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추천!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사고 현장에 가장 먼저 달려가는 사람, 소방관. 그들이 119 구급차를 몰며 바라본 세상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 시리즈를 연재하는 백경 소방관은 구급대원으로 9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출동 현장에서 너무 많은 죽음을 보아서일까요. 그는 매일 유서를 쓰고 잠이 듭니다. 그가 매일 마주하는 삶과 죽음, 절망과 희망의 이야기.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출동 벨이 울렸다.
동시에 프린터가 지령서를 출력했다.

‘머리가 아프다. 빨리 와 달라.
수시 이용자 김OO’

눈에 익은 이름이었다.
아니, 눈에 익다 못해 보기만 해도
뒷머리가 쭈뼛 솟는 이름이었다.

그는 두통으로, 요통으로, 복통으로, 치통으로
아픈 부위를 매번 바꿔 가며 신고했다.
올해만 119 신고 건수가 100건을 넘겼다.

일러스트 = 김지윤 기자

# 택시처럼 구급차 부르는 남자
집 앞으로 달려가면
여름이나 겨울이나, 낮이나 밤이나
똑같은 해병대 군복에 정글모 차림을 하고
구급차를 향해 손을 흔들었다.

차가 멈추면
제 손으로 처치실 문을 열고 들어오며
“씨X, 구급차가 왜 이렇게 늦어?”
라고 씹어뱉었다.

구급차는 그의 전용 리무진이요
구급대원들은 하수인인 셈이었다.

“OO병원으로 갑시다.”
말하는 입에서는 늘 술 썩은 냄새가 진동했다.

구역질을 참고 남자를 응급실에 데려가면
그때부터 또 다른 시련의 시작이었다.
그가 이미 온 시내 병원에서
이름을 날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상습적으로 미수금을
납부하지 않는 건 물론이요,
의료진들을 조롱하고 욕설을 퍼부으며
의도적으로 싸움을 유도했다.

한 번은 병원 보안요원 면전에 대고
‘병신’이라고 했다가
멱살 잡히기 직전까지 갔는데,
때마침 출동한 경찰이 제지한 덕에
보안요원은 손을 더럽히지 않을 수 있었다.

비슷한 일이 반복되자 시내의 모든 응급실이
진료를 거부하기에 이르렀다.

(계속)
하지만 김씨의 악질적인 민원은 점점 심해졌다. 김씨는 어떤 일까지 벌였을까? 백경 소방관은 특단의 조치를 취하는데,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 “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해병 군복남 ‘100번째 신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8869
추천! 더중플 - 어느 119구급대원의 고백 ①‘6684#’ 여교사 유언이었다…교감이 두려워한 소문의 실체
젊은 여자는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다. 월요일 오전, 학교 측에 아무 이야기 없이 결근했다. 여자는 말수가 적었지만 이따금 소소한 담화를 나누는 동료들이 있었다. 그들에게 여자의 번호로 문자가 왔다. ‘6684#, 죄송합니다’ 6684#은 무슨 뜻이었을까.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여자에게 어떤 사연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1934

②저수지 뒤지다 기겁했다…치매 노모 실종 5시간 뒤 생긴 일
“엄마가 사라졌어요.” 다급하고 황망한 목소리였다. 시골집에 홀로 살고 있던 엄마가 마치 연기처럼 사라졌다고 했다. 너무 덥거나 추운 날 실종된 치매 노인들의 최후는 대개 비슷했다. 열기를 못 이겨 죽거나, 얼어 죽었다. 도대체 노인에겐 어떤 일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5282

③피범벅 남자와 의문의 여자…"쪽팔렸다" 소방관의 고백
그 날 출동장소는 빌라 3층이었다. 사람이 쓰러져 있다는 신고였다. 소생 장비를 챙겨 올라갔다. 출입문을 열었는데 예상 밖의 상황이 펼쳐졌다. 입과 코에서 연신 피를 흘리는 남자와 곁에서 눈물범벅이 돼 자릴 지키고 있는 여자가 눈에 들어왔다. 이들에겐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37082

④죽음의 이유, 전우는 몰랐다…군인이 남긴 ‘변기 위 쪽지’
산길을 따라 십여 분쯤 달리자 군부대가 나타났다. 생활관 화장실 가장 안쪽 칸막이 문 앞에서 당직사관이 바닥에 누운 병사의 가슴을 쉼 없이 누르고 있었다. 군화끈으로 목을 맸지 싶었다. 죽음을 결심한 병사는 아주 작은 쪽지를 남겼다고 했다. 그에겐 슬픈 사연이 있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2329

⑤“이 죽음의 냄새, 쫄지 말자” 20대 커플이 남긴 악취 정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4100

⑥모녀는 112 대신 119 불렀다…손찌검 남편이 풍긴 ‘시체 냄새’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5878

⑦“정녕 한국이 낙원입니까” 썩은 탈북자 시신, 그 옆 성경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4783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282 뉴욕증시, 연일 신기록... S&P·나스닥 사상 최고치 마감 랭크뉴스 2025.07.11
54281 불더위 속 폐지 모아 3천원 손에…"돈 없는 게 죄니 어쩌겠소" 랭크뉴스 2025.07.11
54280 노사, 최저임금 합의는 ‘양보’…‘큰 숙제’ 떠안은 정부 랭크뉴스 2025.07.11
54279 “이것이 바로 조선의 타이칸”...현대차가 만든 ‘슈퍼카’의 정체 랭크뉴스 2025.07.11
54278 경영계도 노동계도 "아쉽다"...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 랭크뉴스 2025.07.11
54277 비트코인 파죽지세…11만6천 달러선도 사상 첫 돌파(종합) 랭크뉴스 2025.07.11
54276 윤석열 재구속에···떨고 있는 ‘내부자들’은 누굴까[점선면] 랭크뉴스 2025.07.11
54275 박지원에 "한쪽 눈 없으시잖아요"... 시각장애인 변호사 사과 랭크뉴스 2025.07.11
54274 서울 '10억 이하' 아파트 계약 47%→67%...규제 후 중저가에 몰린 수요 랭크뉴스 2025.07.11
54273 [비즈톡톡] ‘1+1=3’ 마법 만든 애플과 중국의 공조… “파티는 끝났다” 랭크뉴스 2025.07.11
54272 인구 10명 중 3명 이상 토지 소유…60대 가장 많아 랭크뉴스 2025.07.11
54271 인천 곳곳 '땅꺼짐'‥사흘 연속 발생하기도 랭크뉴스 2025.07.11
54270 폭염 작업에 ‘20분 휴식’ 오늘 재심사…휴식 보장 의무화될 듯 랭크뉴스 2025.07.11
54269 [현장+] “BTS 컴백하는데”…방시혁 오너 리스크에 흔들리는 하이브 랭크뉴스 2025.07.11
54268 논문 표절에 중학생 자녀 조기 유학…여당 ‘이진숙을 어쩌나’ 랭크뉴스 2025.07.11
54267 열 받은 판자촌, 창문도 없다…손선풍기로 버티는 쪽방촌 눈물 랭크뉴스 2025.07.11
54266 에어컨 없는 2평대 독방 수감된 尹···수용번호는 '3617' 랭크뉴스 2025.07.11
» »»»»» "씨X 구급차 왜 이리 늦어?" 똥내 군복남 '100번째 신고' 랭크뉴스 2025.07.11
54264 [단독]재개발앞둔 ‘미아리텍사스촌’ 철거현장 가보니…성매매여성들 여전히 “생계 막막” 랭크뉴스 2025.07.11
54263 [단독]평양 무인기 침투 증거인멸? 드론통제車, 폐차 직전 막았다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