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미국발 관세 폭풍에 전 세계가 휘청이고 있는데요.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각국에 보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 관세 협상은 어떻게 되는 건지 경제산업부 이도윤 기자와 살펴봅니다.

이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어떤 내용이고 어떤 의미입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우리나라에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을 받은 나라는 우리와 일본을 비롯한 열네 개국, 통보받은 관세율은 20%에서 40%대까지 각양각색입니다.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부터고요.

우리는 4월 발표 때와 같은 관세율인 25%가 책정됐습니다.

[앵커]

원래 상호 관세를 발표했던 게 4월이잖아요.

그리고 7월 8일까지 유예해 주기로 했는데, 이 시점에 공개서한을 보낸 이유는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게 4월 초, 미국 시각 기준으로 4월 2일입니다.

그리고 7월 8일까지 시간을 줄 테니 협상을 하자고 했죠.

이 협상 시한 직전에 서한을 보냈습니다.

8월 1일까지 3주 더 시간을 줄 테니, 관세율을 낮추고 싶으면 미국 입맛에 맞는 제안을 더 가져오라는 압박으로 보입니다.

서한을 보낸 뒤에 트럼프 대통령도 그런 취지로 보이는 말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는 확정인데, 100% 확정은 아닙니다. 상대 국가가 다른 방식을 제안하면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서한을 받은 우리 정부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정부는 이 서한이 관세 유예를 사실상 한 달 연장해 준 것이란 입장입니다.

서한을 받은 직후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료를 내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치열하게 협상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합의하기까지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다음 달 1일까지 상호 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거로 보고 남은 기간 동안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협상에 박차를 가한다, 남은 3주 동안 어떻게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과 관세를 논의하고 어제 귀국했습니다.

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3주가 굉장히 짧은 시간인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어떻게 본격적으로 협상을 가속해서 랜딩 존(착륙 지역)으로 빨리 협의를 진전시킬 것이냐에 초점을 두고 이번에 협의했다…."]

[앵커]

우리의 주요한 과제는 뭡니까?

[기자]

당연히 최대 목표는 관세율 인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가는 전 품목에 매겨지는 상호 관세도 지난 4월 부과받았던 25%에서 더 내려야 하고요.

무엇보다 특정 품목에 매기는 품목 관세에서 미국의 양보를 받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미국은 자국 이익과 연결된 특정 품목에는 별도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관세는 각각 50%와 25%에 달합니다.

철강과 자동차 모두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품목별 관세 철폐, 최소한 인하를 받아내야 합니다.

[앵커]

품목별 관세에 대한 협상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여한구 통상본부장도 최근 미국 방문에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만나 품목별 관세를 철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을 오히려 더 늘리겠다는 입장인데요.

추가 부과가 예고된 품목도 반도체나 바이오 의약품처럼 우리 주력 수출품입니다.

특히 의약품에는 무려 200%의 관세까지 언급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앵커]

우리 정부의 협상카드로는 어떤 게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우리 정부는 미국이 원하는 '제조업 재건'을 함께 추진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가 바로 한국이라는 점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특히 조선, 반도체 등 미국 입장에서 중요한 산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미국 제조업 재건을 도와줄 수 있을지 굉장히 관심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앵커]

관세 인하가 될까요?

전망은 어떤가요?

[기자]

사실 미지수입니다.

정말 관세를 낮출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죠.

그래서 알래스카 LNG 사업 협력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 건데요.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천 300킬로미터 넘는 수송관으로 운송해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이 한국과 일본 등 다른 나라와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프로젝트인데, 우리 정부도 협상 지렛대로 사업 참여를 검토는 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용이 막대하고 사업성이 불확실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받아보고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에서 방위비 문제까지 꺼내 들고 있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국방비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올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한 건데요.

이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많은 돈을 벌고 있고 잘살고 있으니, 그들의 군사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합니다."]

여기에 대해 우리 정부는 통상과 투자, 안보 관련 현안을 총망라한 '패키지'로 협의하자고 미국에 제안했습니다.

협상 분야를 넓혀서 우리에게 필수적인 품목은 구해내자는 취지인데, 관세 부과 시점이 다음 달 1일이어서 남은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영상편집:한찬의 강지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425 잇단 19% 지지율에 TK 지지층도 이탈…국힘 "심각하고 엄중"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4 "고객님께 설명 드릴 마음 없다"… 현대차 상담 직원 불친절 논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3 “최상목 대행 몸조심 바란다” 이 대통령 대표 시절 발언 피고발 사건···경찰 불송치 결정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2 조용필, 광복 80주년 기획 KBS 단독 공연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1 친부가 보육교사 속여 자녀 하원…대법 "미성년자 유인죄"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20 국민의힘, 또 19%…TK도 버렸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9 8년 전엔 “친박 모리배” 비판…이번 국힘 혁신위는 ‘친윤’ 말도 못 꺼내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8 해병특검, 구속된 尹 자택 압수수색…'VIP 격노설' 강제수사(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7 TK·PK도 민주당에 역전 당했다...10%대 고꾸라진 국힘 지지율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6 홍준표 “이진숙, 전현희 선례 따라가”…전현희 “나랑은 전혀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 »»»»» 관세 협상 남은 3주…‘인하’ 가능할까 [뉴스in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4 “더운데 복도 창문 왜 닫아?”···대구 아파트서 70대 남성, 이웃에 흉기 위협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3 "서울신라호텔 또 붐비겠네"…6년 만에 다시 선보이는 '품절대란템', 뭐길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2 ‘가족’인데…‘물건’ 취급 반려견 사고, 위자료 가능할까 [개st상식]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1 尹, 재구속 후 특검 첫 조사 응할까…불응시 강제구인 관측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10 비타민D 부족이 치매 유발? ‘이 유전자’ 있는 여성만 해당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09 [단독] 압수수색 가로막은 국힘…“즉시 임종득 의원실로 모여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08 "몸 다 부서져" 朴 감방생활‥'같은 구치소' 3617번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07 [속보]채상병 특검, ‘피의자’ 윤석열 아크로비스타 사저 압수수색···‘격노설’ 정조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06 한미일 합참의장 회의 개최…“역내 안보 협력 지속 발전”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