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긴급조치 해제하라" 외쳤다 징역형

46년 전 징역형이 선고된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 위반 사건에 대한 재심 청구가 지난 2월, 대전지방법원에 접수됐습니다. 재심을 청구한 사람은 올해 69살이 된 김용진 씨입니다.

김 씨는 유신정권 시절이던 지난 1977년, 서울 소재의 한 대학에서 소위 '데모'를 하다 체포됐습니다. 대통령긴급조치 제9호를 위반했다는 이유였습니다. 긴급조치 9호는 1975년 5월 13일 선포됐는데, 긴급조치 9호에는 '집회, 시위 또는 신문, 방송, 통신 등 공중 전파 수단이나 문서, 도서, 음반 등 표현물에 의해 헌법을 부정, 반대 또는 비방하거나 그 개정, 폐지를 주장하거나 청원 또는 선전하는 행위'가 포함됐습니다.

체포된 김 씨는 징역 3년의 형을 선고받았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1978년 서울구치소와 공주교도소에서 '긴급조치 해제하라', '민주정치 이룩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추가 기소됐고,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혐의로 이듬해인 1979년, 징역 1년 6월이 추가됐습니다.

대전지방법원 피고인석

■46년 지났지만 "그래도 나는 무죄"

그로부터 46년이 지나 김 씨는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으로 다시 법정 피고인석에 서게 됐습니다. 김 씨는 이미 10여 년 전, 민주화 시위를 하다 징역 3년을 선고받았던 첫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또다시, 선고 46년이 지나 두 번째 긴급조치 9호 위반 사건에 대해서도 재심을 청구하게 된 이유를 묻자 김 씨는 지난해 있었던 '12·3 계엄' 얘기를 꺼냈습니다. 김 씨에게 계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불법체포, 고문, 생명 위협'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12월 김 씨는 생각도 못 한 '계엄'이 다시 선포됐다는 소식에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한 채 TV 생중계를 지켜봐야 했습니다. 12.3 계엄 당시 시민과 국회의원 등이 국회로 모여 목숨을 걸고 필사적으로 막아 내는 모습을 지켜봤다는 김 씨는 "민주주의를 환기하고 싶어 재심을 청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오늘(16일) 대전지법에서 열린 재심 첫 공판에서 검찰은 김 씨에게 무죄를 구형했습니다. 김 씨의 변호인도 2013년 헌법재판소가 재판관 만장일치 의견으로 긴급조치 9호를 위헌으로 결정했고, 대법원도 같은 해 위헌으로 판단한 점을 들어 무죄 선고를 주장했습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후 광장에 나온 시민들

■"당시 검사도 '무죄' 구형하고 싶었을 것…"

김 씨는 피고인 최후 진술에서 "당시 우리나라는 국민주권, 삼권분립, 언론자유가 보장되지 않았지만, 지금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고 아시아에서 민주주의 모범국가로 꼽히는 나라가 됐다"며 지난해 12월 3일 계엄 사태가 발생했지만, 잘 극복하는 모습을 보고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은 끊임없이 나올 것이지만 결국 잘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당시에는 "민주주의를 극복하는 데 오랜 시간 걸리고 많은 희생을 치렀지만, 지금은 50년 전과 다르다"며 빠른 시간 안에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형을 선고받은 지 46년이 지났는데, 되돌아보니 당시 저에게 구형했던 검사님과 형을 선고했던 판사님도 당시 제 마음과 다르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당시 김 씨의 사건을 맡았던 이는 영화 <1987>에서 하정우가 역할을 맡은 최환 검사였습니다. 김 씨는 "최환 검사가 제 사건 이후 서울지검 공안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을 밝히고 민주주의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고 말했습니다.

재판부는 이 사건을 다음 달 4일 최종 선고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74 [단독] 尹 통신기록 봤더니‥오전에 관저에서 전화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73 [속보] 준강제추행·사기 혐의 허경영 명예대표 구속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72 이유 없이 한달새 23% 뛴 계란값…정부, 칼 뺀다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71 러 “우크라와 포로 1000명씩 교환 합의”…각자 휴전안 제시하기로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70 김문수, ‘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참배 취소…5·18 단체 반발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69 서울 기습폭우에 하천 25곳 통행 제한 new 랭크뉴스 2025.05.17
48868 한미·한화 같은 날 같은 규모 계약한 SK하이닉스...갈등 일단 봉합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7 러·우크라 협상 90분만에 종료···이견만 확인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6 이준석 “단일화 진행돼야 한다면 이준석으로”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5 검찰, ‘김여사 청탁 의혹’ 관련 前행정관·샤넬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4 유심 해킹 피해에 9175명 SKT에 46억 집단소송 제기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3 이천서 옛 연인 커플 살해한 30대 검찰 송치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2 3년 만에 만난 러-우크라, 악수도 안했다…90분간 이견만 확인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1 러·우크라, 전쟁포로 1000명씩 교환 합의 ‘최대 규모’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60 러·우크라 협상 90분만에 종료…탐색전 속 입장차 여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59 BTS 지민·정국, 美 2025 BMI 팝 어워즈 수상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58 [단독] 2달여 만의 일사천리 계약‥수제맥주 사업가가 세운 회사와 방산 계약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57 ‘86 47’ 모양의 해변가 조개껍데기는 ‘트럼프 암살’ 신호?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56 검찰, ‘합성대마 투약’ 이철규 의원 아들 구속 기소 new 랭크뉴스 2025.05.16
48855 EU, 한수원 체코 원전 '역외보조금 위반' 직권조사 '만지작' new 랭크뉴스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