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9일 국회에서 열린 긴급의원총회에서 생각에 잠겨있다. 임현동 기자.
국민의힘이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여기던 지지율 20%마저 무너졌다. 10일 발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국민의힘의 정당 지지율은 19%를 기록했다. 7~9일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한 이번 조사에서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45%)에 26%포인트 차이로 밀렸다. 양당 격차는 국민의힘(19%)과 개혁신당(5%) 격차보다 컸다.

2020년 7월 NBS가 시작된 이래 국민의힘 지지율이 20% 아래로 떨어진 건 처음이다. 이전까진 2020년 총선 참패 뒤 코너에 몰렸던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이 11월 3주차 조사에서 기록한 20%가 최저치였다. 12·3 비상계엄 뒤인 12월 3주차 NBS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26%로 지금보다 높았다.
김영옥 기자
세부 지표는 국민의힘에게 더욱 암울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민주당에 밀렸고, 특히 보수세가 강한 70대 이상에서도 민주당 42%, 국민의힘 29%로 부진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TK)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열세를 보였고, TK 마저도 민주당 28%, 국민의힘 31%로 엇비슷했다. 국민의힘 영남지역 의원은 “이 정도 수치면 TK를 텃밭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하다”고 했다. 반면에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65%로 부정 평가(23%)를 크게 웃돌았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에 실망한 보수층이 다소 소극적으로 응답한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그걸 고려해도 20%대 지지율이 무너진 건 양당 구도마저 흔드는 심각한 수치”라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1003명 중 자신이 진보 성향이라고 답한 이는 280명, 보수 응답자는 244명이었다. 중도는 364명, 성향 모름·무응답은 115명이었다.

안철수 의원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혁신위원장을 사퇴하고 전당대회 출마 의사를 밝히는 기자회견을 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지지율의 추락 원인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선 ▶혁신 부재 ▶특검 쇼크 ▶무기력 고착화라는, ‘삼재(三災)’가 거론된다.

대선 뒤 한 달여 간 변변찮은 쇄신안 하나 내놓지 못하는 국민의힘의 모습이 지지율에 치명상 줬다는 평가다. 지난 2일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원장에 내정됐지만, ‘쌍권’(권성동·권영세 의원)에 대한 인적 청산을 두고 송언석 지도부와 충돌한 끝에 사퇴하면서 갈등의 골만 노출했다.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는 “당 주류에 의해 쇄신이 가로막히는 듯한 장면이 반복되고 있다”며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키를 잡았지만, 판을 확실히 흔들어 혁신을 추동할 동력이 크지 않은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역 의원들을 조여오는 특검의 칼날 앞에 전전긍긍하는 당내 분위기도 끝 모를 추락의 배경이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서울-양평 고속도로 종점 변경 특혜 의혹과 관련해 김선교 의원을 출국금지한 데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2022년 재·보궐 선거 공천 개입 의혹과 관련해 윤상현 의원의 의원실 등을 지난 8일 압수수색했다. 복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이 추가로 수사 선상에 올라 있다는 뒷말이 돈다. 여기에 윤 전 대통령이 10일 재구속 되자 “향후 수사 과정에서 전임 정부의 각종 의혹이 불거지면 야당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은 더 깊어질 것”(수도권 의원)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거대 여당의 입법 강행, 그리고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무기력한 소수 야당의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는 것도 마이너스 요인이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은 “이대로는 사상 초유의 ‘낙마 제로’ 정부 인선이 될 것이라 우려가 현실로 다가온다”라며 “김민석 총리나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전례에 비춰보면 논란이 뚜렷한 이들도 낙마시키지 못하는 건 우리 당에 뼈아픈 부분”이라고 말했다.

송언석 비대위원장은 10일 윤 전 대통령 재구속에 대해 “불행한 사태에 대해 국민께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 이준석 전 대표 강제 퇴출, 6·3 대선 후보 교체 파동 등에 대한 사과문을 전 당원 투표를 거쳐 당헌·당규에 담겠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245 [단독] 네이버, IT기업 최초 사우디 주재원 파견… 슈퍼앱 사업 가속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44 [속보] S&P 500·나스닥 최고치 경신…비트코인 사상 최고가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43 [속보] 뉴욕증시 강세 마감…S&P 500·나스닥 최고치 경신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42 비트코인 또 사상 최고가 경신…11만3천달러선 첫 돌파(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41 최저임금 1만 320원, 17년 만에 노사 합의 결정…민주노총은 퇴장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40 한은 “집값부터 잡자” 금리 동결…관세 협상·추경 효과 ‘주시’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9 10%대 추락한 국민의힘 지지율... "쇄신 대상이 혁신 추진해서야"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8 구속 취소로 석방됐던 尹… 이번에도 '구치소 탈출' 시도할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7 해병특검, 오늘 김태효 소환…수사외압 출발점 '尹 격노' 조사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6 [속보] 비트코인 또 사상 최고가 경신…11만3천달러선 첫 돌파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5 “윤석열 대통령실, 리박스쿨 연관 단체 챙기라고 압력”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4 채 상병 특검 ‘VIP 격노설’ 관련 10여곳 동시다발 압색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3 “새끼 곰 귀엽다고 셀카 찍다가”…다음 날 습격 당해 숨진 관광객, 왜?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2 윤 ‘수용번호 3617’…에어컨 없는 2평 남짓 독방 신세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1 "지옥이 따로 없다" 주문 안 한 택배가 쉴세없이…무슨 사연?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30 이란 외무 "현재로선 NPT 탈퇴 계획 없어"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29 경총 “우리 사회 갈등 넘어 통합과 화합으로 가는 출발점이 되길”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28 코에 충전기 꽂고 "암 걸렸어요"…팬들 속여 돈 뜯어낸 스포츠 스타의 몰락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27 “소금 같던 벗, 잘 가시게”···조국, 고 최홍엽 광주환경운동연합 의장 추모 new 랭크뉴스 2025.07.11
54226 한동훈 “전작권 환수, 정부 마음대로 끼워팔기 할 대상 아니다” new 랭크뉴스 2025.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