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 탓… 평년比 13.4% 올라
고물가에 당장 제품 출고가 인상 가능성은 작지만
업계 “쌀값 상승 추이 예의주시”

최근 쌀값 상승률이 평년 대비 13%를 넘어섰다. 지난해 쌀 생산량 감소로 인한 물량 부족 탓이다. 3월부터 이어지는 쌀값 고공행진에 쌀 소비량이 많은 식품·주류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물가 기조가 여전해 당장 원가 인상분을 제품 출고가 등 가격에 반영하기는 어렵지만, 쌀값 오름세가 계속될 경우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손민균

2일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20㎏ 기준 쌀값(소매가격)은 지난달 30일 기준 5만9059원이다. 이는 전년 대비 10.16%, 평년 대비 13.38% 각각 오른 수치다.

쌀값은 지난 3월 이후 오름세가 이어져 왔다. 지난 2월 기준 쌀값은 5만4438원으로 전년 대비 2.5% 하락했지만, 3월 5만5237원으로 4.5% 올랐다. 이후 4월에는 전년 대비 7.9% 오른 5만4831원, 5월엔 4.1% 오른 5만6178원이었다. 5월 23일부터 한 달 넘게 쌀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5만9000원대를 넘겼다.

이는 지난해 날이 더워 쌀 생산량이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KREI)가 최근 발표한 ‘6월 쌀 가격 강보합세 전망’에 따르면 지난 3~4월 산지 유통업체의 벼 매입량은 8만5000톤(t)이다. 전년 대비 5000t 늘었다. 상대적으로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이 감소해 쌀 공급 부족 인식으로 가격이 오르는 구조가 형성된 셈이다.

산지 유통업체의 보유 재고도 예년에 비해 적은 편이다. 지난 4월 말 기준 전체 쌀 재고는 71만2000t으로 전년 대비 21만t 감소했다. 쌀 생산·유통 판매업체 대표 A씨는 “작년에 날이 너무 더워서 쭉정이가 많더니 결국 쌀 물량이 모자라서 함평·목포·영암·나주 등 산지를 직접 내려가서 쌀을 구해야 할 지경”이라며 “계속 이 상태로 가다가는 제일 싼 등급의 쌀도 20kg 당 5만원을 넘길 것”이라고 했다.

그래픽=손민균

이런 상황에서 쌀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전통주 제조업체는 쌀값 인상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쌀 가공협회로부터 할당받는 쌀 물량과 금액의 변동이 관건”이라며 “지금 당장 원가 부담을 제품 출고가에 반영할 가능성은 낮지만, 인상분에 따른 영향을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6~7년 전에 쌀값 폭등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한 적이 있다. 현재 상황을 아무 일도 아닌 것처럼 보기는 어렵다”면서도 “제품 가격을 올리는 건 최후의 보루인 만큼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즉석밥·급식업계도 쌀값 동향을 계속 주시하고 있다. 실제 급식업체 등에 가장 많이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진 전북 정읍산(産) 쌀이 5만원 안팎까지 오르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즉석밥 생산 기업에 쌀을 납품하는 B씨는 “쌀값이 오른 상황이라 공급가를 올릴 수밖에 없었다. 회사와 조율해서 쌀 20㎏ 기준 2000원 정도 올렸다”며 “원가가 부담이 되니까 어쩔 수 없었던 결정”이라고 말했다. 급식업체 관계자는 “쌀값 상승으로 재료비 부담이 커진 건 사실”이라며 “통상적으로 고정가 계약을 하는 만큼 수익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했다.

대부분의 업체가 산지와 연간 계약 재배로 농산물을 공급받고 있어 당장의 쌀값 인상으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쌀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만큼 향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쌀값이 언제까지 오를지가 관건”이라며 “오는 10월 추석 전까지 쌀값이 계속 오른다면 정부 차원에서 비축미를 푸는 등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도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종우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는 “쌀값이 오르면 농가 가계 소득에는 도움이 된다. 소비자와 생산자, 중간 유통·제조업체가 적정한 균형가(價)를 고민해봐야할 때”라며 “쌀값 인상 추이를 예의주시하면서 제품 출고가 인상 혹은 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0168 임은정 김태훈 등 윤석열 정부 때 찍힌 검사들 화려하게 부활 랭크뉴스 2025.07.02
50167 [단독] 최태원 아들 최인근, SK E&S 휴직... 스타트업 준비 랭크뉴스 2025.07.02
50166 다자녀 가구엔 ‘반값 혜택’이 뒤따르지···두산·LG·키움 경기 직관 ‘꿀팁’ 랭크뉴스 2025.07.02
50165 내년도 최저임금 합의 실패…노 “1만1260원”, 사 “1만110원” 랭크뉴스 2025.07.02
50164 [단독]‘자격미달 업체’ 용역보고서···전남, 알고도 ‘전남도기록원’ 부지 선정 랭크뉴스 2025.07.02
50163 “아 더워”…낮 최고기온 36도까지 오른다, 열대야도 계속 랭크뉴스 2025.07.02
50162 [단독] 신혼 버팀목대출 기준 상향도 취소…"왜 서민 대출 줄이나" 부글 랭크뉴스 2025.07.02
50161 9월부터 예금 1억까지 보호…단통법 10년 만에 폐지 랭크뉴스 2025.07.02
50160 이 대통령 “부처의 왕 노릇”···통합·분리 반복된 기재부, 중요한 것은 ‘운용의 묘’ 랭크뉴스 2025.07.02
50159 [단독] 윤 관저 유령건물 공사비 ‘1억 공백’…자금 출처로 국정원 거론 랭크뉴스 2025.07.02
50158 “소득·부동산·부모”…20대부터 쌓이는 부의 속도가 다른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7.02
50157 지하철서 '엄카' 찍고 출퇴근한 40대 아들…1800만원 물게 됐다 랭크뉴스 2025.07.02
50156 [단독] "월 10만원씩 18년 내면 5000만원"…국정위, 아이펀드 추진 랭크뉴스 2025.07.02
50155 "공영방송 사장 국민이 뽑도록"‥촉구 '108배' 랭크뉴스 2025.07.02
50154 노조 생떼에 MG손보 매각 재추진… “자본잠식인데 누가 인수하나” 랭크뉴스 2025.07.02
50153 정부, 4.7조 NXC 지분 매각 본격화… 유력 후보에 中 텐센트 랭크뉴스 2025.07.02
50152 “쓰나미인 줄”…폭염에 포르투갈 해변 ‘이 구름’이 덮었다 랭크뉴스 2025.07.02
50151 "경매도 대출 6억까지만 나온다"…토허제 반사이익 사라지나[집슐랭] 랭크뉴스 2025.07.02
50150 경북 산불 석 달…“함께 살자” 국회 올라온 피해 주민들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7.02
» »»»»» “쌀값 오름세 심상치 않네”… 원가 상승 우려하는 전통주·즉석밥·급식업계 랭크뉴스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