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패배’ 우려 커지는 시점에 나온 결정
당내서도 ‘쇼’ 지적···“대선에 별 영향 없어”
장예찬 복당 등 ‘절연’ 미흡하다는 지적도
당내서도 ‘쇼’ 지적···“대선에 별 영향 없어”
장예찬 복당 등 ‘절연’ 미흡하다는 지적도
12·3 불법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3차 공판에서 오전 공판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김문수에게 힘을 모아 달라”며 국민의힘을 탈당했다. 12·3 불법계엄에 대한 사과 없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를 촉구한 것을 두고 당내에서조차 “억지쇼” “사과 한 마디 없다”는 비판이 나왔다. 김 후보나 당 차원의 절연이 아니라는 점에서 대선에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떠난다”며 “국민의힘을 떠나는 것은 대선 승리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지금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라고 주장했다. 불법계엄 언급이나 사과는 없었다. 그는 그러면서 “이번 선거는 전체주의 독재를 막고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며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힘을 모아달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의 탈당은 대선 패배에 대한 당내 우려가 커지는 시점에서 나왔다. 특히 지난 16일 핵심 지지지역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에서조차 김 후보 지지율이 50%에 미치지 못한 것이 중요한 위기 신호로 해석됐다. 한국갤럽이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TK에서 김 후보 지지율은 48%에 그쳤다. 지난 대선 TK에서 윤 전 대통령 득표율은 73.9%였다.
윤 전 대통령 탈당을 두고 당내에서도 정치공학적 ‘쇼’로 비칠 수 있어 대선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 의원은 이날 기자와 통화하면서 “윤 전 대통령 탈당이 대선에 폭발적인 힘이 있지는 않을 것 같다”며 “윤 전 대통령이 엄청난 결단, 희생을 한 것처럼 했는데 그냥 떠밀려서 한 것이고 당이 절연한 것은 아니지 않나”라고 말했다. 한 원외 당협위원장은 “탈당 논란을 지지부진하게 끌고 오다보니 전혀 전격적이지도 않고 의외도 아니지 않나”라며 “대선에 별 영향도 없고 억지쇼에 가깝다”고 말했다.
늦은 탈당 시점, 사과 없는 당당한 태도 등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류제화 세종갑 당협위원장은 지난 17일 페이스북에서 “‘이기고 돌아왔다’는 식의 위풍당당한 탈당”이라며 “계엄으로 인해 치르게 된 계엄대선을 코앞에 두고 이뤄진 뒤늦은 탈당”이라고 적었다. 그는 “국민과 당원에 대한 사과 한 마디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가 주도적으로 나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는 점도 이런 당내 비판을 키우고 있다. 김 후보는 그간 탈당은 윤 전 대통령 결단에 맡겨야 한다며 탈당을 압박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주장해 왔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선언 직후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 뜻을 저는 존중한다”며 “그 뜻을 받아들여서 당이 더 단합하고 더 혁신해 국민의 뜻에 맞는 당이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탈당과 관련한 당의 사전 조율은 없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당이 친윤석열계 장예찬 전 최고위원에 대한 복당을 승인하고, ‘윤어게인’ 신당을 추진했던 김계리 변호사가 입당을 신청한 것이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는 주장도 나온다.
친윤계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탈당을 ‘희생’ ‘결단’으로 띄우며 옹호를 이어갔다. 한 친윤계 당협위원장은 기자와 통화하면서 “(탈당은) 대통령의 희생”이라고 말했다. 장 전 최고위원은 “대선 승리를 위해 당적까지 내려놓은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누가 더 당을 사랑하는지 자명하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하더라도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처럼 당의 원로로 예우 받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이 전 대통령은 2017년 1월 박 전 대통령 탄핵국면 당시 탈당했고, 박 전 대통령은 자유한국당 시절인 2017년 11월 제명 조치됐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이후 주요 정치적 국면마다 두 전직 대통령을 당의 원로로 예우하고 있다.
앞선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4%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