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가계빚 증가폭은 2.8조로 축소…신용대출 4.9조원↓ 영향
한은 "토허제 재지정·DSR 강화 등에 하반기 가계대출 안정될것"


1분기말 가계빚 1천927조원 또 최대…'영끌' 주담대 9조↑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2025.5.18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올해 1분기(1∼3월)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입)이 이어지면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체 가계 빚(부채)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다만 신용대출이 5조원 가까이 줄어든 영향으로 가계 빚 증가 폭은 전 분기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됐다.

가계신용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28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말(1천925조9천억원)보다 2조8천억원 많고,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2023년 2분기(+8조2천억원)·3분기(+17조1천억원)·4분기(+7조원) 계속 늘다가 작년 1분기 들어서야 3조1천억원 줄었지만, 이후 다시 방향을 틀어서 올해 1분기까지 네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1분기 증가 폭(+2조8천억원)은 전 분기(+11조6천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1분기 말 잔액이 1천810조3천억원으로 전 분기 말(1천805조5천억원)보다 4조7천억원 불었다. 역시 전 분기(+9조1억원)와 비교해 증가 폭은 절반으로 축소됐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천133조5천억원)이 9조7천억원 증가했다.

반대로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잔액 676조7천억원)의 경우 4조9천억원 줄어 14분기 연속 뒷걸음쳤다. 대출자들이 연초 상여금으로 신용대출을 상환한 데 영향을 받았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대출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잔액 974조5천억원)이 석 달 사이 8조4천억원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이 11조5천억원 불었지만,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3조1천억원 줄었다.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11조3천억원)도 1조원 증가했다. 작년 4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늘었지만, 증가 폭은 전 분기의 6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24조5천억원)은 4조7천억원 뒷걸음쳤다. 주택도시기금 자체 재원 주택담보대출과 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 유동화분 등이 순상환됐기 때문이다.

판매신용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1분기 가계신용 가운데 판매신용 잔액(118조5천억원)은 신용카드사를 비롯한 여신전문회사 위주로 1조9천억원 줄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대출 전망과 관련해 "2∼3월 늘어난 주택 거래가 1∼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5∼6월 주택담보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과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으로 하반기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가계부채 비율에 대해서는 "분모인 1분기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분자인 1분기 가계신용이 전 분기 대비 0.1% 증가한 것으로 미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추세가 지속된 것으로 본다"면서도 "(금리 인하 등) 금융 완화 기조는 가계대출이나 부동산의 불안 요인인 만큼 한은과 금융 당국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1분기 판매신용 감소 배경 관련 질문에는 "일반적으로 4분기에는 연말 소비 증가로 카드 사용액과 판매신용(미결제액)이 늘어나고, 1분기에는 기저 효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고 답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423 ‘동네북’ 호텔경제론… 한동훈 “노쇼주도성장” 이준석 “인터넷 조롱을”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22 前수방사령관 "尹, 문 부수고 끄집어내라 해…정상 아니라 생각"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21 이재명 “6월3일은 압도적 승리 아닌 압도적 응징의 날”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20 조카 살해하고 다른 무속인 감금·나체 촬영...무속인 2명 재판에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9 이준석, 이틀째 광주 유세 총력… “‘동서화합’ 노무현의 꿈 계승하겠다”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8 'DSR 규제 강화 vs 금리 인하'…하반기 부동산 시장 어디로?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7 안철수 "이준석 후보 상처 잘 알아‥만나서 허심탄회하게 얘기하자"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6 대륙의 실수? 대륙의 쇼크…샤오미, 첨단 '3나노칩' 독자 개발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5 김문수 '경륜' 좋고 '극우' 싫다... '젊은' 이준석은 '양날의검'[한국일보 여론조사]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4 ‘시흥 살인사건’ 피의자 차철남 “3천만 원 안 갚아 범행”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3 이복현 “美 신용등급 강등 영향 제한적⋯외화유동성·환리스크 면밀 점검”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2 ‘시흥 살인’ 피의자 中 국적 차철남 범행 이유는 “빚 3000만원 안 갚아서”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1 ‘제2 도시’ 부산 부동산 시장 왜?…법정동 4곳, 경· 공매 물건 휩쓸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10 트럼프 관세 충격 현실로...대미 자동차 수출액 20% 줄었다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9 연봉 1억 직장인 주담대 한도 7월부터 3300만원 뚝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8 김문수 “난 총 맞을 일 있으면 맞겠다”···이재명 ‘방탄유리막’ 비판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7 아빠 잠든 사이…4세 자녀, 8층 아파트 창문서 추락사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6 [단독] 순찰차 뒷좌석에 혼자 타 흉기로 자해... 경찰 '동승 규정' 위반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5 민주당사 인근 흉기 소지 30대 검거…“가방에 칼·BB탄총” new 랭크뉴스 2025.05.20
50404 경찰, 여의도 민주당사 인근서 서성이던 흉기 소지 30대 남성 검거 new 랭크뉴스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