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크모어

Menu

랭크뉴스 › 서울 '10억 이하' 아파트 계약 47%→67%...규제 후 중저가에 몰린 수요

랭크뉴스 | 2025.07.11 07:14:05 |
6·27일 대출 규제 전후 열흘 비교하니
전체 매매계약 중 10억 이하 비중 급증
'한강벨트' 단지 비중 ↓서울 외곽 ↑
7일 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급매 매물 광고가 게사돼 있다. 뉴시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한 6·27 규제 직후 서울 내 10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계약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부담이 커지고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중저가 아파트로 수요가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출 규제가 시행된 지난달 28일을 기준으로 직전 열흘(6월 18~27일) 간 체결된 서울 아파트 매매계약은 총 3,676건으로, 이 중
10억 원 이하 아파트 비중은 46.8%(1,721건)
였다. 이에 반해 규제 날부터 열흘간(6월28일~7월7일) 이뤄진 매매계약(782건) 가운데 이 비중은
67.0%(524건)로 뛰어올랐다
.

아파트 계약 신고 기간이 30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추후 수치가 변동될 수는 있으나, 전체 거래 대비 비중이 20.2%포인트나 늘어난 점을 미뤄볼 때 중저가 아파트 수요는 최종적으로 유지되거나 늘어날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5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매매 중위 가격은 10억8,000만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15억 원 이상 고가 아파트 계약 비중은 급감
했다. 규제 전 열흘 동안 고가 아파트 계약은 1,001건으로 전체 거래 대비 27.2% 비율을 기록했으나,
이후 열흘간은 15.5%(121건)에 불과
했다. 강력한 대출 규제가 발표 하루 만에 현장에 적용된 데 이어 이달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까지 도입되며 고가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주춤해진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강준구 기자


올해 들어 집값이 매섭게 끓어오르던 '
한강벨트' 아파트 거래 비중도 줄었다.
규제 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의 거래 비중은 전체의 23.4%(862건)였다. 규제 후에는 이 비율이 7.0%포인트 감소한
16.4%로 집계됐다
. 반대로 서울 외곽지역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비중은 21.0%에서 27.7%로 6.7% 올라섰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되는 등 규제는 효과를 내는 중이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은 7월 첫째 주(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주간 0.29% 상승해 전주(0.40%)보다 둔화했다고 분석했다. 강남구(0.73%→0.34%)와 송파구(0.75%→0.38%), 강동구(0.62%→0.29%)의 상승폭이 유독 급감했다. 다만 강서구(0.13%→0.25%)를 비롯해 금천구(0.08%→0.09%), 관악구(0.1→0.19%), 구로구(0.11→0.18%)는 상승폭이 되레 커졌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6억~8억 원대에 매입이 가능한 서울 외곽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발현되지 않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목록

랭크뉴스 [54,515]

13 / 2726

랭크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