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성씨, 5분40초 분량 기증
계엄군 전열 정비 장면 담겨
계엄군 전열 정비 장면 담겨
1980년 5월21일 계엄군의 발포 직전 시민이 촬영한 광주 금남로. 5·18기록관 제공
1980년 5월21일 계엄군의 전남도청 앞 집단 발포 직전 광주 금남로를 시민이 촬영한 영상이 처음 공개됐다. 계엄군이 장갑차를 앞세우고 시시각각 시민들을 향해 전열을 갖춰가는 모습이 담겼다.
5·18민주화운동기록관은 27일 5분40초 분량의 미공개 영상을 문제성씨(70)로부터 기증받아 공개했다. 금남로 인근 동명동에 살았던 문씨는 당시 가톨릭센터(현 5·18기록관) 앞에 설치된 전국체전 홍보 조형물 위에서 오전 9시30분부터 낮 12시까지 8㎜ 필름으로 상황을 찍었다.
지금까지 공개된 5·18 당시 영상은 대부분 외신기자나 군 당국, 정보요원 등이 촬영해 편집한 것이었다. 이날 공개된 영상은 촬영자가 명확하고 시간순으로 금남로 상황을 담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있다.
금남로에서 계엄군과 맞서는 시민들의 모습은 오전 11시30분까지 담겼다. 영상을 보면 경찰이 금남로에 모인 시민들을 향해 발사한 최루탄 연기가 자욱하게 피어오른다. 연기 속에서 시민들이 시신 2구를 실은 손수레를 이동하는 장면도 포착됐다. 전날인 5월20일 밤 광주역 앞에서 계엄군의 발포로 숨진 시민 시신 2구가 실린 손수레다. 이 손수레는 오전 11시20분 금남로4가 쪽으로 이동한다.
트럭이나 버스에 탄 시민들은 각목을 들고 있다. 시민 수가 급격히 불어나자 계엄군은 오전 10시23분 무장한 장갑차를 앞세워 전열을 정비하기 시작한다. 이어 계엄군은 시내버스로 바리케이드를 치며 세 차례 전열을 정비한다. 영상이 끝나는 오전 11시30분이 되자 계엄군과 시민들의 거리는 50m까지 좁혀진다. 군 헬리콥터와 C-123수송기가 저공 비행하는 모습도 담겼다.
영상이 끝난 시점부터 약 1시간30분 뒤 계엄군은 시민들을 향해 발포했다. 이날 하루 도청 일대에서 시민 41명이 숨졌다.
김호균 5·18기록관장은 “이 자료는 당시 시민이 촬영한 현존 유일한 영상으로서 5·18 진실규명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귀중한 기록물”이라고 했다. 기증자 문씨는 “당시엔 영상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가 최근 물품을 정리하다 찾아 기증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