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본의 쇄빙선 건조 기술이 대미 관세 협상의 카드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러시아 견제를 위해 미국이 북극항로 개척에 적극적이지만, 쇄빙선을 건조하려면 한국·일본 조선업체와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25일 교토에서 기자들과 만나 “쇄빙선은 일본이 (미국보다) 상당한 기술 우위에 있다”며 “북극항로를 포함해 쇄빙선이 (미·일) 협력의 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쇄빙선은 최근 북극항로 개척 필요성이 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북극항로(약 1만5000㎞)를 이용하면 수에즈운하 경로(2만㎞)보다 운송 비용·시간을 약 30%가량 아낄 수 있어서다. 한국경제인연합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37년까지 미국의 쇄빙선 예상 발주량은 총 10척이다. 보고서를 쓴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유럽~미국 서부 간 북극항로 운항이 늘면 쇄빙선을 추가 발주할 수 있다”라며 “한국은 상선용 대형 쇄빙선을 건조해본 거의 유일한 나라라, 연구용 중소형 쇄빙선을 지어온 일본보다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고 말했다.
쇄빙선은 선체 앞부분에서 얼음을 깨며 나아가는 일반 쇄빙선과 선미에 쇄빙 추진기를 장착해 해빙을 양방향으로 뚫고 항해할 수 있는 아크(Arc)-7급 이상 쇄빙선으로 나뉜다. 한국은 상선용으로 쓰이는 아크-7급 대형 쇄빙선 건조 경험이 많다. 삼성중공업이 2005년 세계 최초 양방향 쇄빙선을 수주했고, 2019년에도 러시아 국영조선소 의뢰로 아크-7급 쇄빙 LNG운반선 15척을 설계·부분건조했다. 한화오션도 2014년 러시아 LNG야말프로젝트로 15척의 아크-7급 쇄빙 LNG선을 수주·인도했고, 현재도 6척을 짓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25일 교토에서 기자들과 만나 “쇄빙선은 일본이 (미국보다) 상당한 기술 우위에 있다”며 “북극항로를 포함해 쇄빙선이 (미·일) 협력의 한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쇄빙선은 최근 북극항로 개척 필요성이 커지면서 주목받고 있다. 북극항로(약 1만5000㎞)를 이용하면 수에즈운하 경로(2만㎞)보다 운송 비용·시간을 약 30%가량 아낄 수 있어서다. 한국경제인연합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부터 2037년까지 미국의 쇄빙선 예상 발주량은 총 10척이다. 보고서를 쓴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는 “유럽~미국 서부 간 북극항로 운항이 늘면 쇄빙선을 추가 발주할 수 있다”라며 “한국은 상선용 대형 쇄빙선을 건조해본 거의 유일한 나라라, 연구용 중소형 쇄빙선을 지어온 일본보다 기술적으로 앞서 있다”고 말했다.
쇄빙선은 선체 앞부분에서 얼음을 깨며 나아가는 일반 쇄빙선과 선미에 쇄빙 추진기를 장착해 해빙을 양방향으로 뚫고 항해할 수 있는 아크(Arc)-7급 이상 쇄빙선으로 나뉜다. 한국은 상선용으로 쓰이는 아크-7급 대형 쇄빙선 건조 경험이 많다. 삼성중공업이 2005년 세계 최초 양방향 쇄빙선을 수주했고, 2019년에도 러시아 국영조선소 의뢰로 아크-7급 쇄빙 LNG운반선 15척을 설계·부분건조했다. 한화오션도 2014년 러시아 LNG야말프로젝트로 15척의 아크-7급 쇄빙 LNG선을 수주·인도했고, 현재도 6척을 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