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5년 5월 13일 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해제 약속에 기뻐하는 시리아 홈즈 주민들

■ 트럼프의 시리아 제재 해제, 절망의 땅에 희망

5월 13일 밤, 시리아 다마스쿠스 우마이야드 광장은 14년 만에 가장 뜨거운 밤을 맞았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 리야드에서 시리아 제재 해제를 발표하자,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춤을 추며 환호했습니다.

열흘 뒤인 현지 시각 23일, 트럼프의 약속은 현실이 됐습니다.

미국 재무부와 국무부가 46년간 지속된 대시리아 제재의 첫 해제 조치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내전으로 파괴된 시리아 알레포의 건물들 (2025년 4월 19일)

■공무원 월급 최대 25달러

시리아인들에게 제재 해제가 절실했던 이유는 시리아의 경제 상황이 참혹하기 때문입니다.

시리아 재무장관 모하메드 이슬르 바르니에는 시리아의 현 상황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습니다.

"공무원 최대 월급이 25달러를 넘지 않습니다. 일부는 10달러도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전 막바지엔 이마저도 제대로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시리아 정부 재무부 관계자들은 "백30만 명의 공무원들이 이런 절망적 임금으로 생활해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아사드 전 대통령 얼굴이 새겨진 시리아 파운드 지폐 (2020년 3월)

■83% 증발한 경제, 2천4백만 인구의 90%가 빈곤

숫자들이 말해주는 시리아의 현실은 더욱 참담합니다.

세계은행의 야간 조도 위성 데이터 분석 결과, 2024년 시리아 경제는 2010년 대비 83%가 축소됐습니다.

시리아 정부는 경제 규모가 '절반 축소'됐다고 밝히고 있지만, 세계은행의 진단은 이보다 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겁니다.

UNDP(유엔개발계획)에 따르면 2천4백만 인구의 90% 이상이 빈곤선 이하에서 생활하고 있습니다.

4명 중 1명은 실업자입니다.

2010년 백84억 달러에 달하던 수출은 2024년 10억 달러 이하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가장 극적인 변화는 통화가치입니다.

시리아 파운드는 내전 전 1달러당 47파운드에서 아사드 정권 붕괴 시점엔 2만 2000파운드까지 폭락했다가, 1만 1000파운드 내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은행에서 환전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시민들 (2025년 5월 14일)

■아랍 형제들의 '무제한' 지원 약속

절망적인 상황이지만, 희망이 아예 없는 건 아닙니다.

미국의 제재 해제와 함께 아랍 국가들의 대규모 지원에 나서 시리아 재건의 희망을 키우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시리아 재건을 위해 "상한 없는" 재정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사우디와 카타르는 시리아가 세계은행에 빚지고 있던 부채 천5백50만 달러를 대신 갚아줬습니다.

이로써 시리아는 세계은행으로부터 14년 만에 신규 대출 자격을 회복했습니다.

카타르는 우선 3개월간 매달 2천 9백만 달러씩 공무원 급여를 빌려주기로 했습니다.

UAE는 지중해 연안 타르투스 항구 개발에 8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튀르키예는 연간 20억 세제곱미터의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1000메가와트 전력을 추가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시리아 알레포에서 불도저가 파괴된 건물 잔해를 치우고 있다. (2025년 4월 19일)

■투자자들의 관심, 그러나 50년 이상 걸릴 경제 회복

트럼프의 제재 해제 발표 이후 분위기는 확실히 달라졌습니다.

UAE 거주 시리아 사업가 가산 아부드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제재 위험 때문에 꺼렸던 사람들이 이제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며 투자 계획을 밝혔습니다.

바르니에 재무장관도 "UAE,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투자자들이 문의해 오고 있다"며 "시리아는 모든 분야에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기회의 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중한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UNDP는 지난 2월, 현재 성장률(연평균 1.3%, 2018년~2024년)로는 전쟁 이전 경제 수준 회복에 55년이 걸릴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15년 안에 전쟁 전 수준으로 돌아가려면 최소 연평균 5% 성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제재 해제 효과가 점진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성급한 낙관론을 경계했습니다.

5월 13일 밤 광장에서 기뻐하며 반겼던 46년 만의 제재 해제는 분명 역사적 전환점입니다.

하지만 80% 축소된 경제와 90% 빈곤율이라는 냉엄한 현실 앞에서, 경제 회복은 멀고 험난한 여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54 서울의소리, ‘김건희 여사 명품백’ 항고기각에 재항고···“재수사 필요”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53 이재명, 수도권 집중유세 "당선되면 상법 개정, 주가 올라갈 것"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52 김문수, 박정희 생가 방문 뒤 “박근혜 전 대통령 명예 회복돼야”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51 "결혼하자" 속여 5명에 수천만 원 챙긴 뒤 잠적한 여성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50 이준석 "'부정선거론자' 이재명, 거짓말 일상화‥국민께 사과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9 급한 김문수 쪽, 이준석에 “정치 셈법 없다…단일화는 국민 열망”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8 박정희 생가 찾고, 박근혜 명예 회복 약속… 김문수, 보수층 결집에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7 서울의소리, ‘김여사 명품백 사건’ 항고기각에 재항고…“다시 수사해야” new 랭크뉴스 2025.05.24
» »»»»» 트럼프의 시리아 제재 해제, 절망의 땅에 희망을 심다 [지금 중동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5 "먹으면 절대 안 돼"…700만 원이나 낸 사찰 '제사'인데 음식 재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4 "진짜 망할 수도"...무너진 일본車 자존심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3 "회계사 삶 특별하지 않았다"...1억 연봉 포기한 청소 알바女 사연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2 "정치인 비판했더니 침 뱉은 여친, 상견례·웨딩촬영도 잊고 집회 갔습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1 새끼곰 야생성 지켜주려…곰탈 쓰고 털옷 입는 美동물보호사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40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가 3세 장애 아동 학대…경찰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39 트럼프 밈코인 거액 투자자 행사에 한국인들도 초청받아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38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승인… "19조원 투자해 파트너십"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37 포로교환 직후 키이우에 대규모 공습…젤렌스키 "러 전쟁 끌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36 '위기감' 끌어올린 이재명 "바짝 신경 안 쓰면 내란세력 다시 돌아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335 민주당 "대선 사실상 양자대결‥보수 단일화해도 지지율 떨어질 것"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