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당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청장과 비화폰으로 통화한 기록이 원격 삭제된 정황이 포착돼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경찰 특별수사단 관계자는 정례 브리핑에서 경호처로부터 임의제출받은 비화폰 서버 기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정황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일반 휴대전화와 비교하면 초기화와 같은 느낌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비화폰을 관리하던 경호처가 삭제한 것이며, 지시 주체는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찰이 밝힌 원격 삭제 시점은 비상계엄 사태 사흘 뒤인 12월 6일입니다.
이날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국회에 나와, 계엄선포 당일 윤 전 대통령의 지시를 증언한 날입니다.
[김병기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해 12월 6일)]
"'봤지?' 비상계엄 발표하는 것 봤습니다. '이번 기회에 다 잡아들여. 싹 다 정리해.'"
경찰은 관련 기록을 복구하기 위한 포렌식을 진행하며 증거인멸 혐의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다만 삭제의 지시 주체 등 구체적인 피의자를 특정한 단계는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경찰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도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최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CCTV 영상을 확보했는데, 이 두 사람이 경찰에 나와 했던 진술 등이 영상 내용과 배치되는 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또 같은 의혹과 관련해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도 오늘 소환해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