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참치라고 불리는 참다랑어는 값이 비싼 고급 어종입니다. 대표적인 난류성 어종인데 몇 년 전부터 경북 동해안에서 잡히기 시작하더니 이달 들어 하루 수백 마리씩 올라오고 있습니다. 최근 경북 영덕군 강구항에서 고기잡이에 나섰던 어선에도 이 고급 생선 참다랑어가 가득 찼는데 풍어의 기쁨은 잠시뿐 어민들은 도리어 근심만 가득합니다. 뜨거워진 한반도 주변 바다에서 어족 자원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현장 취재했습니다.
경북 영덕군 강구항에 죽은 참다랑어들이 놓여 있다

■ 고급 어종인데…'골칫덩이' 된 참다랑어

밤사이 작업을 마친 어선이 들어오는 경북 영덕군 강구항의 새벽. 지난 9일 새벽 몇몇 어선엔 사람 몸집보다 큰 참다랑어들이 걸려있었습니다.

강구항 한쪽에는 죽은 참다랑어 수백 마리가 쌓여 있었습니다. 잡아서 제대로만 처리됐다면 한 마리에 수백만 원을 호가했을 텐데 그냥 버려져 폐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참다랑어가 버려진 가장 큰 원인은 너무 많이 잡힌 데다 상품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참다랑어는 드넓은 태평양과 각 나라 연안 수역을 누비는 회유성 어종이라 국제적 관리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매년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WCPFC)가 정하는 국가별 어획 한도량 제한을 받습니다.

올해 경북 영덕에 배정된 물량은 41톤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8일에만 61톤이 잡히면서 이 쿼터를 훌쩍 넘겨 버렸습니다. 남은 물량을 유통할 수 없게 된 겁니다.

게다가 이 참다랑어들은 상품화할 수 없는 것들이었습니다. 참다랑어는 잡히는 즉시 부패하기 시작하기에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잡자마자 급소를 찔러 급사시키고 아가미와 내장을 제거한 뒤 영하 60도 이하로 급속 냉동해야 유통이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날 참다랑어들은 연안 어류의 이동 경로를 막아서 잡는 정치망 어선에 잡혔습니다. 정치망 어선들이 잡은 참치는 냉동 처리 없이 생물로 항구에 옮겨지면서 위생이나 품질 면에서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상태가 돼 결국 폐기 처분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 빠르게 뜨거워지는 바다…해양 생태계도 큰 변화

참다랑어는 아열대성 어종으로 과거에도 동해에서 드문드문 보이긴 했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잡힌 건 이례적입니다.

"날씨가 이상기온 때문에 날이 따뜻하니까 물 수온이 뜨거워지니까 열대성 고기가 많이 오잖아요. 참치가 이렇게 많이 들어온 적이 없거든요." (방윤석/15년 경력 어선 선장)

최근 몇 년 사이 참다랑어 알 분포 조사 결과를 감안하면 이런 일은 훨씬 더 자주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참다랑어 알 밀도 분포도. 2021년 독도 옆에서 발견됐던 참다랑어 알이 2024년엔 동해와 남해 여러 지점에서 채집됐다. <자료: 국립수산과학원>

문제는 이런 일이 더 늘어날 것이라는 점입니다. 우리 바다가 빠르게 뜨거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자료를 보면 우리 바다의 표층 수온은 1968년 이후 지난해까지 57년 동안 섭씨 1.58도 올랐습니다. 해역별로는 동해가 2.04도로 가장 높았는데 전 세계 표층 수온이 평균 0.74도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3배가량 더 오른 겁니다.

원인으로는 동해로 열을 수송하는 쓰시마난류 세력이 강화됐고 여름철 폭염 일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점 등이 꼽힙니다.

폭염특보 일수는 2021년 11.8일에서 지난해 30.1일로 3배 가까이 늘었는데 올해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후 변화의 영향입니다. 지금 기후 변화에 따라서 해수온 상승이 발생하고 있고요. 해수온 상승에 따라서 또 해양 생물의 분포라든지 풍부도 변화도 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김현우 /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자원연구부 연구관)

해수욕장 그물에 걸린 해파리 떼. 해파리 방지 그물 설치는 해수욕장 운영 지방자치단체의 필수 업무가 됐다.

해양 온난화는 바닷속 환경을 빠르게 바꾸고 있는데 변화의 방향은 부정적입니다.

일단 온대 아열대 종이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해파리 출현 해역이 확장되면서 해수욕장의 주요 불청객이 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해양 온난화로 인해 영양염 공급이 줄면서 동해 연안의 기초 생산력이 장기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기초생산력은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생물에 필요한 유기물질을 생산하는 능력을 뜻하는데 2024년 기초생산력은 최근 6년(2018~2023) 평균과 비교했을 때 약 13% 줄었고 중·대형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범위는 연간 1.1% 감소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당장은 변화에 맞춰 새로운 조업 기술 개발도 필요하고 유통 체계 개선도 필요합니다. 관련 연구도 진행되고 있고요. 다만 이들 해법 역시 단기적 방안입니다.

연일 뜨거워지는 대기와 바다. 그 덕에 참다랑어는 더 잡히겠지만 무슨 일이 일어날지는 가늠하기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와 이상 기후 흐름 속에 해답 없는 걱정만 커집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899 조국혁신당 "내란 극우세력 국회서 퇴출…비례성 높은 선거제 도입"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8 조국혁신당 "비례성 높은 국회의원 선거 도입해 내란세력 퇴출"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7 "尹 독방에 에어컨 놔 달라" 항의 민원··· 尹, 14일 특검 출석도 불투명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6 국힘 한지아 “‘강선우 갑질 방지법’ 발의하겠다”…사적 심부름 ‘부당지시’로 규정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5 러 외무 "푸틴·김정은 지속적 소통"…정상회담 가능성 시사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4 “비즈니스 부담되면 ‘이 좌석’ 고르세요”…‘프리미엄 이코노미’ 내세운 에미레이트항공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3 NHK “北·中, 평양-베이징 여객열차 운행 재개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2 나경원 “윤석열 탄핵 반대 왜 사과해야 하냐…이미 탈당”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1 한동훈 "전작권 전환하면 미군 철수할 수도…국민 동의 구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90 강훈식 비서실장 “내각 인선해보니 대통령 눈 너무 높아”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9 윤석열, 14일 특검 출석도 불투명… ‘강제 조사’ 돌입 가능성 제기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8 ‘반구천의 암각화’, 오늘 세계유산 등재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7 대출 규제에도 ‘올파포 로또 청약’에 무주택자 22만 명 몰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6 [단독]윤석열, 국방비서관 종이 전달받고 언성 높였다···격노 전부터 ‘채상병’ 보고받았나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5 신당 창당한다는 머스크, 화성 이주 프로젝트도 ‘독자노선’ 갈까 [김기혁의 테슬라월드]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4 이태원참사 곧 1천일…그리움으로 만든 1천개 보라색 목걸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3 트럼프 '홍콩 국가비상사태' 연장‥홍콩 "헛된 내정간섭"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2 이태원 참사 곧 1천일…그리움 담아 만든 1천개 보라색 목걸이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1 ‘3성’ 수도군단장, 갑질로 정직 징계 중 음주운전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7.12
54880 윤 지지자들, 서울 구치소 앞 석방 촉구 집회 new 랭크뉴스 2025.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