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애 이어 압박도 "단일화 안 하면 보수 유권자가 '투표 단일화'"
이준석 거듭 독자 노선 표명..."김문수가 사퇴하면 돼"
한동훈이 외친 "권성동 사퇴" 단일화 엮여 흐지부지
이준석 거듭 독자 노선 표명..."김문수가 사퇴하면 돼"
한동훈이 외친 "권성동 사퇴" 단일화 엮여 흐지부지
19일 김문수(왼쪽)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약자와 동행하는 서울 토론회'에 참석해 내빈들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26일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를 향해 단일화를 압박하며 채찍을 꺼냈다.
"이준석 찍으면 이재명이 된다"
며 급기야 '사표론'을 주장했다. 반면 이준석 후보는 "단일화 가능성은 0%"라고 거듭 철벽을 쳤다. 사전투표(29, 30일) 이후에는 단일화 효과가 반감되는 만큼, 이제 시간은 28일까지 고작 이틀 남았다. 구애 이어 압박도 "단일화 안 하면 보수 유권자가 '투표 단일화'"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이준석 후보를 향해 "단일화 전제조건을 제시해 달라.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준석 후보의 선택에 맡기며 사실상 '백지수표'를 위임한 셈이다.
동시에 압박 수위를 높였다. 김기현 의원(5선)은 “결국
보수 성향 유권자들은 사표를 방지하고 당선될 사람을 밀어줘야 한다는 현명한 선택으로 ‘투표 단일화’를 해주실 것
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후보가 단일화에 응하지 않더라도 이준석 후보 지지층이 투표소에서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택할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로 풀이된다. 아울러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MBC라디오에서 “이준석 후보를 찍으면 이재명 후보가 (당선)된다”고 몰아붙였다."아쉬울 것 없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른바 '자강론'이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단일화) 필요성은 크지만
이준석 후보가 결단할 사항에 대해 우리가 너무 목매거나 초점을 맞추는 것은 적절치 않다”
고 거리를 뒀다. 김 후보는 이날 경기 안성 유세 직후 취재진과 만나 ‘단일화 없이 이길 수 있는 방안이 있느냐’는 질문에 “국민 민심이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말을 아꼈다. 이준석 후보를 끌어안기 위해 '40대 총리론'을 띄웠던 이전과는 온도 차가 있다. 2022년 3월 3일 윤석열(왼쪽) 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국회 소통관에서 단일화 합의 기자회견을 마친 뒤 맞잡은 손을 번쩍 들고 있다.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준석 거듭 독자 노선 표명..."김문수가 사퇴하면 돼"
반면 이준석 후보는 요지부동이었다.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김 후보가 사퇴하고 투표용지에 이준석과 이재명의 대결로 간소화시키는 것이 유일한 방법”
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철근 개혁신당 사무총장은 "그런 말씀 하지 말라"며 김 위원장의 단일화 조건 제시 요청을 일축했다. 그럼에도 김 후보 측 기대감은 여전하다. 이준석 후보와 지지율을 합하면 이재명 후보와 해볼 만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MBN·매일경제 의뢰로 넥스트리서치가 실시한 조사에서 후보 지지율은 이재명 44.9%, 김문수 35.9%, 이준석 9.6%로 집계됐다. 김문수·이준석 후보를 더하면 45.5%다.
국민의힘은 2022년 대선 당시
완주를 외치던 안철수 후보가 사전투표 직전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에 전격 합의한 기억이 선명하다.
서지영 선대위 홍보기획단장은 SBS라디오에서 “결정적인 분기점은 (사전투표 전날인) 28일 아침까지”라며 “그때까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이와 달리 천하람 개혁신당 상임선대위원장은 CBS라디오에 나와 '안철수 사례'와 관련 "단일화해서 (윤 전 대통령에게) 뒤통수 맞은 대표 주자"
라고 깎아내렸다.지난달 10일 한동훈(왼쪽) 전 국민의힘 대표가 국회에서 권성동 원내대표를 예방하고 있다. 뉴시스
한동훈이 외친 "권성동 사퇴" 단일화 엮여 흐지부지
다만 한동훈 전 대표가 띄운 '친윤석열계 청산'이 단일화 문제와 엮여 꼬인 상태다. 한 전 대표는 중도 외연 확장을 위해 친윤계 권 원내대표의 사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24일 김 후보에게 건의했다고 한다. 이에 "단일화를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해석이 나오자 이준석 후보는 TV조선에서 "그분이 사퇴하면 상태가 나아진다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지적했다. 김 후보도 한 전 대표 건의에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져 '친윤 청산론'은 힘이 빠지는 분위기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23~25일 사흘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6.8%, 95% 신뢰 수준에서 오차범위는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