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현지시간) 발사된 스페이스X의 우주선 스타십. 연합뉴스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개발한 최첨단 우주선 ‘스타십’이 9번째 지구궤도 시험비행에 도전했지만, 실패로 끝났다.
스페이스X 온라인 생중계 영상에 따르면 미 중부 시간으로 27일 오후 6시36분 텍사스주 보카 치카 해변 스타베이스 기지에서 스타십이 지구 저궤도를 향해 발사됐다.
이날 발사 직전에는 카운트다운 40초를 남겨두고 진행이 중단된 후 예정된 시각보다 6분 가까이 지연되는 상황을 겪기도 했다.
스타십은 발사 후 3분 만에 발사체 1단부인 로켓 부스터 ‘슈퍼헤비’와 2단부 우주선이 차례로 분리됐다. 슈퍼헤비는 미국만(옛 멕시코만) 해상으로 낙하하면서 엔진이 일부만 재점화돼 급격한 하강이 이뤄지며 기체가 분해됐다.
스페이스X 측은 이와 관련해 해당 로켓은 지난 7차 시험비행에서 온전히 회수된 로켓을 재사용한 것이며 이 같은 손실이 어느 정도 예견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스페이스X가 스타십 시범비행을 하며 이미 한 차례 사용한 로켓을 재사용한 것은 처음이다.
회사 측은 이날 2번째 발사에서 2단 우주선을 궤도로 밀어올리는 역할은 제대로 했기 때문에 “놀라운 성과”라고 자평했다.
슈퍼헤비와 분리된 후 궤도로 진입한 우주선은 당초 약 67분간 비행을 한 뒤 인도양 해상에 낙하할 예정이다. 그러나 비행 중 약 30분 만에 자세 제어 능력을 상실하고 기체가 회전하기 시작했다.
스페이스X 엔지니어는 이에 대해 “스타십 내 연료 탱크 시스템 일부에서 누출이 발생했다”며 “이것은 (계획대로) 통제된 (대기권) 재진입 가능성을 낮춘다”고 설명했다. 이후 우주선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권에 진입했고, 발사 시점 기준 약 50분 만에 교신이 끊겼다.
통상 우주선이 대기권에 재진입할 때 온도는 섭씨 1400도 정도로 치솟기 때문에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열기로 인해 기체가 분해됐을 것으로 추정됐다.
스페이스X는 엑스(옛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스타십은 예정되지 않은 빠른 분해를 경험했다. 우리 팀은 계속 데이터를 검토하고 다음 비행 테스트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스타십은 이번 비행 중 ‘스타링크’ 위성과 비슷한 크기의 모형 위성 8개를 궤도에 배치하는 작업을 실행하려고 했었다. 하지만 우주선 문이 열리지 않아 시도하지 못했다.
머스크는 이날 시험비행이 종료된 뒤 엑스에 “스타십이 예정된 엔진 컷오프를 달성한 것은 지난 비행에 비해 큰 개선이며, 상승 단계에서 열 차폐용 타일의 심각한 손실도 없었다”고 적었다.
머스크는 이어 “(대기권) 재진입 단계에서 메인 연료 탱크 누출로 인해 탱크 압력의 손실이 있었다”며 “검토할 좋은 데이터가 많고, 다음 3차례 비행의 발사 간격은 약 3∼4주에 한 번으로 더 빨라질 것”고 덧붙였다.
머스크는 지구에 위기가 닥쳤을 시 인류를 화성에 보내 거주하게 함으로써 인류를 다행성 생명체로 만든다는 목표로 2002년 스페이스X를 설립하고, 화성 탐사용 우주선 스타십과 로켓을 개발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