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 언박싱]

이 대통령 ‘청년 기준 상향 공약’ 무색
거꾸로 가는 대통령실 청년 정치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나는 청년이 아니네…아쉽다.”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 팬 커뮤니티 ‘재명이네 마을’에 올라온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채용 기준 게시물엔 이같은 댓글이 달렸다. 대통령실이 청년담당관의 지원 연령을 34세 상한으로 제한해 실질적 청년임에도 지원하지 못하게 됐다는 뜻이다

10일 온라인 공간에선 이처럼 “이 대통령으로부터 ‘중년’임을 공인 받았다”는 푸념이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청년기본법 상 청년을 기준으로 채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행 청년기본법 상 청년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다.

이같은 해명에도 대선 기간 ‘청년 나이 현실화’를 공약한 이 대통령이 막상 집권 이후 공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 대통령은 이번 대선 정책 공약집에서 “100세 시대를 맞아 청년으로 살아갈 권리를 확대하겠다”며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을 감안해 법적 청년 기준을 현실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정치권에선 고령화 여파로 중위 연령이 46.7세로 높아지면서 청년 나이가 상향돼야 한다는 지적이 오랜 기간 지속됐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각종 복지 혜택 등에서 실질적인 청년이 배제되기 때문이다. 실제 각 부처와 지자체 등은 청년기본법의 나이 규정 예외 조항을 활용해 정책 대상자인 청년을 30대 후반에서 40대까지로 규정하기도 한다. 서울시는 가족돌봄청년 지원 연령을 39세로 상향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용만, 김문수 의원이 다양한 청년 기준을 39세로 통일해 상향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김문수 의원은 “고령화가 심한 지역사회에서는 청년 기준 상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크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공약도 이런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에 대통령실이 공약 방향과 역행하면서까지 연령에 대한 세심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의 청년 기준은 45세인데도 수많은 청년 정치인들이 제대로 된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입직 연령도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30대 초반 인력이 들어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심지어 대통령실이 근거했다고 주장한 청년기본법과 동법 시행령은 윤석열정부에서 각 부처에 ‘청년보좌역’ 배치를 위해 개정한 것이다. 청년담당관을 시급히 채용하기 위해 전 정부 기준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소리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에선 “청년 연령 상향이 장기적 공약은 맞지만, 채용 절차를 곧바로 진행해야 해 현실적으로 법 개정 등을 하기엔 시간이 촉박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대통령 비서실 채용은 사실 대통령령인 대통령 비서실 직제 기준만 개정하면 돼 의지만 있다면 수정이 어렵지 않다는 게 정치권 설명이다. 문재인정부 당시에도 대통령 비서실 직제 기준에 따라 1급 청년비서관이 채용됐다고 한다. 한 여권 인사는 “대통령실 인사를 개별법을 따라 뽑는다는 건 이상한 해명”이라며 “대통령 비서실 직제만 수정하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채용 직전에 청년기본법과 다르게 나이 범위를 조정하면 추후 채용된 사람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생길 수 있다”며 “윤석열정부를 ‘시행령 통치’라고 비판했던 입장에서 시행령을 수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147 가담자 석방 차단부터 관련자 줄소환까지‥특검 '속도전' 통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6 채 상병 특검, 10여곳 전방위 압수수색…‘김건희 계좌 관리인’ 집도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5 李, 첫 NSC 회의 주재…“국익 최우선, 남북관계 복원 노력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4 내년 최저임금 시급 勞 1만430원 요구에 使 1만230원 제시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3 尹 수용번호 '3617'…머그샷 찍고 서울구치소 2평대 독방 수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2 [속보] 美국무 "러 외무와 우크라전 관련 '새 아이디어' 나눴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1 박지원에 "의원님 한쪽 눈 없으시잖아요"…시각장애 변호사 사과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40 압수수색 연이어 무산된 김건희 특검···‘초반 속도전’에 매몰 됐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9 일부러 지각하던 尹도 달랐다…“XXXX” 욕설만 남은 서초동 밤 [특검 150일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8 "7월17일 제헌절 진짜 안 쉬나요?"…공휴일 재지정 목소리 높은 이유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7 "나 혼자 싸운다" 모든 혐의는 부인‥尹 최후진술 안 통했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6 주머니에 손 꽂고 끝까지 '묵묵부답'‥넉 달 전처럼 다시 독방 수감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5 미국서 온 여한구 통상본부장 "美,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에 관심 보여"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4 노 1만430원·사 1만230원 최저임금 수정안…민주노총 퇴장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3 [속보] 노동계 1만430원·경영계 1만230원…최저임금 10차 수정안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2 [단독] 디지털 성범죄 가해자도, 피해자도 30살 이하…심각한 ‘또래 범죄’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1 내년도 최저임금 1만230~1만430원에서 결정된다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30 구속되자 "재판 못 나가"‥특검 "강제 구인 검토해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29 '산미 품은' 개미 토핑?… 미슐랭 레스토랑, 식품위생법 위반 검찰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7.10
54128 넉 달 만에 재수감‥두 번 구속된 '내란 수괴' new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