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6일 오후 대전 중구 으능정이거리에서 가진 유세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5·18민주화운동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 추모비 참배 일정을 취소했다.
16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김 후보는 오는 17일 전북을 방문해 전북대학교 내에 있는 이세종 열사 추모비를 찾을 계획이었다.
이 일정이 알려지자 제45주년 5·18민중항쟁기념 전북행사위원회는 보도자료를 내고 김 후보의 참배를 반대했다.
위원회는 “이세종 열사의 죽음은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의 열망이자 저항의 상징”이라며 “김 후보가 그의 추모비를 참배하려는 행보는 그 정신을 모독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김 후보는 계엄군 지휘 책임자였던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선거대책본부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가 철회한 바 있으며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판결을 부정하는 발언을 해 비판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위원회가 반발하자 국민의힘은 보도자료를 통해 김 후보의 전북 일정을 재공지했다. 새로운 공지에는 이세종 열사 추모비 참배를 빼는 대신 전주한옥마을 유세 시간을 늘렸다.
━
이재명, 이세종 추모비 참배 “전주 올 때마다 생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6일 전주 전북대학교 내 고(故) 이세종 열사 추모비를 찾아 헌화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앞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이세종 열사 추모비를 찾아 참배했다. 이 후보는 참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맡긴 총칼로 국민을 살상하고자 했던 그들에게 저항하다 사망한 첫 희생자인 이세종 열사를 국민이 잘 기억하지 못한다”며 “전주에 올 때마다 들러 생각해보고 지나간다”고 했다.
전북대 농과대 2학년이던 이 열사는 1980년 5월 17일 대학 학생회관에서 전두환 퇴진과 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농성하던 중, 계엄군이 교내로 진입한 다음날 새벽 학생회관 바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군 당국은 이 열사가 옥상으로 도피하던 중 추락사했다고 발표했지만 2023년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이 열사가 계엄군의 구타로 이미 중상을 입은 상태에서 추락한 것으로 판단해 그를 5·18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했다.
━
광주 찾는 김문수, 5·18 전야제 및 기념식 불참
김 후보는 오는 17일과 18일 열리는 5·18 민주화운동 전야제와 기념식에 불참한다. 김 후보는 국립 5·18 민주묘지 참배, 5·18 사적지인 광주교도소 터를 방문한 뒤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회의 후에는 전북 전주로 이동해 유세 일정을 이어간다.
김 후보 측은 5·18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18일 예정된 대선 후보 TV 토론 준비 등 예정된 일정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의 행사 불참 배경에는 5·18 전야제 주최 측이 후보 측에 “참가를 숙고해달라”고 입장을 전달한 것이 행사 불참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제45주년 5·18 민중항쟁행사위원회 관계자는 “민주주의를 지키려다 산화한 오월 영령을 기리는 5·18 전야제에는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면서도 “최근 김 후보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시민들의 반감이 커진 상황에서 참석에 신중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