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텍사스, 뉴멕시코주 폭우 피해 잇달아
국립기상청 “당장 고지대로 대피하라”
8일 뉴멕시코주 루이도소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한 주택이 급류에 휩쓸려 떠내려가고 있다. AP뉴스가 관련 영상을 갈무리한 사진이다. AP연합뉴스

미국 남부 내륙 지방에 폭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폭우와 홍수로 최소 110명이 사망(8일 기준)한 미국 텍사스주에 이어, 이웃한 뉴멕시코주에서도 비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강 수위가 한 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5.5m 넘게 상승하면서, 뉴멕시코주는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연방정부에 도움을 요청했다.

8일 뉴멕시코주의 한 산간 마을인 루이도소엔 폭우가 쏟아지며 ‘돌발 홍수’가 발생해 미국 국립기상청(NWS)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에이피(AP) 통신 등이 전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 데이터에 따르면, 오후 3시 약 40㎝였던 리오 루이도소 강의 수위는 한 시간도 채 지나지 않아 6m를 넘겼다. 역대 최고치다.

루이도소 마을에서 집이 떠내려가는 모습. 소셜미디어영상 갈무리

국립기상청은 엑스(X)등을 통해 “홍수로 인해 주택이 떠내려가기 시작했다”며 “강에서 멀어져라. 당장 고지대로 대피하라”고 경고했다. 엔비시(NBC) 등 미국 방송들은 홍수에 집이 통째로 떠내려가는 장면을 담은 소셜미디어 영상을 내보내기도 했다. 에이피 통신은 “(홍수를 피해) 피난하다 익숙한 친구의 집이 떠내려가는 것을 봤다. 믿을 수가 없었다”는 지역 주민의 말을 보도했다. 친구 가족들은 집을 벗어난 상태였다고 했다.

뉴멕시코주 국토안보·비상관리부는 루이도소 지역에서 급류에 휩쓸릴 처지인 사람들 85명을 구조했다고 밝혔다. 루이도소 시장은 “실종자가 3명 있다”고 말했으나 물이 빠져나가기 전까지 정확한 피해 상황을 집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국은 가족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실종 신고를 해 달라고 요청했다.

“아버지와 두 자녀가 물에 휩쓸려 구조대가 추적 중”, “성인 1명과 어린이 2명이 갇혀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고령 여성이 자택에 고립되어 홍수로부터 구조가 필요하다” 등의 글이 국립기상청 데이터 기반 집계 사이트에 올라오고 있다고 비비시(BBC) 방송은 보도했다. 이 마을은 최근 대형 산불로 1400여채가 넘는 건물이 불에 탔는데, 이번 폭우까지 겹치면서 큰 타격을 입었다.

8일, 미국지질조사국(USGS)의 제공 사진을 바탕으로 국립기상청이 엑스(X)를 통해 공개한 사진. 뉴멕시코 루이도소 근처의 ‘리오 루이도소’ 강 수위가 얼마나 빨리 상승했는지 보여 준다. 왼쪽은 오후 3시30분(현지시각)의 상황이며, 오른쪽은 오후 4시에 강둑이 범람한 모습이다. AFP연합뉴스

한편 텍사스주를 비롯한 미국 중남부 홍수 사태 사망자는 8일 현재 110명으로 늘었다. 공식 집계된 실종자만 173명이어서 사망자가 더 늘 수 있다. 지난 4일 텍사스 커 카운티에서 샌안토니오 쪽으로 흐르는 과달루페 강 일대에 폭우가 쏟아지며 1시간 만에 8m 이상 불어난 강물이 범람하며 ‘돌발 홍수’가 발생했다. 공식 집계 이상으로 실종자가 더 있을 가능성도 있다. 강 상류 일대는 캠핑 명소로, 사고 당시 캠핑카들이 얼마나 있었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는 탓에 정확한 실종자 수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은 전했다.

당시 지역민 상당수가 재난 문자 등 충분한 경고를 받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며 책임론이 대두되고 있다. 그레그 애벗 텍사스주지사는 이날 “이번 사태를 점검해 필요한 홍수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말했지만 “모든 축구팀이 실수를 하는데, 지는 팀은 누가 책임이 있는지 지적하기만 한다. 텍사스주는 해결책을 찾겠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홍수가 이 정도 규모일 줄은 예측하지 못했다며 “(강물이) 30피트(9.1m) 쓰나미 벽이 될 줄 누가 알았겠느냐”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 재난 관리 총괄 기관인 연방재난관리청(FEMA) 해체를 주장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해체 주장에서 한발 물러섰다. 그는 6일 ‘여전히 연방재난관리청을 폐지할 생각인지’ 묻는 기자의 질문에 “나중에 논의할 문제고 지금은 그들이 바쁘게 일하고 있으니 그대로 두자”며 답을 피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591 김건희 특검 “‘김건희 집사’ 4월 출국...여권 무효화 예정”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90 ‘3개월’ 여당 검찰개혁 속도전… “신속 입법” “입법 폭주” 공방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9 서부 전역에 폭염특보…오늘도 38도 안팎 폭염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8 '채상병 외압' 뒷선 가려진 김태효 전면에…특검 핵심 피의자(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7 尹 구속영장심사 1시간 휴정…저녁식사 후 오후 8시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6 삼성 자회사 하만, 對이란 제재 위반… 미 재무부와 20억원에 합의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5 포스코, 中 제철소 현지 청산그룹에 매각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4 [속보]‘김건희 집사’ 4월 해외도피 확인···김건희 특검팀, ‘여권 무효화 조치’ 등 본격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3 ‘관세 폭탄’ 다음은 ‘안보 청구서’… 트럼프, 韓·獨·나토 등 동맹에 압박 2막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2 윤 전 대통령 구속 기로…특검 수사 향방은?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1 [단독] 원화 스테이블 코인, ‘규제 샌드박스’로 도입 속도낸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80 이진숙, “임기 내년 8월까지” 사퇴 없다…국무회의 배제 “아쉽다” new 랭크뉴스 2025.07.09
» »»»»» 집이 통째 뜯겨 급류에…강수위 40㎝→6m, 하늘 뚫린 미국 [영상]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8 김건희, 60평 아크로비스타 놔두고…“좁아서 퇴원 뒤 코바나 사무실 생활”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7 걷다가, 일하다가 ‘픽픽’…벌써 8명 숨졌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6 [단독] “군 데이터 방산업체 공유 확대”… 정찰·통신·항적 자료 우선 거론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5 [단독]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발행, ‘규제 샌드박스’ 신청 방침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4 에어컨 무조건 18도 맞췄다간 큰코…'전기료 폭탄' 피하는 꿀팁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3 [속보] 러 "근시일내 김정은 방러 또는 푸틴 방북 계획 없어"<러 매체> new 랭크뉴스 2025.07.09
53572 인천 대단지 아파트 수영장에 ‘락스’ 누출…18명 부상 new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