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치 언박싱]

이 대통령 ‘청년 기준 상향 공약’ 무색
거꾸로 가는 대통령실 청년 정치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나는 청년이 아니네…아쉽다.”

지난 7일 이재명 대통령 팬 커뮤니티 ‘재명이네 마을’에 올라온 대통령실 청년담당관 채용 기준 게시물엔 이같은 댓글이 달렸다. 대통령실이 청년담당관의 지원 연령을 34세 상한으로 제한해 실질적 청년임에도 지원하지 못하게 됐다는 뜻이다

10일 온라인 공간에선 이처럼 “이 대통령으로부터 ‘중년’임을 공인 받았다”는 푸념이 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청년기본법 상 청년을 기준으로 채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행 청년기본법 상 청년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다.

이같은 해명에도 대선 기간 ‘청년 나이 현실화’를 공약한 이 대통령이 막상 집권 이후 공약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 대통령은 이번 대선 정책 공약집에서 “100세 시대를 맞아 청년으로 살아갈 권리를 확대하겠다”며 “사회 진출 연령대 상승을 감안해 법적 청년 기준을 현실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정치권에선 고령화 여파로 중위 연령이 46.7세로 높아지면서 청년 나이가 상향돼야 한다는 지적이 오랜 기간 지속됐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각종 복지 혜택 등에서 실질적인 청년이 배제되기 때문이다. 실제 각 부처와 지자체 등은 청년기본법의 나이 규정 예외 조항을 활용해 정책 대상자인 청년을 30대 후반에서 40대까지로 규정하기도 한다. 서울시는 가족돌봄청년 지원 연령을 39세로 상향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김용만, 김문수 의원이 다양한 청년 기준을 39세로 통일해 상향하는 법안을 발의했다. 김문수 의원은 “고령화가 심한 지역사회에서는 청년 기준 상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크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공약도 이런 현실을 반영한 것이었다.

이에 대통령실이 공약 방향과 역행하면서까지 연령에 대한 세심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의 청년 기준은 45세인데도 수많은 청년 정치인들이 제대로 된 기회를 부여받지 못하고 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입직 연령도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30대 초반 인력이 들어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심지어 대통령실이 근거했다고 주장한 청년기본법과 동법 시행령은 윤석열정부에서 각 부처에 ‘청년보좌역’ 배치를 위해 개정한 것이다. 청년담당관을 시급히 채용하기 위해 전 정부 기준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소리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에선 “청년 연령 상향이 장기적 공약은 맞지만, 채용 절차를 곧바로 진행해야 해 현실적으로 법 개정 등을 하기엔 시간이 촉박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대통령 비서실 채용은 사실 대통령령인 대통령 비서실 직제 기준만 개정하면 돼 의지만 있다면 수정이 어렵지 않다는 게 정치권 설명이다. 문재인정부 당시에도 대통령 비서실 직제 기준에 따라 1급 청년비서관이 채용됐다고 한다. 한 여권 인사는 “대통령실 인사를 개별법을 따라 뽑는다는 건 이상한 해명”이라며 “대통령 비서실 직제만 수정하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채용 직전에 청년기본법과 다르게 나이 범위를 조정하면 추후 채용된 사람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생길 수 있다”며 “윤석열정부를 ‘시행령 통치’라고 비판했던 입장에서 시행령을 수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975 [단독]채상병 특검, ‘안보실 파견’ 김형래 대령 겨냥…해병대사령부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7.10
53974 ‘이 대통령 재판 정지 위헌’ 헌법소원 4건 모두 각하 랭크뉴스 2025.07.10
53973 리박스쿨 대표 "전두환 명예회복 어렵게 돼…역사왜곡 안 했다"(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972 이창용 한은 총재 “비은행이 스테이블코인 발행하면 화폐가치 다 달라져” 랭크뉴스 2025.07.10
53971 주말까지 지금같은 '땡볕더위'…이후에도 폭염특보급 무더위 랭크뉴스 2025.07.10
53970 8m 비단뱀 볼록한 배 갈라보니…실종된 남편 시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7.10
53969 3명 숨진 성탄절 아파트 화재 70대 남성 금고 5년 확정 랭크뉴스 2025.07.10
53968 한은 총재 "집값 과열 진정시켜야…조기 '해피엔딩' 불확실"(종합) 랭크뉴스 2025.07.10
53967 “공영주차장에 텐트 설치”… 드릴까지 동원한 민폐 캠핑족 랭크뉴스 2025.07.10
53966 ‘고속 성장’ 방산 4社, 상반기 영업익 2조원 넘는다 랭크뉴스 2025.07.10
53965 [단독] "청문회 무력화" 때린 강선우, 장관 후보되자 39% 미제출 랭크뉴스 2025.07.10
53964 “수영선수도 빠지면 못 나와”···20대 동창 4명 숨진 금강 직접 가보니 랭크뉴스 2025.07.10
53963 "왜 위약금 달라는 거죠?"…제주 여행 피해 3년간 1500건 쏟아졌다 랭크뉴스 2025.07.10
53962 국군보다 수십배 비싼 미군? 트럼프의 ‘수상한’ 방위비 계산법 [취재후/미반환 미군기지]④ 랭크뉴스 2025.07.10
» »»»»» 대통령실 공고에 갑자기 ‘30대 중년’ 인증 쏟아진 이유는 랭크뉴스 2025.07.10
53960 “관광객 몰리는가 싶더니” 제주여행, 항공·숙박·렌터카 피해 속출 랭크뉴스 2025.07.10
53959 안철수 "국힘 광역단체장 후보, 당원이 결정... '완전 당원 공천제' 하겠다" 랭크뉴스 2025.07.10
53958 국회 청문회 나온 리박스쿨 대표 "마녀사냥에 심신미약자 돼" 랭크뉴스 2025.07.10
53957 尹 재구속 후 첫 '내란 우두머리' 재판 불출석 랭크뉴스 2025.07.10
53956 대미협상 시험대 앞에 선 李대통령…최적 '패키지 조합' 고심 랭크뉴스 2025.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