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 평행선…파업 눈앞
부산·광주 등 4곳도 예고
부산·광주 등 4곳도 예고
달아오르는 투쟁 열기 임금협상 등에 난항을 겪고 있는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총파업을 하겠다고 예고했다. 노조가 26일 서울 송파구 교통회관 앞에서 ‘총파업 투쟁 승리 쟁취 버스 노동자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문재원 기자 [email protected]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협상에 난항을 겪으며 오는 28일 예정된 시내버스 파업이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최소 3일 이상 파업에 대비할 계획”이라며 비상수송대책 마련에 나섰다. 부산·울산·창원·광주 등의 버스노조도 28~29일 사이 총파업 돌입을 예고했다.
서울시와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26일 회의를 열고 버스노조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 등을 논의했다.
노조가 28일 파업을 시작할 경우 서울시는 대중교통 이용 불편 완화를 위해 지하철을 1일 총 173회 증편하기로 했다. 출퇴근 혼잡시간대도 1시간 더 늘려 운영한다. 지하철 막차는 익일 새벽 2시까지 연장 운행한다.
지난해 버스 파업 당시 일부 운전기사들이 파업 종료 전 업무에 복귀해 임시노선을 운행한 사례가 있다. 올해도 운전기사들의 업무 복귀 정도를 고려해 임시노선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천·경기 버스 노조도 파업에 참여할 경우 수도권 버스 운행이 중단될 수 있어 초중고교와 공공기관에 등교·출근 시간 1시간 연기를 요청하기로 했다.
27일까지 협상 시간이 남아 있지만 노사는 교섭자리를 마련하는 데조차 이견을 보였다. 노조는 이날 버스사업자조합에 “27일 오후 1시에 단체교섭을 하자”는 공문을 전달했지만, 조합은 “수용할 수 없다”고 했다. 조합은 “노조가 제시한 교섭일정은 실무책임자급 협의에서도 전혀 거론된 적 없는 일방적인 내용”이라며 “본교섭 일정은 임금체계 개편 등 현안에 대한 가닥이 잡혀야 진행할 수 있다”고 했다. 노조는 통상임금 확대와 기본급 8.2% 인상을 요구하는 반면 서울시와 버스사업자조합은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사 합의가 불발되면 서울지방노동위원회는 27일 양측에 조정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현재로선 양측 모두 조정안을 거부할 가능성이 높다. 합의가 결렬되면 28일 첫 차부터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된다.
부산·울산·창원·광주 시내버스도 동조파업 돌입이 예고돼 있다. 서울버스노조의 상급단체인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산하 각 지역 노조도 사측인 지역 버스사업자조합과 임단협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통상임금 문제를 놓고 서울버스와 유사한 갈등을 겪고 있는 부산·울산·창원 버스노조는 28일부터, 광주버스노조는 29일부터 파업에 나서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