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강주안 논설위원
6·3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논란이 지난해 4월 총선 직전과 데자뷔 양상이다. 국민의힘이 열세로 나타난 총선을 앞두고 두 사람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윤 전 대통령은 해병대 채 상병 수사 외압 논란으로, 김 여사는 명품백 수수 영상으로 궁지에 몰렸다. 당시 김 여사의 직접 해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으나 끝내 김 여사는 대국민 사과를 하지 않았다. 결국 국민의힘은 총선에서 참패했다.

명태균·건진법사·ODA 논란에
세 개로 늘어난 명품 가방 의혹
지난 대선 전처럼 사과·설명해야

지금도 국민의힘이 열세인 상황에서 김 여사 관련 의혹이 연일 이어지고 있다. 통일교 전직 간부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샤넬 백 두 개를 건넸다는 내용이 더해졌다. 김 여사는 받은 적이 없다고 하는데 시점이 묘하다. 두 가방을 전달했다는 시기는 2022년 4월과 7월로 나온다. 윤 전 대통령이 취임한 5월의 직전과 직후다. 두 명품백의 행방은 아직 오리무중이나, 그 직후인 9월에 최재영 목사가 건넨 디올 파우치를 김 여사가 자연스럽게 받는 장면은 모두가 영상으로 봤다. 그러니 두 달 전 건네진 명품 가방은 돌려줬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디올 파우치 수수 사건으로 김 여사는 검찰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무혐의 처분했고 ‘검찰총장 보고 패싱’ 논란을 일으킨 수사 책임자인 이창수 서울중앙지검장은 지난 20일 사의를 표명했다. 김 여사를 대신해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그제 고개를 숙였다.

사과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김 여사만큼 절감한 사람도 드물 테다. 김 여사는 지난번 대선 직전인 2021년 12월 허위 이력 논란에 대해 국민 앞에 머리를 숙였다. 유산의 아픔을 겪었던 사실을 공개했고, 아내의 역할에만 충실하겠다는 약속도 내놨다.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이 0.73%포인트 차로 승리한 데에는 김 여사의 사과도 영향을 줬을 것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조용한 내조 모드로 비치던 김 여사가 공개적으로 태세 전환 신호를 보낸 건 2022년 말께다. 김연주 시사평론가 등이 출연한 KTV 2023년 1월 10일 방송에선 김 여사가 국민의힘 여성의원들과 단독 오찬을 한 소식과 한센병 환자들이 있는 소록도 방문 계획을 보도했다. 그해 11월 7일 대통령실은 김 여사가 국립소록도병원을 방문해 환자의 발을 만지는 사진을 공개했다.

『방송통신연구』 2020년 겨울호엔 ‘〈대한뉴스〉와 KTV의 70년 분석을 통해 본 역대 대통령과 영부인의 인상관리와 리더십’(경희대 박종민 교수 등)이라는 논문이 실렸다. 논문은 역대 영부인의 특징을 ‘대국민 관계 지향적’(프란체스카), ‘전략적 감성적 이미지 리더십’(육영수), ‘책략적 애국심’(이순자), ‘전략적 애민심’(권양숙) 등으로 분류했다.

김 여사의 공개 행보는 육 여사의 기억을 소환했다. 그러나 소록도 방문 20일 뒤 명품 가방 수수 영상이 나오면서 육 여사 벤치마킹은 불가능해졌다. 명품백 수수 못지않게 국민의 분노를 자아낸 건 대북 사업 등 국정에 깊이 관여하겠다는 언사였다. 대선 직전 사과의 진정성을 허물었다.

뒤이어 명태균씨와 공천에 개입한 정황이 불거지고 통일교 전직 간부가 명품백 등을 제공한 의혹이 터졌다. 공적개발원조(ODA)와의 관련성 여부도 주목된다. 내조만 하겠다던 김 여사가 어디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모를 정도다. 인사 개입설도 파다하다. 풀어야 할 미스터리도 있다. 김 여사는 비상계엄 선포 전날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에게 두 차례 문자메시지를 보낸 사실이 드러났다. 조 원장은 내용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으나 수시로 문자를 주고받는 사이가 아니라면 기억을 되살려낼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와서 보면 김 여사는 공개되지 않은 비밀이 많아서 국민 앞에 나서기가 두려웠을지도 모르겠다. 지난주 검찰 소환 요구를 거절했으나 결국 포토라인에 서지 않을까. 그 짧은 순간에 진심을 전달하긴 어렵다. 지난 대선 직전처럼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 설명해야 진의가 제대로 전해질 것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1912 이준석 "노무현 닮은 정치 하고파"‥"내란세력과 함께 할 일 없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11 Z세대 등에 업고 날아오른 핀터레스트… 韓 사용자 611만명으로 ‘껑충’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10 위너 송민호, '사회복무요원 부실 근무 혐의'로 검찰 넘겨져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9 ‘내란 블랙박스’ 윤 비화폰 확보, 지귀연이 결심해야 열린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8 지귀연 부장판사 “사진만 찍고 나왔다…술 접대 아니다” 대법원에 소명서 제출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7 이재명 바짝 따라붙는 김문수…국힘 “단일화” 민주 “투표율”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6 美, 주한미군 감축 검토... 전문가 "한국의 전략적 유연성 협상에 달렸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5 주한미군 “4,500명 감축 보도 사실 아냐…한국 방어에 헌신”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4 美국방부 "주한미군 감축 예정 보도 사실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3 민주 “김문수, 李 ‘커피원가 120원’ 허위사실 공표” 고발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2 “사전투표 때까지” 단일화 마지노선 늘린 국민의힘… 이준석은 거듭 ‘선 긋기’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1 [속보] 주한미군 "4500명 감축 보도 사실 아냐…韓 방어에 헌신" new 랭크뉴스 2025.05.23
51900 단일화 의지 꺾지 않는 김문수‥'국민경선·아름다운 단일화' 제안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9 검찰, 윤석열 내란사건 재판부에 ‘비화폰 압수수색 영장’ 발부 요청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8 한국 EEZ에 중국이 금지 구역을? 또 선 넘었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7 참배 중 눈물 흘린 이재명 "노무현의 꿈, 감히 이으려 한다"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6 대선 후보 지지도…이재명 49%·김문수 34%·이준석 8% [여론조사]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5 "중국, 서해 한국 EEZ 내 '항행 금지구역' 설정"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4 [단독] '김미영 팀장' 얼굴 볼날 올까…사기범죄자 신상공개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5.23
51893 [단독] 민주, 헌법연구관 정년연장 추진…대법 힘 빼고, 헌재 키우기? new 랭크뉴스 2025.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