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을 일주일 앞두고 27일 열린 마지막 TV 토론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2·3 비상계엄에 대한 평가와 당시 대응을 놓고 맞붙었다. 이 후보는 김 후보에게 “내란행위가 아니라고 계속 우긴다”고 정조준했고, 김 후보는 “내란죄에 대한 재판 결과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날 오후 8시 서울 마포구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를 주제로 한 주도권 토론에선 역시 ’12·3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당시 대응이 최대 화두였다.
이 후보는 “오늘은 저는 가급적 김문수 후보와 논쟁을 좀 끌어가고 싶다. 제일 중요하니까”라며 김 후보에게 질문을 건넸다.
그는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역시 내란 극복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권력을 독점하겠다, 자신들의 부정 비리를 막겠다, 이런 일념으로 계엄을 선포했다”며 “계엄을 해제했어야 된다고 보나. 하면 안 됐다고 보나”라고 물었다.
김 후보는 “계엄 자체를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며 “72년도 유신 때도 계엄 때문에 피해를 받고 80년에도 계엄 때문에 삼청교육 대상자가 됐다”며 계엄 해제가 됐어야 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 서영교 민주당 후보의 계엄 사과 요구에 대해 일어나지 않았다는 이 후보의 지적에 대해 김 후보는 “그건 일종의 군중재판 식”이라며 “일종의 폭력이지 사과도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이 후보는 “그 다음 단계로 물어보겠다”며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파면, 구속에 동의하는지 물었다.
이에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지금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돼 직위가 없어졌다”며 “다만 탄핵 과정에서 절차상으로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며 “어쨌든 파면이 됐고 제가 그걸 인정하기 때문에 이렇게 후보로 나온 것”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가 “(윤 전 대통령) 탄핵이 타당했다고 생각한다는 건가”라고 재차 물었고, 김 후보는 “그렇지 않나. 헌법재판소에서 판결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이거를 물어봐야 한다. (김 후보가) 내란 행위가 아니라고 계속 우겼다”라며 “전시 사변한 게 아니었다. 절차를 안 지켰다. 국무회의도 하지 않았고 제대로 통지도 하지 않았고 국회를 침탈했고 국민 기본권을 이유 없이 제한했다. 이게 내란이 아니면 어떤 게 내란인가”라고 파고들었다.
그러자 김 후보는 “내란이 아니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그는 “내란죄에 대한 재판은 지금 서울 중앙지법에서 진행중이까 그 재판 결과에 판단해야 한다”며 “(이재명 후보는) 무조건 처음부터 내란이라고 한다. 그게 내란인지 아닌지는 판결이 나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우리 보고 내란 동조범이라고 하는 것은 언어 폭력이다. 계엄은 계엄이고 내란은 다른 것”이라며 “그런데 그런 것을 막 섞어서 무조건 상대를 내란이라고 본다. 내란과 아무 상관도 없는 사람도 ‘내란 공범이다, 동조자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심각한 언어 폭력”이라고 반박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왼쪽부터),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가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 TV토론회에 참석해 포즈를 취한 후 자리로 돌아가고 있다. /뉴스1
이날 오후 8시 서울 마포구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를 주제로 한 주도권 토론에선 역시 ’12·3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과 당시 대응이 최대 화두였다.
이 후보는 “오늘은 저는 가급적 김문수 후보와 논쟁을 좀 끌어가고 싶다. 제일 중요하니까”라며 김 후보에게 질문을 건넸다.
그는 “이 시대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역시 내란 극복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권력을 독점하겠다, 자신들의 부정 비리를 막겠다, 이런 일념으로 계엄을 선포했다”며 “계엄을 해제했어야 된다고 보나. 하면 안 됐다고 보나”라고 물었다.
김 후보는 “계엄 자체를 원칙적으로 반대한다”며 “72년도 유신 때도 계엄 때문에 피해를 받고 80년에도 계엄 때문에 삼청교육 대상자가 됐다”며 계엄 해제가 됐어야 했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 서영교 민주당 후보의 계엄 사과 요구에 대해 일어나지 않았다는 이 후보의 지적에 대해 김 후보는 “그건 일종의 군중재판 식”이라며 “일종의 폭력이지 사과도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에 이 후보는 “그 다음 단계로 물어보겠다”며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과 파면, 구속에 동의하는지 물었다.
이에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이 지금 헌법재판소에서 파면돼 직위가 없어졌다”며 “다만 탄핵 과정에서 절차상으로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며 “어쨌든 파면이 됐고 제가 그걸 인정하기 때문에 이렇게 후보로 나온 것”이라고 답했다.
이 후보가 “(윤 전 대통령) 탄핵이 타당했다고 생각한다는 건가”라고 재차 물었고, 김 후보는 “그렇지 않나. 헌법재판소에서 판결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이거를 물어봐야 한다. (김 후보가) 내란 행위가 아니라고 계속 우겼다”라며 “전시 사변한 게 아니었다. 절차를 안 지켰다. 국무회의도 하지 않았고 제대로 통지도 하지 않았고 국회를 침탈했고 국민 기본권을 이유 없이 제한했다. 이게 내란이 아니면 어떤 게 내란인가”라고 파고들었다.
그러자 김 후보는 “내란이 아니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그는 “내란죄에 대한 재판은 지금 서울 중앙지법에서 진행중이까 그 재판 결과에 판단해야 한다”며 “(이재명 후보는) 무조건 처음부터 내란이라고 한다. 그게 내란인지 아닌지는 판결이 나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우리 보고 내란 동조범이라고 하는 것은 언어 폭력이다. 계엄은 계엄이고 내란은 다른 것”이라며 “그런데 그런 것을 막 섞어서 무조건 상대를 내란이라고 본다. 내란과 아무 상관도 없는 사람도 ‘내란 공범이다, 동조자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것은 심각한 언어 폭력”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