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브랜드 가맹점 매출 20%↓
백 대표 “석 달만 기다려 달라”
“시장은 하루도 못 기다려” 비판
백 대표 “석 달만 기다려 달라”
“시장은 하루도 못 기다려” 비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지난 3월 28일 서울 서초구 스페이스쉐어 강남역센터에서 열린 첫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을 향해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복되는 ‘백종원 리스크’에 더본코리아 가맹점 매출이 직격탄을 맞았다. 홍콩반점, 새마을식당 등 주요 브랜드 가맹점 매출이 두 달 새 20% 가까이 줄었다. 끊이지 않는 오너 리스크와 더본코리아 본사의 책임 회피에 가맹점주와 투자자에게 피해가 전가되고 있다.
25일 금융감독원이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에게 제출한 카드사 4곳(삼성·신한·현대·KB)의 매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월 이후 더본코리아의 주요 브랜드 가맹점 매출이 가파르게 하락했다. 홍콩반점 가맹점은 하루 평균 매출이 지난 2월 7453만원에서 지난달 6072만원으로 18.5% 줄었다. 같은 기간 새마을식당은 9945만원에서 8190만원으로 17.6% 감소했다. 빽다방은 지난 3월 하루 평균 매출이 전월 대비 11.76% 늘었지만, 지난달엔 1.86%로 증가세가 급락했다.
각종 논란이 매출 감소의 핵심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를테면 ‘농약 통으로 사과주스를 살포했다’는 논란이 불거진 지난 3월 16일 이후 매출 감소 폭이 눈에 띄게 커졌다. 논란 전날인 3월 15일과 3주 뒤인 지난달 5일의 가맹점 매출을 비교하면 새마을식당은 45.3%, 빽다방 28.1%, 홍콩반점은 26.0% 감소했다.
더본코리아는 올해 초 ‘빽햄’의 비싼 가격 이슈를 시작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원산지·함량 허위 표시, 녹슨 엔진 오일 드럼통 조리, 무허가 조리기기 사용 등 기본적인 위생과 안전을 둘러싼 문제들이 잇따라 터졌다. 이에 더해 초상권 일방 사용 통보, 직원 블랙리스트 운영 의혹 등의 문제까지 더해지며 신뢰가 크게 흔들렸다. 현재 경찰이 수사 중인 백 대표 및 더본코리아 관련 사건은 총 14건에 달한다.
독립 리서치 기관 리서치알음은 최근 더본코리아의 목표주가를 1만9000원으로 제시했다. 지난 23일 종가(2만6150원)보다 27% 낮은 수준이다. 백 대표가 최근 여러 공식석상에서 “석 달만 기다려 달라”고 했지만, 단기간에 상황을 반전시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최성환 리서치알음 연구원은 “시장은 하루도 기다려주지 않을 것”이라며 “2분기부터 하락세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브랜드 확장에도 제동이 걸렸다. 올해 1분기 더본코리아 가맹점 수는 지난해 말보다 63개 늘었지만, 같은 기간 빽다방이 67개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나머지에서 4곳이 감소한 셈이다. 더본코리아의 외식 프랜차이즈 25개 중 10개는 신규 출점보다 폐점이 많았다. 4개 브랜드는 출점이 단 한 곳도 없었다. 사실상 ‘제로 성장’ 상태다. 신규 가맹 희망자는 발길을 끊었고, 기존 점주들만 고전하는 모양새다.
투자자 피해도 심각하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주식을 보유한 1만6640명 중 99.5%가 손실을 보고 있다. 평균 손실률은 25.38%로, 투자금의 약 4분의 1이 증발했다는 분석이다.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11월 6일 코스피에 상장돼 첫날 장중 6만4500원까지 급등했으나, 지속적으로 하락한 이후 현재는 2만원대에 머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