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뉴스1
대통령 선거 막판 판세가 요동치고 있다. 본투표(6월 3일)는 일주일, 사전투표(이달 29, 30일)까지는 이틀을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10% 안팎으로 좁혀졌다는 복수의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보수·진보층이 각각 결집하고 중도층과 무당층 중 일부가 이 후보 쪽에서 김 후보 쪽으로 옮겨가면서다. 권력 집중을 경계하는 것이 역대 선거에 대체적으로 나타난 표심이었고, 이번에도 권력의 절제와 균형을 주문하는 민심의 흐름이 엿보인다.
이번 대선 역시 중도층이 전통적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전망이다. 23일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 지지하는 후보를 꼽지 않은 의견유보층은 8%로, 이 후보와 김 후보의 지지율 격차를 감안하면 막판 변수가 될 수도 있다. 중도층 사이에서 이 후보와 김 후보 지지율 격차는 24%포인트로 컸지만, 일주일 전 같은 조사보다는 8%포인트 줄었다.
중도층은 합리성을 기준으로 표심을 정하는 성향이 강하다. 남은 선거운동 기간 중도 확장을 위한 합리성 경쟁이 요구되는 이유다. 민주당 강경파가 ‘대법원 개조’를 명분으로 추진한 대법관 100명 증원·비법조인 대법관 임명 입법에 이 후보가 제동을 건 것이나, 김 후보가 대통령의 여당 당무 개입 원천 차단을 공약하고 사전투표 의향을 밝혀 윤석열 전 대통령·극우와의 단절에 한발 더 가까이 간 것은 그 일환일 것이다.
극단적 정치 갈등 봉합과 대통령 권력 분산을 통한 협치는 차기 대통령의 중요 과제 중 하나다. 이 후보의 여야 외교협의체 정례화, 국무총리의 국회 추천 의무화나 김 후보의 낙하산 인사 방지를 위한 K플럼북(대통령이 임명하는 주요 공직자 목록) 도입이나 야당이 추천하는 특별감찰관 임명 공약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상대 후보의 좋은 공약을 수용하겠다는 포용의 자세는 유권자 표심을 자극할 공산이 크다. 네거티브 공방과 고발전 과열양상을 보면 그렇다. 남은 기간 각 후보들이 국민 통합을 위한 경쟁에 나서는 건 어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