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도입이 미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증권가에서 전산 오류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고, 공모펀드 상장 거래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에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어서다.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참여 신청 마감이 아직 끝나지 않은 가운데 자산운용업계는 참여 여부를 고민할 시간을 벌었다. 다만 자산운용사들은 최대 펀드 판매처인 은행권의 눈치를 보느라 진입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공모펀드를 주식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가 도입을 앞두고 있다. 공모펀드 상장 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기존 은행권에서 가입한 펀드의 실물 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일러스트=챗GPT 달리3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당초 올해 6월 도입 예정이었던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가 전산 시스템 개발 지연 등의 이유로 하반기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상장지수펀드(ETF)에 밀려 침체해 있는 펀드 시장을 육성하고자 금융투자협회 주도로 추진되는 제도다. 금융당국은 기존 ‘펀드 판매사 이동 제도’를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에 적용해 상장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펀드 판매사 이동 제도는 기존에 가입한 펀드를 다른 판매사로 이동해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판매사 이동이 가능해지면 대부분 펀드 판매를 맡아 왔던 은행권의 자금 유출은 피할 수 없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단계적으로 도입되는 만큼 당장 큰 규모의 자금 이동은 없겠으나, 자산운용사들은 은행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중소형 자산운용사의 한 관계자는 “직상장 제도가 시행되면 기존에 은행에서 가입한 펀드 자금을 증권사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고 안내받았다”며 “이렇게 되면 은행권에서 자금이 이탈하게 되는데, 주요 판매처인 은행을 자극하면서까지 자산운용업계가 참여할 이유는 크지 않다”고 전했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은행·증권사 창구에서 주로 판매되던 공모펀드를 주식 시장에 상장시키는 제도다. 펀드 클래스 분류 체계에서 X(상장) 클래스를 추가하고, 펀드 총 설정액 500억원, X클래스 70억원 이상을 모집한 경우에 한해서 상장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자산운용업계는 공모펀드 직상장만으로 ETF에 밀린 공모펀드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된 24개 자산운용사의 500억원 이상 펀드는 총 795개로 전체(4533개)의 17.5% 수준으로 상품 선택권이 크게 떨어진다. 이 외에도 ETF와 비교했을 때 투자 편의성이나 수수료 등 주식 시장에서 펀드의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한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굳이 ETF를 두고 주식 시장에서 공모펀드에 투자할 유인이 크지 않다”며 “제도가 도입되더라도 시장이 성장하기 어려워 보이는데, 대부분 펀드 판매를 맡는 은행권과 관계를 껄끄럽게 만들 필요가 있나 싶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공모펀드 이동이 이뤄지더라도 굳이 은행권의 눈치를 볼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자체의 흥행이 보장되지 않은 만큼 이동이 가능해지더라도 은행권에서 자금 이탈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펀드 이동이 가능하더라도 유동성공급자(LP)로 참여하는 증권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기존 투자자의 이전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은행권에서 크게 경계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직상장 제도 도입 초기에는 전체 펀드의 1%도 되지 않는 소수의 펀드만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며 “업권별 자본 이동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240 이준석 “후보 단일화? 정치 공학에 관심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9 20대들 어쩌나...일자리 씨가 마른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8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내 입장 아냐…당내 자중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7 악수하는 김문수 후보-김혜경 여사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6 트럼프 ‘하버드 외국 학생 차단’에 벨기에 왕세녀도 불똥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5 국민의힘 "이재명, 과거 부정선거 발언 부정하며 적반하장식 궤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4 이재명 “비법조인에 대법관 자격, 섣부르다…민주당 입장 아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3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법안 제 입장 아냐…당내 자중 지시”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2 리얼미터 "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1·2위 격차 9%p"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1 “연금도 갈라치나” “3천만 원 손해인데?”…연금 발언 모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30 25년 동안 “하반신 마비” 연기…보험금 18억 챙긴 70대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9 성인용 로봇이 말했다, “우리 친구부터 시작하자”…시작할 수 있을까? [특파원 리포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8 이준석, 국민의힘 단일화 압박에 "이재명 집권 도우미 될 꺼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7 민주당, 권영국 1%에 ‘흠칫’…설난영 광폭행보엔 ‘반색’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6 ‘박정희 리더십’ 띄우는 김문수… 대구서 박근혜 예방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5 [시승기] 몸집 커져도 주행감은 그대로… 미니 컨트리맨 전기차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4 이재명 "비법조인 대법관 섣불러…민주당이나 제 입장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3 청주시, 이름에 ‘마약’ 들어간 간판 바꾸면 최대 200만원 지원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2 이재명, ‘생애 첫 투표’ 고3 표심 잡기…김문수, 박정희 생가서 보수층 결집 new 랭크뉴스 2025.05.24
52221 '극적 휴전' 印·파키스탄, 상호 영공 내 비행금지 1개월 연장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