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난민 인정자는 국세·지방세·사회보험료 내
모두 1544명, 소비쿠폰 다 신청해도 8억대
김민재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둘러싸고 난민 혐오가 고개를 들고 있다. 소비쿠폰 지급 대상에 결혼 이민자(F-6), 영주권자(F-5)와 함께 난민 인정자(F-2-4)가 포함되자,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차별적 주장이 확산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난민 등 취약한 이주민 집단에 대한 혐오를 앞세운 정책 반대를 한국 사회의 위험 신호로 해석하며, 정부의 정확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보수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을 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대표적인 반대 논리 중 하나로 난민 인정자에게 소비쿠폰을 지급한다는 정책을 문제 삼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부정선거론의 연장선에서 “중국인에게 (부정선거에 따른) 표값을 준다는 걸 난민에게 소비쿠폰 준다고 포장한다”는 글이 올라오는가 하면, “난민에게까지 돈을 풀어 원화 가치를 떨어뜨리고 미래세대에게 빚만 남긴다. 나라 망하는 거 순식간 아니냐”는 글도 번졌다. 욕설을 섞어 “(외국인·난민 등이) 세금도 내지 않고 혜택만 챙긴다”는 등 노골적인 비하를 담은 글까지 게시됐다.

이런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소비쿠폰을 받게 되는 난민들을 ‘세금 도둑’이라고 비방하지만 난민 인정자는 내국인과 동일하게 소득에 따라 국세·지방세·사회보험료 등을 내고 있다. 또 국내 난민 인정자는 1994년부터 2024년까지 1544명에 그친다. 이들 모두가 소비쿠폰을 신청한다고 해도 전체 지급액은 2억3160만~8억4920만원 수준으로 소비쿠폰 전체 예산(12조1700여억원)의 0.0019%~0.0069% 수준이다.

소비쿠폰과 비슷하게 보편적으로 지급됐던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난민 인정자를 제외한 건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판단도 있었다. 헌재는 지난해 3월 “영주권자, 결혼 이민자, 난민 인정자 모두 코로나19로 경제적 피해를 보았고, 회복을 위한 지원 필요성에서 차이가 없다”며 “난민 인정자 수를 고려할 때 지급에 따른 재정 부담도 크지 않다”고 판시했다.

그런데도 난민을 지목하며 재정정책 반대의 소재로 악용하는 상황에 전문가들은 우려를 나타냈다. 한상희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8일 “각자도생의 사회로 내몰린 상황에서 난민 등 취약한 집단을 표적 삼아 사회·경제적 책임의 문제를 이들에게 덮어씌우려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며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극우적 분위기의 한 발현 형태”라고 짚었다.

난민을 넘어 이주민 전반을 앞세운 정책 반대도 나타난다. 7년 이상 장기 채무를 조정해주는 ‘배드뱅크’ 정책의 경우 야당인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외국인 도박·유흥 빚을 탕감해준다’(나경원 의원)는 주장이 이어졌다. 사행성 채무는 조정 대상에 해당하지 않으며, 국내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어 경기 선순환이라는 정책 목적에 부합하는 영주권자만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정부는 설명하지만, 왜곡된 주장은 계속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배드뱅크를 두고 ‘셰셰(중국어로 ‘고맙다’는 뜻) 정책’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졌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국제 사회 일원으로서 인도적 의무 차원에서도, 경기 회복이라는 정책의 목적 차원에서도 난민 인정자 등 한국에 장기간 정주하는 외국인을 정책 대상에 포함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595 [속보] 위성락 “조속한 시일 내 한미회담 할 것… 美도 공감 표해" 랭크뉴스 2025.07.09
53594 잠든 사이에도 저혈당 막는다…환자 몸에서 조절 호르몬 자동 주입 랭크뉴스 2025.07.09
53593 "옷도 못 입고 대피"…긴박했던 아파트 화학물질 누출 현장 랭크뉴스 2025.07.09
53592 尹, 재구속 기로에서 직접 등판…'PPT 178장' 내란 특검과 벼랑 끝 공방 랭크뉴스 2025.07.09
53591 김건희 특검 “‘김건희 집사’ 4월 출국...여권 무효화 예정” 랭크뉴스 2025.07.09
53590 ‘3개월’ 여당 검찰개혁 속도전… “신속 입법” “입법 폭주” 공방 랭크뉴스 2025.07.09
53589 서부 전역에 폭염특보…오늘도 38도 안팎 폭염 랭크뉴스 2025.07.09
53588 '채상병 외압' 뒷선 가려진 김태효 전면에…특검 핵심 피의자(종합) 랭크뉴스 2025.07.09
53587 尹 구속영장심사 1시간 휴정…저녁식사 후 오후 8시 재개 랭크뉴스 2025.07.09
53586 삼성 자회사 하만, 對이란 제재 위반… 미 재무부와 20억원에 합의 랭크뉴스 2025.07.09
53585 포스코, 中 제철소 현지 청산그룹에 매각 랭크뉴스 2025.07.09
53584 [속보]‘김건희 집사’ 4월 해외도피 확인···김건희 특검팀, ‘여권 무효화 조치’ 등 본격 수사 랭크뉴스 2025.07.09
53583 ‘관세 폭탄’ 다음은 ‘안보 청구서’… 트럼프, 韓·獨·나토 등 동맹에 압박 2막 랭크뉴스 2025.07.09
53582 윤 전 대통령 구속 기로…특검 수사 향방은? 랭크뉴스 2025.07.09
53581 [단독] 원화 스테이블 코인, ‘규제 샌드박스’로 도입 속도낸다 랭크뉴스 2025.07.09
53580 이진숙, “임기 내년 8월까지” 사퇴 없다…국무회의 배제 “아쉽다” 랭크뉴스 2025.07.09
53579 집이 통째 뜯겨 급류에…강수위 40㎝→6m, 하늘 뚫린 미국 [영상] 랭크뉴스 2025.07.09
53578 김건희, 60평 아크로비스타 놔두고…“좁아서 퇴원 뒤 코바나 사무실 생활” 랭크뉴스 2025.07.09
53577 걷다가, 일하다가 ‘픽픽’…벌써 8명 숨졌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9
53576 [단독] “군 데이터 방산업체 공유 확대”… 정찰·통신·항적 자료 우선 거론 랭크뉴스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