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모펀드 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도입이 미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증권가에서 전산 오류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고, 공모펀드 상장 거래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에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어서다.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참여 신청 마감이 아직 끝나지 않은 가운데 자산운용업계는 참여 여부를 고민할 시간을 벌었다. 다만 자산운용사들은 최대 펀드 판매처인 은행권의 눈치를 보느라 진입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공모펀드를 주식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가 도입을 앞두고 있다. 공모펀드 상장 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기존 은행권에서 가입한 펀드의 실물 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일러스트=챗GPT 달리3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당초 올해 6월 도입 예정이었던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가 전산 시스템 개발 지연 등의 이유로 하반기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상장지수펀드(ETF)에 밀려 침체해 있는 펀드 시장을 육성하고자 금융투자협회 주도로 추진되는 제도다. 금융당국은 기존 ‘펀드 판매사 이동 제도’를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에 적용해 상장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펀드 판매사 이동 제도는 기존에 가입한 펀드를 다른 판매사로 이동해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판매사 이동이 가능해지면 대부분 펀드 판매를 맡아 왔던 은행권의 자금 유출은 피할 수 없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단계적으로 도입되는 만큼 당장 큰 규모의 자금 이동은 없겠으나, 자산운용사들은 은행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중소형 자산운용사의 한 관계자는 “직상장 제도가 시행되면 기존에 은행에서 가입한 펀드 자금을 증권사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고 안내받았다”며 “이렇게 되면 은행권에서 자금이 이탈하게 되는데, 주요 판매처인 은행을 자극하면서까지 자산운용업계가 참여할 이유는 크지 않다”고 전했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은행·증권사 창구에서 주로 판매되던 공모펀드를 주식 시장에 상장시키는 제도다. 펀드 클래스 분류 체계에서 X(상장) 클래스를 추가하고, 펀드 총 설정액 500억원, X클래스 70억원 이상을 모집한 경우에 한해서 상장을 허용하는 방식이다.

자산운용업계는 공모펀드 직상장만으로 ETF에 밀린 공모펀드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혁신금융서비스에 지정된 24개 자산운용사의 500억원 이상 펀드는 총 795개로 전체(4533개)의 17.5% 수준으로 상품 선택권이 크게 떨어진다. 이 외에도 ETF와 비교했을 때 투자 편의성이나 수수료 등 주식 시장에서 펀드의 장점보다는 단점이 부각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한 관계자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굳이 ETF를 두고 주식 시장에서 공모펀드에 투자할 유인이 크지 않다”며 “제도가 도입되더라도 시장이 성장하기 어려워 보이는데, 대부분 펀드 판매를 맡는 은행권과 관계를 껄끄럽게 만들 필요가 있나 싶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공모펀드 이동이 이뤄지더라도 굳이 은행권의 눈치를 볼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자체의 흥행이 보장되지 않은 만큼 이동이 가능해지더라도 은행권에서 자금 이탈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펀드 이동이 가능하더라도 유동성공급자(LP)로 참여하는 증권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며 “기존 투자자의 이전 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은행권에서 크게 경계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직상장 제도 도입 초기에는 전체 펀드의 1%도 되지 않는 소수의 펀드만 상장이 이뤄질 것”이라며 “업권별 자본 이동에 대한 우려는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85 다음주 코스피200·코스닥150 종목 변경… 편출 종목은 공매도 쏠릴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84 대장내시경 검사 전 부작용 위험 측정할 지표 나왔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83 한동훈 “친윤 구태 청산이 이재명 이기는 길”…국힘 계파갈등 격화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82 스타벅스 갑자기 왜?...대선 끝날때까지 ‘금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81 손흥민 협박녀 의혹에…"저 아닙니다" 분노한 뮤지컬 배우 누구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80 이재명 "비방·헐뜯기 많아져" 김문수 "쏘는대로 명중했다"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9 한동훈 “친윤 구태 청산, 이재명 민주당 이기는 유일한 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8 한동훈 "'친윤 구태 청산'이 이재명 민주당 이기는 유일한 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7 한예슬, 모델료 청구 소송 2심도 승소…"6억6000만원 지급하라"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6 [단독] 지인 신상까지 캐내 협박…불법이자 5억 뜯은 사채업자 징역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5 1초에 180개씩 팔린다는 ‘국민 커피’…“가격 또 오른다네요” [잇슈#태그]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4 6억원 광고 모델료 못 받아 소송 건 한예슬… 고등법원 판단은?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3 ‘의원 끌어내라’ 지시에 충격 …‘잘못됐다’ 생각에 메모까지 [피고인 윤석열]⑧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2 “결혼하자”…‘환승연애’ 하며 4억 뜯은 40대 여성의 정체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1 ‘아이폰 최소 25% 관세’… 트럼프 “삼성도 해당”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70 주말 서울 곳곳 도로 통제…집회·마라톤·행사 줄줄이 예정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9 포탄 자체 생산 늘리는 유럽… 韓 방산, 현지화로 대응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8 데이트앱 남성들과 '환승 연애'…4억 뜯어낸 40대 여성 수법 new 랭크뉴스 2025.05.24
» »»»»» 공모펀드 살린다는 직상장 다가오는데… 운용사는 여전히 은행 눈치 new 랭크뉴스 2025.05.24
52166 사망설 돌던 '액션스타' 이연걸…14년 만에 전한 깜짝 근황 new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