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페소 지폐. AFP=연합뉴스
아르헨티나에서 한 여성이 주 정부 실수로 송금된 거액의 돈을 마구 썼다가 논란에 휩싸였다.
24일(현지시간) 클라린과 라나시온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로니카 알레한드라 아코스타라는 이름의 한 서민층 여성은 지난 6일 양육비 8000페소(약 9500원) 입금 여부를 확인하려 자신의 은행 계좌를 조회했다가 5억1000만페소(약 6억원) 상당이 들어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아코스타는 이 돈의 출처를 알아보지 않은 채 곧바로 다양한 물품을 사들였다. 그는 하루 만에 식료품, 냉장고, 에어프라이어, 전자레인지, 텔레비전, 바닥 마감재, 변기 부속을 구매했고 중고 자동차까지 결제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그는 친지 등 6명에게 돈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해당 금액은 아르헨티나 산루이스주(州) 정부 회계사가 잘못 송금한 것이었다. 주 정부는 착오 송금 이튿날인 지난 7일 '행정 실수'를 확인하고 계좌 동결 등을 통해 90% 가까운 돈을 회수했다. 나머지 10%를 되찾기 위해 입·출금 명세 등도 분석 중이다.
경찰은 아코스타와 그에게서 돈을 이체받은 6명에 대해 주 정부 자산을 부정 사용한 혐의로 형사 절차를 밟고 있다. 아코스타는 물건을 사거나 친지에게 송금하는 과정에서 이체를 66번으로 쪼개 진행했는데, 이는 국세청에 소득 증빙을 할 필요 없는 송금액 한도(50만페소·약 60만원)를 맞추려 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아코스타는 현지 방송 인터뷰에서 "돈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라 '신의 선물'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주 정부 돈이었는지 몰랐고, 경찰 수사 대상에 오르기 전까지 누구도 내게 돈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지 않았으며, 악의를 갖고 (돈을) 써버린 것도 아니다"라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 사건이 알려지자 온라인에서는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주 정부 행정적 실수를 일반 주민에 전가한다는 취지로 공권력을 성토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반면, 아코스타가 출처를 알 수 없는 거액을 '눈먼 돈'처럼 쓴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