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집값 급상승 ‘한강 벨트’ 르포

성동 0.47%·마포 0.45% 상승 폭 커
중개업 “가격 상승에 매물만 줄어”
서울 집값이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들썩이고 있다. 사진은 18일 서울 성동구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 앞에 붙은 매물들. 성동구 옥수동의 e편한세상옥수파크힐스 전용 84㎡는 한 달 사이 22억3000만원(2층)에서 24억3500만원(17층)으로 올랐다. 정진영 기자

지난 17일 서울 마포구 신공덕동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에서는 쉴 새 없이 전화벨이 울렸다. ‘불장’에 진입하고 있는 부동산시장을 실감할 만한 현장이었다. 10통 가까이 전화를 받은 끝에 잠시 한숨 돌린 상담실장은 “거래 중인 아파트 매도인이 계약 직전에 1000만원을 올리겠다고 한 탓에 애를 먹고 있다”며 “요즘 2000만~3000만원 올리는 건 기본이고, 더 오르면 팔겠다며 매물을 거두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마포구와 성동구의 부동산시장이 강남 못잖게 들썩이고 있다. 마포와 성동은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거론되는 지역이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넘어 ‘한강벨트’(마포·용산·성동·강동 등 한강 주변 지역)로 집값 상승세가 번지면서다. 서울 아파트 급등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국민일보가 17~18일 두 지역의 부동산시장에서 확인한 분위기는 ‘짙어지는 과열 양상’으로 요약된다.

성동구 옥수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요즘 매물은 없고 가격은 다 오르고 있다. 일주일 사이 1억~2억원씩 오르는 게 기본”이라며 “투자하려는 분들은 (규제가 시작되기 전에) 사겠다며 오기도 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실거주자만 집을 살 수 있기 때문에 매물이 잠길 수 있다. 매수자가 몰리면서 가격이 뛰는 상황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1일 서울시의회 정례회 시정 질문에서 상황에 따라 성동구, 마포구 등을 토허지역으로 추가 지정할 수도 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마포구의 한 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매물에 따라 앉은 채로 5000만원, 1억원이 그냥 오르기도 한다. 지방에서는 집을 보지도 않고 산다”고 했다. 인근의 공덕아이파크에선 지난달 23일 16억4000만원(9층)에 거래됐던 전용 84㎡가 지난 10일 17억5000만원(12층)에 팔렸다. 지난 4월 19일만 해도 15억2000만원(6층)이던 게 두 달이 안 되는 사이 2억원 넘게 오른 것이다.

이런 움직임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한국부동산원의 6월 둘째 주(9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성동구와 마포구의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각각 0.47%, 0.45% 올랐다. 서울 평균 상승률 0.26%와 비교하면 상승폭이 크다.

마포와 성동의 부동산시장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마포구 공덕동의 한 부동산중개사는 “마포에서 강남, 잠실 같은 상급지로 가야 하는데 거기가 토허제로 묶이니까 마포구 매물도 줄었다”며 “요즘 거래가 잘 안 된다”고 말했다. 성동구 금호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요즘도 호가가 계속 오르는데, 이러다 성동구도 토허지역으로 지정될까봐 걱정된다”고 했다.

토허지역 추가 지정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이 적잖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집값을 잡는다는 명분으로 추가 규제를 할 경우 득보다 실이 클 수 있다”며 “규제로 주택 거래를 억제하면 효과는 볼 수 있겠지만 언제까지 인위적으로 억누를 것인지 근본적인 질문이 따라붙는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53117 美 관세 유예에 정부 “3주 협상 총력”… 핵심인 비관세 장벽은 난제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6 최저임금 격차 줄였다…1만1000원 vs 1만170원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5 "우산 소용없다" 서울 '미친 날씨'…폭염 속 돌풍∙벼락 '호우주의보'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4 故이건희 회장 이태원 주택 228억원에 매각…"매수자는 사업가"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3 [단독] 특검, 추경호 ‘내란 방조’ 의혹도 공수처에서 넘겨받아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2 ‘스레드’ 모바일 사용자 급증… X와 격차 좁혀져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1 고 이건희 삼성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 원에 매각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10 의혹 제기 10개월···특검, 윤석열·김건희 공천개입 밝혀낼까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9 13층 상가 추락 사고 사망자 3명으로···행인 모녀 모두 숨져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8 검찰특활비 부활의 불편한 진실 [유레카]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7 이 대통령 들어오자 넥타이 급히 풀기도…김밥 이어 '노타이 국무회의' [사진잇슈]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6 이시영, 전남편 동의 없이 시험관 임신…법적 책임·양육비 문제는?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5 ‘한낮’ 아니다…온열질환 가장 많은 시간대는?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4 [단독]‘자본잠식’ 김건희 측근업체에 대기업 거액 투자···특검 ‘대가성 여부’ 수사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3 출국금지에 압수수색... 국민의힘 겨눈 특검 수사, 전당대회 흔드나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2 상속세 때문? 故 이건희 회장 이태원 단독주택, 228억원에 매각돼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1 118년 만에 ‘최고 더위’…의왕 40도 돌파, 서울 38도 new 랭크뉴스 2025.07.08
53100 '보수 여전사'로 주의 조치 받은 이진숙‥언론노조 "내려오라, 끌어내리기 전에" new 랭크뉴스 2025.07.08
53099 본보기 된 韓日…美 "내달부터 25% 상호관세" new 랭크뉴스 2025.07.08
53098 이시영, 이혼 4개월만에 임신 발표 "전남편과의 냉동 배아 포기할 수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7.08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