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쉬었음 청년 80만] <상> 번아웃 청년
15~39세 쉬었음 비율 10년 새 2배↑
"전 직장 있었다"는 청년이 4.6배 많아
"임금·근로 조건 안 맞아 쉬는 게 낫다"
성장률 하락 가속… 재취업 유도 필요
그래픽=신동준 기자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일할 능력은 있지만 취업도 구직도 하지 않는 30대 이하 '쉬었음' 비율은 10년 새 두 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직장을 퇴사한 후 다시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는 '재취업 번아웃(Burn out·탈진)'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5배 남짓 많았다. 쉬었음 인구1의 경제활동을 위한 정확한 원인 분석과 함께 재취업 유도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5일 한국일보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MDIS)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15~39세 청년층 쉬었음 인구 68만3,894명 중 82%(56만991명)가 이전 직장에서 퇴사하고 구직 의욕을 잃은 것으로 집계
됐다. 전직이 있는 경우가 아예 취업한 적 없이 쉬었음에 들어선 경우의 4.6배에 달한다. 통계청이 청년층으로 분류하는 15~29세 쉬었음 인구는 지난달 39만5,600명 수준인데, 본보는 청년층의 첫 직장 입사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점과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는 시기임에도 쉬었음 증가가 뚜렷하다는 점에서 30대까지 포함해 분석했다.

15~39세 쉬었음 인구는 올해 2월 역대 최대 수치인 82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달 기준으로도 2016년 5월 44만1,923명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54.8% 증가했다. 30대 이하 인원 자체는 같은 기간 215만3,000명 줄어들었음에도 쉬었음 상태에 놓인 청년은 외려 늘고 있는 것인데,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더불어 잠재성장률 하락을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래픽=신동준 기자


해당 연령층 인구 전체에서 쉬었음이 차지하는 비율도 같은 기간 2.6%에서 4.6%로 증가했고, 이 가운데 전직이 있는 경우 역시 77%에서 5%포인트 뛰었다. 이들은 왜 직장을 떠났을까. 지난달 퇴사 사유를 답한 이들 중 가장 많은 이가 비교적 포괄적인 '개인·가족 관련 이유(39%)'로 답변했고, 이어 '시간, 보수 등 작업여건 불만족(34%)', '임시·계절적 일의 완료(15%)'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을 원하지만 쉬고 있는 이들은 그 이유로 '원하는 임금수준,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42%)', '이전에 찾아봤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24%)'을 1, 2위로 꼽았다. 김성희 고려대 노동전문대학원 교수는 "막상 취업해봤더니 여건도, 전망도 충분치 않아 '쉬면서 다른 모색을 하는 게 어설픈 직장보다 낫다'는 판단에 퇴사 후 경력단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짚었다.

1
쉬었음 인구통계청이 펼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조사기준일 직전 일주일 간 가사·육아·학업·질병 등의 특정 사유 없이 일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들을 말한다.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실업자와 구분된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4125 요즘 드라마는 왜 노무사, 특채 경찰, 전공의가 주인공일까 랭크뉴스 2025.07.10
54124 尹, 서울구치소 2평 독방 수감… 에어컨 없고 바닥서 수면 랭크뉴스 2025.07.10
54123 이 대통령, 첫 NSC 주재..."남북 평화 공존이 안보 위한 가장 현실적 선택지" 랭크뉴스 2025.07.10
54122 세상 풍경 중에서 제일 아름다운 풍경 [그림판] 랭크뉴스 2025.07.10
54121 [속보] 노동계 1만440원·경영계 1만220원…최저임금 9차 수정안 랭크뉴스 2025.07.10
54120 끝 모를 폭염…더운 고기압 ‘겹겹이’ 랭크뉴스 2025.07.10
54119 尹, 서울구치소 일반수용동 2평대 독방 수감…수용번호 '3617' 랭크뉴스 2025.07.10
54118 부산서 숨진 고교생 3명 휴대폰 포렌식 완료…“범죄 혐의 없어” 랭크뉴스 2025.07.10
54117 윤 전 대통령 내란재판 불출석에 특검 “구인요청”·윤측 “위법” 대립 랭크뉴스 2025.07.10
54116 이 대통령 “남북 평화 공존이 안보 위한 실용적 선택지” 첫 NSC 회의 130분 주재 랭크뉴스 2025.07.10
54115 코스피 3200까지 16포인트 남았다···‘돌아온 외국인’과 ‘동학개미’ 힘으로 연고점 또 경신 랭크뉴스 2025.07.10
54114 "이게 소상공인 지키기인가?"…'백종원 닭꼬치' 왜곡에 김재환 전 PD 고발당했다 랭크뉴스 2025.07.10
54113 윤석열 수감번호 3617…독방 선풍기 50분 돌고 10분 멈춘다 랭크뉴스 2025.07.10
54112 내란특검, 윤석열 내일 조사…구속 영장 발부 뒤 김건희에게 알려 랭크뉴스 2025.07.10
54111 북항 인접 건물로 임시 청사 정한 해수부… 부산시 “빠른 결정 환영” 랭크뉴스 2025.07.10
54110 리박스쿨 대표 “백골단 뭐가 문제냐”···윤석열 정부·리박스쿨 ‘극우화 교감’ 있었나 랭크뉴스 2025.07.10
54109 李대통령, RE100 산단 ‘규제제로’ 지시… ‘에너지 신도시’ 만든다 랭크뉴스 2025.07.10
54108 여중생 나체 찍고 성폭행한 10대 남녀…7년만에 죗값 치른다, 왜 랭크뉴스 2025.07.10
54107 보수마저 등 돌렸다…지지율 '19% 추락' 부른 국힘의 삼재 랭크뉴스 2025.07.10
54106 "먹고살기 힘든데 여행은 무슨"…고물가에 여름휴가 포기하는 직장인들 랭크뉴스 2025.07.10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