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유품 헤더
의뢰인은 경매 낙찰자였다.
소름 끼치는 사연이었다.

주변에서 종종 아파트가 경매로 넘어가는 걸 본다.
채무나 체납 때문에 집을 압류당하고 결국엔 소유권까지 넘기는 경우다.

의뢰인은 32평 아파트를 낙찰 받게 된 사람이었다.
원래 집주인은 84년생.
그 정도 입지에 그 정도 평형치고는 젊은 사람이었다.

낙찰자는 소위 ‘경매꾼’이라고 하는 전문가가 아니었다.
자신이 직접 살기 위해 집을 마련하다가 경매가 싸다는 소리를 듣고 물건을 구한 모양이었다.
그래서 ‘권리분석’이니 ‘점유’니 하는 골치아픈 문제와 해결 방법을 잘 몰랐던 것 같다.

시세보다 싼 값에 집을 마련했다고만 생각한 것이다.
이사 전에 인테리어를 하러 집에 갔더니 이전 집주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얼굴을 마주보고 상황을 해결하고 싶었지만 젊은 남성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전 집주인이 대화 자체에 응하지 않자 의뢰인은 현관문에 메모를 붙이기 시작했다.
낙찰자가 취할 수 있는 법적인 조치가 있지만 그냥 ‘상식적으로’ 해결하고 싶었다고 한다.

2, 3일에 한번 방문해 메모지로 퇴거를 호소한 것이다.
갈 때마다 메모지는 사라져 있었다.
젊은 남성이 보긴 봤다는 이야기다.

다만 그것이 전부.
응답도 없고 메모지만 떼어갈 뿐이었다.
두 달여에 걸친 지루한 메모지 호소전.

이지우 디자이너
그러다 어느날부터인가 메모지가 현관에 그대로 붙어있었다.
그제서야 불현듯 뒷목에 소름이 돋았다.
집을 비웠으면 뭐라도, 욕이라도 한 줄 남겼을 텐데….

의뢰인은 그때부터 온갖 안 좋은 상상이 가지를 치며 공포에 침식당하기 시작했다.

‘그가 죽었을지도 모르겠다.
내가 그의 집을 빼앗았기 때문에 그가 죽었다.
나 때문에 죽은 것이다…

내가 사람을 죽였다.

의뢰인의 잘못이 아니었다.
집을 빼앗은 것도 아니다.
원래 집주인이 여기 저기 빚을 지고 안 갚아 타인의 재산을 빼앗은 것이고, 의뢰인은 그의 빚을 대신 갚아주는 대가로 그 집을 얻은 것이다.

그랬을 뿐이다…라고, ‘상식적’으로 생각하고 싶었지만 죄책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불안한 마음에 경찰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단다.
가족의 신고가 있거나 특이사항이 있어야만 집 내부를 수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 소유의 집인데도 자신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
그렇지만 분명 그는 죽었을 거란 죄책감에 얼굴도 모르는 젊은 남성이 밤마다 꿈에 나타났다.
악몽이 겁나 잠도 못 이루고, 심신이 피폐해져 밥도 안 넘어갔다.
혹시나 싶어 다시 집을 찾아가면 나만 아는 죽음의 현장을 들여다보는 범죄자가 된 기분까지 들었다.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패닉의 시간이 2주나 지났다.
그제서야 봉쇄된 문이 열렸다.
이웃의 악취 신고였다.
경찰이 문을 열기로 했다.

그제서야 집주인인 자신에게 연락이 왔다고 한다.
그때 처음 들어간 ‘내 집’은 지옥 같았다.

(계속)

20대에 32평 아파트 구매, 수십 번의 해외여행.
유복했던 남자는 왜 40세에 스스로 삶을 끝냈을까. 김새별 씨는 5톤 쓰레기 더미 속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를 파멸로 이끈 충격적인 '로또'의 정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28



‘어느 유품정리사의 기록’ 또 다른 이야기가 궁금하시다면?
'미친개' 아들에 질려버렸다…엄마가 죽고 5년뒤 생긴 일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0739

아빤 6년 만에 고독사했다, 엄마 이혼시킨 두 딸의 고백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5891

“내 삶 찾고싶다” 이혼 1년뒤, 전남편 울린 그녀의 약봉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9207

한여름, 어느 의사의 고독사…친형은 외제차 타고 나타났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28749

남친과 절친의 ‘잘못된 만남’…바퀴벌레 속 그녀의 일기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34338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142 쓰러진 어르신 입에 약 밀어 넣어···의사 없는 곳서 주민 살리는 간호사 랭크뉴스 2025.05.24
52141 한예슬 측, 6억원대 '미지급 광고 모델료' 청구 소송 2심도 승소 랭크뉴스 2025.05.24
52140 “어제도 사무실에서 먹었는데”...6개월 만에 또 오른다 랭크뉴스 2025.05.24
52139 3가지만 기억하면 스테이크 노 미스테이크[정연주의 캠핑카에서 아침을] 랭크뉴스 2025.05.24
52138 "육개장 컵라면 36개가 5040원, 실화냐"…쿠팡 실수에 주문 폭주한 그 후 랭크뉴스 2025.05.24
52137 한동훈이 친윤계 청산 정풍운동 하는 이유[대선 인사이드] 랭크뉴스 2025.05.24
52136 “7년 함께한 나의 파트너” 마약 탐지견 퇴역하던 날 [개st하우스] 랭크뉴스 2025.05.24
52135 술 취해 90대 노모에 “빨리 죽어라” 폭행한 60대 패륜아들 랭크뉴스 2025.05.24
52134 외교부, 중국 서해 ‘항행금지구역’ 설정에 “우려 전달” 랭크뉴스 2025.05.24
52133 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24
52132 “술 주정하냐” 핀잔준 90대 母에 “빨리 죽으라”며 때린 아들 랭크뉴스 2025.05.24
52131 이재명 46.6%·김문수 37.6%·이준석 10.4%[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5.24
52130 트럼프, 아이폰 25% 관세에 “삼성 등 해외생산 다른기업도 해당” 랭크뉴스 2025.05.24
52129 "아이브 온대" 30만원대 암표도 떴다, 대학축제 웃픈 자화상 랭크뉴스 2025.05.24
52128 “생각 매우 올드” “기본 안된 사람”… 더 거칠어진 네거티브 랭크뉴스 2025.05.24
52127 윤석열 '王' 풍자? 이번엔 권영국, TV토론회에서 손바닥에 '民' 랭크뉴스 2025.05.24
52126 [단독] ‘건진 사넬백’ 구입 통일교 전 간부·처제, 동업하던 재단 철수 랭크뉴스 2025.05.24
52125 트럼프 "애플·삼성 25%‥EU는 50% 부과" 랭크뉴스 2025.05.24
52124 미국 법원, ‘하버드대 외국학생 등록 차단’ 하루만에 효력중단 결정 랭크뉴스 2025.05.24
52123 '직접 언급' 자제했지만‥못 버린 '단일화' 랭크뉴스 2025.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