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다 잡아 족치면 부정선거가 확인될 거라며 선관위 직원을 체포해 가둘 계획까지 세웠던 노상원 씨인데요.
이번 메모에서도 내란 당시 정보사가 선관위에 진입해 서버를 촬영했을 때 놀란 의원들이 많을 거라며, 적반하장식 억지를 이어갔습니다.
이혜리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리포트 ▶
비상계엄 당시 선관위 전산실로 난입한 계엄군.
계엄이 해제된 뒤에도 한동안 선관위를 떠나지 않았습니다.
노상원 전 사령관은 선관위 서버실 점거를 지시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노 전 사령관은 계엄 후 작성한 메모에서 "정보사가 선관위를 진입해 서버를 촬영했을 때 놀란 의원들이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선관위원장은 왜 서버 교체 검토를 했느냐"며 "정보사가 들고 간 것도 아니고 탈취당한 흔적이 없다고 했는데 왜 이런 말을 했느냐"고 적었습니다.
계엄 직후 선관위가 20억 원의 돈을 들여 서버 교체를 검토한다는 일부 언론 보도가 나왔지만 선관위는 "계엄군의 무단 점거로 보안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서버 교체는 검토한 사실이 없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노 전 사령관은 선관위가 서버를 교체해 부정선거 흔적을 없애려 한다는 음모론에 동의하는 취지의 글을 적은 겁니다.
부정선거 음모론을 입증할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는데도 또 다른 의혹을 추가로 제기한 셈입니다.
노 전 사령관은 "전산실 직원 5명은 내막을 잘 알고 있을 거"라며 "이들의 재산, 계좌, 근무경력, 채용관계, 그리고 이들을 조정하는 배후세력 조사가 필요하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다 잡아 족치면 부정선거가 확인될 거"라며 선관위 직원 체포와 구금 계획까지 세웠던 노 전 사령관이 계엄 후에도 또다시 선관위 직원들을 조사해야 한다고 한 겁니다.
그러면서 조해주 전 선관위원을 언급했습니다.
"조해주의 뒤를 봐준 사람이 누구인가. 이 사람을 조사하면 인과관계를 알 수 있다"고 적었습니다.
조 전 위원은 계엄군에 하달됐던 체포 명단과, 계엄 한 달 전쯤인 지난해 11월 9일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휴대폰에 기록한 14명 명단에 이름이 기록됐습니다.
특검은 비상계엄 국면 전반에 깊숙이 개입하고 계엄 이후에도 선관위에 대한 불법적인 조사를 주장한 노 전 사령관의 혐의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혜리입니다.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