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미국발 관세 폭풍에 전 세계가 휘청이고 있는데요.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각국에 보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 관세 협상은 어떻게 되는 건지 경제산업부 이도윤 기자와 살펴봅니다.

이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어떤 내용이고 어떤 의미입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우리나라에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을 받은 나라는 우리와 일본을 비롯한 열네 개국, 통보받은 관세율은 20%에서 40%대까지 각양각색입니다.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부터고요.

우리는 4월 발표 때와 같은 관세율인 25%가 책정됐습니다.

[앵커]

원래 상호 관세를 발표했던 게 4월이잖아요.

그리고 7월 8일까지 유예해 주기로 했는데, 이 시점에 공개서한을 보낸 이유는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게 4월 초, 미국 시각 기준으로 4월 2일입니다.

그리고 7월 8일까지 시간을 줄 테니 협상을 하자고 했죠.

이 협상 시한 직전에 서한을 보냈습니다.

8월 1일까지 3주 더 시간을 줄 테니, 관세율을 낮추고 싶으면 미국 입맛에 맞는 제안을 더 가져오라는 압박으로 보입니다.

서한을 보낸 뒤에 트럼프 대통령도 그런 취지로 보이는 말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는 확정인데, 100% 확정은 아닙니다. 상대 국가가 다른 방식을 제안하면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서한을 받은 우리 정부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정부는 이 서한이 관세 유예를 사실상 한 달 연장해 준 것이란 입장입니다.

서한을 받은 직후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료를 내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치열하게 협상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합의하기까지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다음 달 1일까지 상호 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거로 보고 남은 기간 동안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협상에 박차를 가한다, 남은 3주 동안 어떻게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과 관세를 논의하고 어제 귀국했습니다.

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3주가 굉장히 짧은 시간인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어떻게 본격적으로 협상을 가속해서 랜딩 존(착륙 지역)으로 빨리 협의를 진전시킬 것이냐에 초점을 두고 이번에 협의했다…."]

[앵커]

우리의 주요한 과제는 뭡니까?

[기자]

당연히 최대 목표는 관세율 인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가는 전 품목에 매겨지는 상호 관세도 지난 4월 부과받았던 25%에서 더 내려야 하고요.

무엇보다 특정 품목에 매기는 품목 관세에서 미국의 양보를 받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미국은 자국 이익과 연결된 특정 품목에는 별도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관세는 각각 50%와 25%에 달합니다.

철강과 자동차 모두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품목별 관세 철폐, 최소한 인하를 받아내야 합니다.

[앵커]

품목별 관세에 대한 협상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여한구 통상본부장도 최근 미국 방문에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만나 품목별 관세를 철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을 오히려 더 늘리겠다는 입장인데요.

추가 부과가 예고된 품목도 반도체나 바이오 의약품처럼 우리 주력 수출품입니다.

특히 의약품에는 무려 200%의 관세까지 언급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앵커]

우리 정부의 협상카드로는 어떤 게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우리 정부는 미국이 원하는 '제조업 재건'을 함께 추진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가 바로 한국이라는 점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특히 조선, 반도체 등 미국 입장에서 중요한 산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미국 제조업 재건을 도와줄 수 있을지 굉장히 관심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앵커]

관세 인하가 될까요?

전망은 어떤가요?

[기자]

사실 미지수입니다.

정말 관세를 낮출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죠.

그래서 알래스카 LNG 사업 협력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 건데요.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천 300킬로미터 넘는 수송관으로 운송해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이 한국과 일본 등 다른 나라와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프로젝트인데, 우리 정부도 협상 지렛대로 사업 참여를 검토는 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용이 막대하고 사업성이 불확실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받아보고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에서 방위비 문제까지 꺼내 들고 있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국방비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올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한 건데요.

이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많은 돈을 벌고 있고 잘살고 있으니, 그들의 군사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합니다."]

여기에 대해 우리 정부는 통상과 투자, 안보 관련 현안을 총망라한 '패키지'로 협의하자고 미국에 제안했습니다.

협상 분야를 넓혀서 우리에게 필수적인 품목은 구해내자는 취지인데, 관세 부과 시점이 다음 달 1일이어서 남은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영상편집:한찬의 강지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483 [마켓뷰] 연고점 찍고 숨 고르기… 코스피, 소폭 하락한 3170선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2 네이버 출신 장관·수석 총 3명…이재명 정부 첫 조각완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1 일본 이시바 "깔보는데 참을 수 있나"‥연일 미국에 수위 높은 불만 표출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0 김포서 부모·형 살해한 30대 체포…불화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9 [단독]채상병 특검팀, 국방부 장관 비화폰 확보···‘VIP 격노’ 규명 총력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8 구속에 압수수색·소환, 몰아치는 3대 특검…사면초가 尹부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7 ‘美 커피·주스 대란’ 오나… 트럼프發 브라질 ‘50% 관세 폭탄’ 후폭풍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6 "김윤덕, 부동산 투기 용납 않는다"…李, 고심 끝에 국토장관 지명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5 [단독] 뉴욕의 핫플 '삼성 837' 9년 만에 문 닫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4 윤석열 “변호사 구하기 힘들다”…“변호사비 충분히 주면” 될 텐데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3 안철수, '국힘 19% 지지율'에‥"끓는 물속 개구리..찐윤 세도정치 막 내려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2 특검팀 “‘김건희 집사’ 출석 의사 밝힌 적 없어···언론 아닌 특검에 얘기하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1 윤, ‘재구속’ 후 첫 조사에 불응…해병 특검, 윤 자택 압수수색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70 [속보] 윤석열 재구속 후 첫 소환조사 불응... 특검 "상응 조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9 김포 단독주택서 부모·형 살해한 30대 체포‥"형과 불화 겪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8 오세훈 서울시장 “고품질 공공주택 확대…미리내집 매년 4000가구 공급”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7 김포서 부모·형 살해한 30대 남성 체포…형제 간 갈등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6 [속보] 국토부 장관 김윤덕, 문체부 장관 최휘영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5 입맛 없을 땐 가볍게 김밥 한줄? 역대급 폭염에 ‘○○○’ 경고[헬시타임]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64 이 대통령, 국토장관 김윤덕·문체부장관 최휘영 지명‥초대 내각 인선 완료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