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3일 시연회 열어 “2년간 협력성과”
사고 위험 높은 자재 운반 자동화

삼성물산 건설부문(삼성물산)은 현대건설과 공동으로 연구·개발한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로봇의 현장 시연회를 지난 3일 열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현대건설 인천 청라 하나드림타운 현장에서 진행됐다. 소병식 삼성물산 ENG혁신실장(부사장)과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이 공동 개발한 '스마트 자재 운반 로봇'이 지난 3일 현대건설의 인천 청라 하나드림타운 현장에서 자재를 싣고 이동하고 있다./삼성물산 제공

두 회사는 2023년 4월 ‘건설 로봇 분야 에코시스템(Eco-system) 구축 및 공동 연구 개발’에 대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시연회는 이후 2년 간 협력 성과를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였다.

이번에 공개된 로봇은 건설 현장에서 반복적이고 사고 위험이 높은 자재 운반 작업을 자동화 했다. 작업자와 자재 동선을 분리해 작업 효율성을 향상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여기에는 ▲3D 영상을 통한 팔레트 형상과 피킹 홀 인식 기술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지도를 생성하는 동시에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 ▲운반 작업 관리, 로봇 관제 기술 ▲충전기 자동 도킹 기술 등이 탑재됐다. 두 회사 축적한 건설 현장 노하우와 로봇 기술력을 결합해 실제 건설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개발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삼성물산은 설명했다.

특히 팔레트 자동 인식과 피킹 기술은 반복적인 고중량 자재 운반 작업의 정확도와 안전성을 크게 높였다. 자율주행 알고리즘과 장애물 인식 기술은 복잡한 현장 내에서도 효율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주행 경로, 장애물 위치 등을 실시간으로 시각화하는 원격 관제 시스템까지 더해져 다수 로봇이 동시에 운용되는 대형 현장에서도 통합 제어와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다.

삼성물산은 이번 지상 운반 기술 실증을 바탕으로 향후 수직 운반 기능과 복합 동선 대응이 가능한 로봇 기술로 개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2023년 7월에 출범한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의 의장사다. 이번 로봇 개발도 이러한 얼라이언스 활동의 일환으로 추진된 기술 과제로, 앞으로 산·학·연·관 협력을 기반으로 기술 실증과 현장 적용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소병식 삼성물산 ENG혁신실장(부사장)은 “자재 운반 로봇은 건설사 간 최초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 개발의 성과이자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라며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으로 산업의 전반적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환경에서 로봇의 등장과 활용은 피할 수 없는 상황임과 동시에 건설 현장 무인화의 기반”이라고 했다.

김재영 현대건설 기술연구원장은 “이번 시연회는 수평 운반 자동화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다양한 건설 자동화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면서 “앞으로도 건설 자동화 기술의 실효성을 높이는 한편, 스마트건설 생태계 전반의 기술 연계와 고도화를 통해 현장 중심의 로보틱스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2399 진안서 '폭염 속 산행' 50대 숨져…체온 40.5도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8 정부, 미국에 “차 운반선 입항 수수료, 한국은 빼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7 "총은 경호관들이 훨씬 잘 쏜다"… 尹 체포저지 구체 정황 영장 적시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6 이대통령 지지율 62.1%…전주보다 2.4%P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5 취임 한 달, 이 대통령 지지율 62.1%…민주 53.8% 국힘 28.8%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4 [스트레이트] "검찰 역사 최악의 치욕"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3 연금으로 크루즈 타는 '은퇴 파라다이스'는 어떻게 가능할까[수술대 오른 퇴직연금③]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2 창원 진해 앞바다서 50대 숨져···수상오토바이 사고 추정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1 대출규제 첫 시험대 오른 분양시장…영등포·성수동서 8845가구 공급[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90 "계좌 옮기면 200만 원 드립니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9 트럼프 “머스크 ‘아메리카당’ 창당? 터무니없다”···재무장관은 “테슬라가 싫어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8 카카오페이 폭등 배아프지? 스테이블코인 '진짜 수혜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7 윤석열 변호인단, 특검 영장청구에 “범죄 성립 안 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6 정부, 美에 “車 운반선 입항 수수료…中에만 부과하고 韓은 빼달라”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5 트럼프 “12~15개 나라에 7일부터 상호관세 서한 발송”…8월1일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4 삼부토건 파고든 특검, '우리기술 주가조작 의혹'도 정조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3 ‘방미’ 위성락 실장 “관세협상 중요 국면…루비오와 협의, 도움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2 [이하경 칼럼] 중국식 AI 혁명의 충격…우리가 잘하면 축복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1 ‘주담대 6억 제한’ 통했나···서울 집값 상승률 꺾였다 new 랭크뉴스 2025.07.07
52380 “24시간 내 추가 홍수” 美 텍사스 홍수 피해 확산… 실종 41명·사망 71명 new 랭크뉴스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