장관 후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6 더위에 수박이 '3만 원'‥"복숭아도 쳐다만 봐"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5 실물경제가 아닌 그림자금융 리스크를 경계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4 사회성 제로 ‘전직 천재’, 엄마로 살다 ‘나’를 되찾다[오마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3 “바람 잘 날 없네”...백종원 ‘수난시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2 '지우학' 주동근 작가 "좀비물 '팬심'서 시작…시즌2 촬영 설레"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1 '억만장자 모임'서 위기 해법 모색한 이재용…글로벌 경영 향방 17일에 달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40 폭염 속 일산 대형마트서 숨진 60대…중처법 위반 여부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9 동해안 몰려든 참다랑어떼…폭염이 바꾼 바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8 드론의 등장은 ‘무죄’…드론 잡는 ‘탄약’에 드론 막는 ‘방탄복’까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7 [단독] "이재현 특명" 올리브영, 도쿄 1호점 낸다…日 뷰티시장 정조준 new 랭크뉴스 2025.07.12
54736 조사 불응에 "모레 나오라"‥'강제구인'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