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영장]
한덕수·김용현 등과 계엄 논의하다가
임의로 국무위원 6명 대통령실 호출
회의 참석 못한 9명을 피해자로 판단
"尹, 국무위원 헌법수호 권한 방해"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피의자 조사를 받기 위해 조은석 특별검사 사무실이 있는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불법계엄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면서 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국무위원 9명을 직권남용 '피해자'로 적시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일부 국무위원에게만 비상계엄 사실을 먼저 알리고 일부에게는 국무회의 개최 사실조차 알리지 않아 헌법상 국무회의 심의권을 침해했다는 게 특검의 판단이다.

7일 한국일보가 분석한 윤 전 대통령 구속영장 청구서에 따르면, 특검은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밤 열린 국무회의와 관련, 윤 전 대통령에게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적용했다. 국무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김완섭 환경부 장관, 김문수 당시 고용노동부 장관,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등 국무위원 9명을 윤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 피해자로 적시했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기로 결심한 뒤 일부 국무위원에게만 비상계엄 계획을 알리고, 일부는 '국무회의 외관'만을 위해 일부러 뒤늦게 호출했다고 봤다. 구체적으로 윤 전 대통령은 12월 3일 한덕수 당시 국무총리, 김용현 당시 국방부 장관,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박성재 당시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장관 등 6명이 이미 대통령실에 와있는 상황에서, 뒤늦게 최상목 당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상우 장관, 안덕근 장관 등 6명에게 연락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유는 알려주지 않고 대통령실로 오도록 지시했다. 특검은 뒤늦게 대통령실로 호출 받은 이들 6명에 대해 "피의자(윤 전 대통령) 자신이 임의로 선정한 것"이라고 구속영장에 적시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은 대통령실로 호출한 국무위원 중 박상우·안덕근 장관이 도착하기 전인데도, 국무회의 정족수인 11명이 채워지자 국무회의를 개최·종료했다고 봤다. 해당 국무회의에선 아무런 심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윤 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비상계엄 선포를 하겠다"고 통보하면서 오후 10시 18분쯤 종료됐다.

특검은 이 같은 윤 전 대통령의 행위가 국무위원의 심의권을 침해한 직권남용이라고 판단했다. 헌법 89조는 '계엄과 그 해제'를 국무회의 심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무회의 규정은 '국무회의는 국가의 중요 정책이 전 정부적 차원에서 충분히 심의될 수 있도록 운영돼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국무회의는 대통령의 자의적 권한 행사를 견제하기 위해 마련된 통제 절차인데, 윤 전 대통령이 이를 무력화시켰다는 것이다.

특검은 구속영장 청구서에서 "국무위원은 (대통령의 자의적 계엄 선포에 대해) 국무회의에 출석, 심의에 참여해 기명으로 반대 의견을 표명하고 이를 회의록에 남기는 등 헌법을 수호해야 할 헌법적 권한과 책무가 있다"며 "윤 전 대통령은 국무회의 의장으로서 회의를 소집하고 이를 주재할 권한을 남용해, 국무위원 심의권 행사를 방해했다"고 적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696 '쌍권 청산' 거부당하자 '당대표 출마'로 선회한 안철수의 승부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5 경기 온열질환자 100명 넘어…폭염특보 속 사흘째 열대야 기승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4 폭염 뚫고 날아오른 'K팝의 여왕들'...블랙핑크 더 강력해졌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3 유럽연합 “9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 체결 목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2 인도네시아 화산 분화…발리 오가는 항공기 수십편 취소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1 영남 내륙 39도 훌쩍…사람도 가축도 지친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90 김선교 출금에 국힘 “이제 시작”…특검 수사 전방위 확대될라 ‘술렁’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9 "경찰에 총 보여줘라"‥체포영장 집행 저지 그날엔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8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초유의 한일 과거사 표 대결 패배(종합)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7 尹과 한뜻 '계엄 정당화'‥메모 왜 남겼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6 이진숙 후보자, 지자체장 인수위 ‘양다리’에 정부·지자체 위원 최소 37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5 [속보]유네스코서 ‘군함도 안건 상정’ 무산···일본과 표결서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4 “동네약국 7만원 비타민이 여긴 3만9천원”…약국계 코스트코 가보니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3 [단독] "선관위 다 잡아족쳐야"‥끝까지 '부정선거론'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2 [단독] "국민께 알려야"‥尹 '망상의 계엄' 씨앗 됐나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1 유네스코서 군함도 논의 무산…표대결 패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80 [속보] 法, 노상원 전 사령관 추가 구속…"증거인멸·도주 우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79 [단독] "민주당 의원들은 가짜"‥노상원 '망상'의 메모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78 [속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군함도 후속조치' 공식 의제 채택 불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677 오늘 밀양 39.2도…평년 대비 10.2도 치솟았다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