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美상무장관 3일 워싱턴서 회동
EU 깃발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대미 관세협상 기한 종료를 앞두고 무역수장에게 강경한 입장을 주문했다고 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EU 회원국 대사들은 전날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곧 방미하는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에게 어떤 형태의 합의든 오는 9일부터 현재 부과 중인 10% 기본관세 감축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대사들은 특정 산업 부문에 적용되는 고율관세 인하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는 27개 회원국의 무역정책 전권을 쥐고 있으나 대외 협상 시에는 회원국 의견을 수렴하는 게 관례다.
셰프초비치 집행위원은 미국에서 3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만난다. 사실상 협상 시한 종료 전 마지막 대면 협상 자리로, 양측은 미국 측이 제시한 2페이지 분량의 원칙적 합의(principle agreement)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기한인 9일 전까지 합의가 타결되지 않으면 EU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50%로 올라갈 수 있다.
그러나 EU의 협상 전략이 먹힐지는 미지수다.
복수의 EU 당국자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EU와 합의가 영국 사례처럼 단계적 합의 형태가 될 것이라고 암시해왔다.
시한 내에 1단계 합의를 우선 체결하고 세부 항목에 대한 추가 협상을 벌이되 10% 기본관세는 계속 유지하는 방식이다.
EU 회원국들이 4월부터 본격화한 대미 관세협상 국면에서 계속 일관된 입장을 보이지 못하는 것도 협상력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특히 EU가 마련 중인 보복조치를 둘러싼 입장차가 크다.
가령 독일은 '불충분'하더라도 일단은 신속한 합의를 체결하자는 반면 프랑스는 10% 기본관세 유지 등 불균형한 조건은 수용해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영국과 합의, 대(對)중국 무역분쟁 일시 휴전 등으로 자신감을 얻은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경제주체들과 협상에서 더 강경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미국 법무법인 사이들리 오스틴의 국제무역 전문 변호사 테드 머피는 "EU는 이것을 (일반적인) 무역협상처럼 접근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치명적인 실수"라며 "미국 입장에서는 (상대국의) '항복 조건'을 협상하는 것으로 보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