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소식통 통해 확인…대한민국 땅 밟을 수 있게 외교적 노력 해야"
북한군 포로와 면담하는 유용원 의원
(서울=연합뉴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를 면담한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4일 면담 당시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2025.3.4 [유용원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우크라이나군에 생포된 북한군 포로를 면담한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4일 면담 당시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2025.3.4 [유용원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철선 기자 = 최근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로 송환한 전쟁포로 1천명 중에 북한군 포로 2명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27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포로 교환 명단에서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붙잡힌 북한군 출신 리모 씨와 백모 씨가 제외된 것을 우크라이나 소식통으로부터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 의원은 "또 다른 소식통은 '이번 포로 교환에서 이들이 제외된 것은 한국 정부의 요청에 대해 우크라이나 정부가 화답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라고 전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지난 1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 협상에서 1천명씩의 포로 교환에 합의했고, 지난 23일부터 사흘간 매일 300여명의 포로를 교환했다.
리씨와 백씨는 러시아에 파병됐다가 지난 1월 우크라이나 군에 생포됐다.
유 의원은 지난 2월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이들을 면담했고, 이들 중 리씨가 "한국으로 꼭 가고 싶다"며 귀순 의사를 밝혔다고 공개한 바 있다.
한국행을 원한 리씨가 북한 송환을 걱정하는 듯한 육성도 이날 공개됐다.
유 의원이 공개한 녹취에서 리씨는 "아마 지금 내가 포로 신세가 돼서 교환을 해가지고 조국에 간다고 하면 부모는 벌써 없을 거예요. 그거 생각하면 하루 종일 기운이 없어요"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북한으로 송환될 경우 자신과 자기 부모님의 비극적 최후를 이미 예감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들이 대한민국 자유의 땅을 밟을 수 있도록 끝까지 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앞서 외교부는 북한군 포로들이 한국행을 요청할 경우 전원 수용한다는 기본원칙을 밝히고, 우크라이나 측에도 이 같은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