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미국발 관세 폭풍에 전 세계가 휘청이고 있는데요.

최근엔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각국에 보냈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인지, 우리 관세 협상은 어떻게 되는 건지 경제산업부 이도윤 기자와 살펴봅니다.

이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 어떤 내용이고 어떤 의미입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우리나라에 상호 관세가 적힌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을 받은 나라는 우리와 일본을 비롯한 열네 개국, 통보받은 관세율은 20%에서 40%대까지 각양각색입니다.

관세 부과 시점은 8월 1일부터고요.

우리는 4월 발표 때와 같은 관세율인 25%가 책정됐습니다.

[앵커]

원래 상호 관세를 발표했던 게 4월이잖아요.

그리고 7월 8일까지 유예해 주기로 했는데, 이 시점에 공개서한을 보낸 이유는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게 4월 초, 미국 시각 기준으로 4월 2일입니다.

그리고 7월 8일까지 시간을 줄 테니 협상을 하자고 했죠.

이 협상 시한 직전에 서한을 보냈습니다.

8월 1일까지 3주 더 시간을 줄 테니, 관세율을 낮추고 싶으면 미국 입맛에 맞는 제안을 더 가져오라는 압박으로 보입니다.

서한을 보낸 뒤에 트럼프 대통령도 그런 취지로 보이는 말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관세는 확정인데, 100% 확정은 아닙니다. 상대 국가가 다른 방식을 제안하면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서한을 받은 우리 정부 반응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정부는 이 서한이 관세 유예를 사실상 한 달 연장해 준 것이란 입장입니다.

서한을 받은 직후 산업통상자원부는 자료를 내고 "새 정부 출범 이후 치열하게 협상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이슈에 합의하기까지 시간이 부족했다"면서 "다음 달 1일까지 상호 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거로 보고 남은 기간 동안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했습니다.

[앵커]

협상에 박차를 가한다, 남은 3주 동안 어떻게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과 관세를 논의하고 어제 귀국했습니다.

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3주가 굉장히 짧은 시간인데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어떻게 본격적으로 협상을 가속해서 랜딩 존(착륙 지역)으로 빨리 협의를 진전시킬 것이냐에 초점을 두고 이번에 협의했다…."]

[앵커]

우리의 주요한 과제는 뭡니까?

[기자]

당연히 최대 목표는 관세율 인하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가는 전 품목에 매겨지는 상호 관세도 지난 4월 부과받았던 25%에서 더 내려야 하고요.

무엇보다 특정 품목에 매기는 품목 관세에서 미국의 양보를 받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미국은 자국 이익과 연결된 특정 품목에는 별도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관세는 각각 50%와 25%에 달합니다.

철강과 자동차 모두 우리 주력 수출 품목이기 때문에 품목별 관세 철폐, 최소한 인하를 받아내야 합니다.

[앵커]

품목별 관세에 대한 협상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여한구 통상본부장도 최근 미국 방문에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만나 품목별 관세를 철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을 오히려 더 늘리겠다는 입장인데요.

추가 부과가 예고된 품목도 반도체나 바이오 의약품처럼 우리 주력 수출품입니다.

특히 의약품에는 무려 200%의 관세까지 언급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그리고 다른 몇 가지 다양한 관세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아시다시피, 큰 것들입니다."]

[앵커]

우리 정부의 협상카드로는 어떤 게 있습니까.

[기자]

네 우선 우리 정부는 미국이 원하는 '제조업 재건'을 함께 추진할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가 바로 한국이라는 점을 어필하고 있습니다.

여한구 본부장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여한구/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 "특히 조선, 반도체 등 미국 입장에서 중요한 산업에 대해 한국 기업들이 어떻게 미국 제조업 재건을 도와줄 수 있을지 굉장히 관심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앵커]

관세 인하가 될까요?

전망은 어떤가요?

[기자]

사실 미지수입니다.

정말 관세를 낮출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죠.

그래서 알래스카 LNG 사업 협력 이야기가 계속 나오는 건데요.

이 사업은 알래스카 북부 가스전에서 채굴한 천연가스를 천 300킬로미터 넘는 수송관으로 운송해 수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미국이 한국과 일본 등 다른 나라와 기업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는 프로젝트인데, 우리 정부도 협상 지렛대로 사업 참여를 검토는 하고 있습니다.

다만 비용이 막대하고 사업성이 불확실해서 구체적인 수치를 받아보고 결정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여기에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국에서 방위비 문제까지 꺼내 들고 있다고요?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국방비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올리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기 시작한 건데요.

이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한국은 많은 돈을 벌고 있고 잘살고 있으니, 그들의 군사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합니다."]

여기에 대해 우리 정부는 통상과 투자, 안보 관련 현안을 총망라한 '패키지'로 협의하자고 미국에 제안했습니다.

협상 분야를 넓혀서 우리에게 필수적인 품목은 구해내자는 취지인데, 관세 부과 시점이 다음 달 1일이어서 남은 시간은 많지 않습니다.

영상편집:한찬의 강지은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502 다음 주부터 ‘폭염 시 2시간 일하면 20분 이상 휴식’ 보장해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501 "부동산 투기 용납 않는다"…李, 장고 끝에 국토장관 김윤덕 지명 new 랭크뉴스 2025.07.11
54500 'VIP 격노설' 핵심 인물 김태효, '순직 해병' 특검 소환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9 [르포] 체감온도 38도에 텅빈 탑골공원… 지하철로 피서 떠난 70~80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8 지난해 여성 333명 살인범죄 피해…3명 중 1명은 ‘폭력 전조 현상’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7 "올여름엔 운동화 진짜 못 신겠다"…역대급 폭염에 다들 '신발' 갈아 신는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6 내란 특검, 윤석열 불출석 사유 납득 안 되면 강제 구인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5 “예외는 없다” 특검, 첫 옥중조사 불응한 윤석열에 ‘강제구인’ 예고···현실적 어려움도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4 관광업계 출신 첫 장관 나오나…문체부 장관 후보자 최휘영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3 기사 잇단 사망에…CJ대한통운, 8월14∼15일 ‘택배 없는 날’ 지정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2 복귀 의대생에 “기대해라” 보복 예고…학사유연화 또 하나?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1 이 대통령, 문체 최휘영·국토 김윤덕 지명... "유능·충직하게 빠른 성과 만들어 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90 모기도 목이 탄다···폭염·마른장마에 서울선 10년새 ‘반토막’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9 가수 레이디제인, 강남차병원서 쌍둥이 출산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8 이영지, 대만 뉴스 나왔다…"다들 속지 마라" 분노, 무슨 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7 문체부 장관에 또 네이버 출신 최휘영...300兆 K콘텐츠 이끌 전문가 맞나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6 국회의원 8명·기업인 4명, 여성은 26%···이재명 정부 초대 내각 19명 분석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5 국토 김윤덕·문체 최휘영... 李 대통령, 초대 내각 후보 인선 완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4 김태효 해병 특검 소환조사 출석…‘VIP 격노설’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1
54483 [마켓뷰] 연고점 찍고 숨 고르기… 코스피, 소폭 하락한 3170선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