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구속영장 청구서·경찰 의견서 분석]
尹, 부하 직원 진술 회유하고 압박 정황
강의구, 尹 변호인 입회하자 진술 번복
경찰 의견서에도 김성훈 진술 방패 삼아
특검 "법률전문가가 법 경시, 구속 필요"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내란특검의 2차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서에 윤 전 대통령이 부하의 진술을 회유하거나, 진술을 조작한 정황이 있어 구속이 필요하다고 적시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 전 대통령은 앞서 경찰에 제출한 의견서에도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그런 진술(비화폰 삭제 지시)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부하 직원의 진술을 방패 삼아 혐의를 부인했다. 특검팀은 법률전문가인 윤 전 대통령이 법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7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내란특검팀은 구속영장 청구서에서 윤 전 대통령이 '도망 가능성'과 '증거 인멸 가능성'이 모두 있기 때문에 구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은 자칭 '법치주의자'임에도 누구보다 법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유죄가 선고되더라도 판결 결과에 승복할지 불분명하다"며 "수사와 재판을 보이콧할 목적으로 도망할 염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핵심 피의자들을 회유하거나 압박해 진술을 오염시키는 등 증거인멸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의 진술 번복이 대표적이다. 특검은 지난달 30일 진행된 강 전 실장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변호인이 갑자기 입회해 강 전 실장의 답변을 바꾼 것을 문제 삼았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에 속한 변호사가 갑자기 강 전 실장 조사에 입회해 답변을 유도하자, 강 전 실장이 기존 검찰 진술을 번복하고 윤 전 대통령 진술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바꿨다는 것이다.

김성훈(오른쪽)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이 1월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참석해 있다. 정다빈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제출된 윤 전 대통령 측 의견서에도 회유 흔적이 보였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사건이 특검에 인계되기 전 두 차례에 걸쳐 총 45쪽짜리 의견서를 제출했다. 한국일보가 입수한 윤 전 대통령 측의 의견서엔 "김 전 차장이 피의자(윤석열 전 대통령)가 비화폰 통신 내역을 삭제하라는 지시(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 혐의)를 한 바 없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적었다.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이 김 전 차장에게 직접 진술을 확인한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후 김 전 차장의 진술을 자신의 혐의를 부인하는 '방패막'으로 이용했다.

경찰은 당시 윤 전 대통령 측이 '공범 간 말 맞추기'를 시도했다고 보고 강제수사 방안을 고민했다. 대통령 직위를 이용해 직원들에게 진술을 강요 또는 종용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분리가 필요하다고 본 것이다. 특검 역시 김 전 차장이 경찰 조사 초기에 대통령 변호인단이 입회하자 대통령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진술하다가, 탄핵 인용 이후 이들이 입회하지 않게 되자 혐의를 인정한 점에 주목했다. 변호인단은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기 전까지 김 전 차장과 이광우 전 경호본부장을 함께 변호했다.

연관기사
• 범죄 행위 직전마다 기록된 '윤석열 비화폰 통화'... 스모킹 건 됐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711180004913)• 특검 "계엄 사후 문건, 세단기로 파쇄... 尹 대통령기록물법 등 4개 죄명"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714360004711)• 尹 공범은 누구? '계엄 문건 조작' 한덕수, '체포 방해' 박종준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713360001776)• 尹 "국회 출입 통제 안 했다"... CNN 등 외신에 '허위 홍보' 직접 지시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70712020002234)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824 [단독]서울 집 산 40% '갭투자'였다…1주택자 전세대출 금지 검토 랭크뉴스 2025.07.08
52823 외식 소주 가격 열달만에 올라…맥주도 7개월 만에 상승 랭크뉴스 2025.07.08
52822 "中서 대학 자율성 부러워할 줄이야"…딥시크 탄생의 힘 [창간기획-평화 오디세이] 랭크뉴스 2025.07.08
52821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안, MZ세대의 불신 잠재울까? 랭크뉴스 2025.07.08
52820 "못 버틸 것 같아, 사랑해"…텍사스 폭우 속, 아버지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19 "8월부터 한국에 25%"‥"미국 내 투자" 여지 랭크뉴스 2025.07.08
52818 한 달 전 봉제공장 방화 참극 뒤엔… 벼랑 끝 '객공'이 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17 [단독] '초·중등 교육 전문성 결여 논란' 이진숙 후보자, 두 딸도 미국서 조기 유학 랭크뉴스 2025.07.08
52816 ‘전세사기 후폭풍’ 올해 서울에 준공된 빌라 1800가구 뿐 랭크뉴스 2025.07.08
52815 캠프 참가 어린이 27명 주검으로…美 텍사스 홍수 사망자 91명 랭크뉴스 2025.07.08
52814 전국 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낮 최고 36도 랭크뉴스 2025.07.08
52813 백악관, 한·일 관세 서한 먼저 공개한 이유에 “트럼프의 선택” 랭크뉴스 2025.07.08
52812 韓 고위급 방한 중 관세 유예 ‘3주 연장’…산업부 “협상 박차” 랭크뉴스 2025.07.08
52811 "미루다 동력 떨어질라"... 검찰개혁 가속페달 밟는 민주당 랭크뉴스 2025.07.08
52810 "아빠 저를 때리지 마세요" 8년의 학대···아이는 직접 112에 신고해야 했다 랭크뉴스 2025.07.08
52809 전 며느리 요리에 독버섯이…시댁 3명 숨진 비극, 배심원단 “살인 유죄” 랭크뉴스 2025.07.08
52808 밸류업하고 임직원 상여 주고…세방, 자사주 14억 원 처분[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7.08
52807 [속보] 트럼프 “韓에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부과”…사실상 협상 연장 랭크뉴스 2025.07.08
52806 尹 "철문 너무 쉽게 열려" 질책… "총 보여줘" 위력 경호 지시도 랭크뉴스 2025.07.08
52805 “일부 국무위원만 소집”vs“정족수 채워지는 대로···” 미리 보는 윤석열 구속영장 심사 랭크뉴스 202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