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서 중국금융경제연구소장, 한국포럼서
'중국의 산업경쟁력, 얼마나 강해졌나' 강연
정책 일관성·R&D 투자로 기술패권 우위
한국, 잘하는 반도체로 AI 경쟁력 키워야
'중국의 산업경쟁력, 얼마나 강해졌나' 강연
정책 일관성·R&D 투자로 기술패권 우위
한국, 잘하는 반도체로 AI 경쟁력 키워야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이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열린 '2025 한국포럼'에서 '중국의 산업경쟁력, 얼마나 강해졌나'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박시몬 기자
반도체와 축구 빼고는 중국이 한국보다 못하는 게 없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설 수 있었던 요인으로, 정부의 일관된 정책 추진과 막대한 연구개발(R&D) 투자
를 꼽았다. 전 소장은 "잘하는 것 하나에만 집중하면 인공지능(AI) 시대를 주도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전 소장은 27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서울에서 열린 본보 주최 '2025 한국포럼'에서 '중국의 산업경쟁력, 얼마나 강해졌나'를 주제로 특별강연을 맡아 이 같이 말했다. 전 소장은 국내 대표적인 중국통으로, 증권업계에서 반도체 애널리스트로 몸담으며 푸단대 경영학 박사 등을 거쳐 중국 경제·금융 전문가로 오랜 기간 활동해왔다.
전 소장은 한중 산업경쟁력 격차와 관련해 "1993년에는 중국 18개 성을 합쳐도 한국 국가총생산(GDP)보다 작았지만, 지금은 광둥성 하나가 한국을 넘어섰다"며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국을 10년 넘게 찾지 않았는데, 그가 광둥성을 찾지 않은 것처럼 더 이상 직접 챙길 필요성이 없어졌다는 의미
"라고 진단했다. 그는 중국이 전기차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 제조업 전반에서 한국을 넘어 세계 최고 수준에서 올라선 배경으로 △정부의 전문가 중심 정책 일관성 △R&D에 투입되는 막대한 보조금을 꼽았다. 전 소장은 "중국은 2010년부터 7개 첨단산업을 정해 정권이 바뀌어도 흔들림 없이 집중 육성했다"며 "중국의 과학기술부 장관이 26년 동안 5번 바뀌는 동안, 한국은 18번이나 바뀌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입'으로, 중국은 '돈'으로 승부한다"며 "중국은 최근 10년간 R&D 비용과 증가율 모두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한국에게도 기회는 남아있다는 게 전 소장의 주장이다. 향후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될 AI와 그 근간인 반도체에서 한국의 경쟁력은 여전한 만큼, 곧 출범할 새로운 정부가 인재 육성과 AI펀드 조성을 강력한 행정력으로 지원한다면 패권전쟁의 승자가 될 수 있다는 취지다. 전 소장은 "
수학, 과학 영재가 의대가 아닌 공대로 갈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며 "엔비디아 칩 확보와 혐오시설인 데이터센터 건설·전력 공급 문제 등에 있어 정부가 입법과 행정명령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