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강서구 강서시내버스 공영차고지에 운행을 앞둔 시내버스가 주차돼 있다. /뉴스1
부산과 창원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노사 협상 결렬 이후 파업에 돌입했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 등이 파업을 유보한 것과 달리, 이들 노조는 예고한 대로 파업한 것이다.
부산 시내버스 노사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 20분 첫차를 시작으로 147개 노선의 2517대 시내버스가 운행을 중단했다.
같은 날 준공영제를 하고 있는 창원 시내버스 9개사는 오전 5시 첫차부터 669대를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
부산,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모두 통상임금과 관련해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 측은 올해 임금 8.2% 인상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통상임금을 반영하면 인상률을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는 통상임금을 반영하면 연간 472억원, 창원시는 300억원을 추가 투입해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부산시는 시내버스 노조의 파업에 따라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세버스를 운행한다. 도시철도도 50회 늘리는 등 비상 수송 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다.
창원시도 이날 오전 6시부터 전세버스 170대와 시 소유 관용버스 10대를 비롯해 임차 택시 330대를 투입한다. 창원의 경우 시내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한편 부산, 창원 시내버스 노조와 달리, 다른 지역 버스 노조는 이날 파업을 유보했다. 서울을 비롯해 울산 시내버스 노조는 파업을 미루고 일단 교섭을 지속하기로 했다. 앞서 지역 버스 노조들의 상급단체인 한국노총 자동차노련은 진행 중인 전국 22개 지역 버스노조의 협상이 함께 결렬될 경우 전국 단위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