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ㆍ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TV 토론을 잘한 후보’를 묻는 말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답한 비율은 36%였다.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29%,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18%,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7%였다.
지지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71%가 “이재명 후보가 토론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김문수·이준석 후보라 답한 비율은 2%·6%에 그쳤다. 반면에 국민의힘 지지자 중에서는 46%가 김문수 후보라고 답했지만 이준석 후보라고 답한 비율도 43%에 달했다. 이재명 후보는 2%였다.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93%가 이준석 후보를 꼽았다.
지지 후보별로는 이재명 후보 지지자의 69%가 이재명 후보를 ‘토론 잘한 후보’로 답했다. 이준석 후보 지지자의 89%도 이준석 후보라고 답했다. 반면에 김문수 후보 지지자의 49%는 김 후보를 '토론 잘한 후보'로 꼽았지만, 41%는 이준석 후보가 토론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 수석은 “특정 정당 혹은 후보 지지자들이 다른 후보가 잘했다는 평가를 잘 안 하는데 국민의힘 지지층의 43%, 김문수 지지층의 41%가 이준석을 잘했다고 한 것은 이 후보가 TV 토론의 효과를 톡톡히 본 것”이라고 평가했다.
“지지 후보가 없다”고 밝힌 부동층(浮動層)에서도 이준석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40%를 차지한 반면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비율은 11%ㆍ0%였다.
세대별로 보면 20대(19~29세) 58%, 30대 45%가 이준석 후보가 잘했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40대 52%, 50대 48%는 이재명 후보가 잘했다고 답했다.
TV 토론의 영향으로 “지지하던 후보를 바꿨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 “지지 후보가 없었으나 토론을 보고 생겼다”는 응답자는 7%에 그쳤다. 55%가 “지지하던 후보를 더욱 지지하게 됐다”고 했고, 35%는 “아무 영향이 없었다”고 답했다.
특히 이준석 후보 지지자 중 27%가 “지지하던 후보가 없었지만 TV 토론 결과 이준석 후보를 지지하게 됐다”고 답했다. 반면에 이재명·김문수 후보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 중 TV 토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답은 각각 4%ㆍ8%에 그쳤다. 허 수석은 “이번 조사에서 집계된 이준석 후보 지지율 11%의 약 3분의 1은 TV 토론을 통해 들어왔다는 뜻”이라며 “세대별 응답과 함께 보면 이 후보가 TV 토론으로 2030세대의 지지를 끌고 왔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 대선 후보자 TV 토론회는 지난 18일(1차)과 23일(2차) 열렸다. 27일 마지막 토론회가 예정돼 있다. 이번 조사 기간(지난 24~25일) 직전 열린 제2차 토론을 시청했거나, 기사 등으로 내용을 접했다는 응답자는 78%였지만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 실장은 “여론조사에 응답했다는 건 정치 고관여층이라는 뜻이라 전체 국민의 관심도보다 높게 나타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 24일~25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24.4%(4119명 중 1004명)이며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
지지 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71%가 “이재명 후보가 토론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김문수·이준석 후보라 답한 비율은 2%·6%에 그쳤다. 반면에 국민의힘 지지자 중에서는 46%가 김문수 후보라고 답했지만 이준석 후보라고 답한 비율도 43%에 달했다. 이재명 후보는 2%였다. 개혁신당 지지층에선 93%가 이준석 후보를 꼽았다.
지지 후보별로는 이재명 후보 지지자의 69%가 이재명 후보를 ‘토론 잘한 후보’로 답했다. 이준석 후보 지지자의 89%도 이준석 후보라고 답했다. 반면에 김문수 후보 지지자의 49%는 김 후보를 '토론 잘한 후보'로 꼽았지만, 41%는 이준석 후보가 토론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여론 수석은 “특정 정당 혹은 후보 지지자들이 다른 후보가 잘했다는 평가를 잘 안 하는데 국민의힘 지지층의 43%, 김문수 지지층의 41%가 이준석을 잘했다고 한 것은 이 후보가 TV 토론의 효과를 톡톡히 본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영옥 기자
“지지 후보가 없다”고 밝힌 부동층(浮動層)에서도 이준석 후보가 잘했다는 응답이 40%를 차지한 반면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비율은 11%ㆍ0%였다.
세대별로 보면 20대(19~29세) 58%, 30대 45%가 이준석 후보가 잘했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40대 52%, 50대 48%는 이재명 후보가 잘했다고 답했다.
TV 토론의 영향으로 “지지하던 후보를 바꿨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2%, “지지 후보가 없었으나 토론을 보고 생겼다”는 응답자는 7%에 그쳤다. 55%가 “지지하던 후보를 더욱 지지하게 됐다”고 했고, 35%는 “아무 영향이 없었다”고 답했다.
특히 이준석 후보 지지자 중 27%가 “지지하던 후보가 없었지만 TV 토론 결과 이준석 후보를 지지하게 됐다”고 답했다. 반면에 이재명·김문수 후보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 중 TV 토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답은 각각 4%ㆍ8%에 그쳤다. 허 수석은 “이번 조사에서 집계된 이준석 후보 지지율 11%의 약 3분의 1은 TV 토론을 통해 들어왔다는 뜻”이라며 “세대별 응답과 함께 보면 이 후보가 TV 토론으로 2030세대의 지지를 끌고 왔다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한 대선 후보자 TV 토론회는 지난 18일(1차)과 23일(2차) 열렸다. 27일 마지막 토론회가 예정돼 있다. 이번 조사 기간(지난 24~25일) 직전 열린 제2차 토론을 시청했거나, 기사 등으로 내용을 접했다는 응답자는 78%였지만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 실장은 “여론조사에 응답했다는 건 정치 고관여층이라는 뜻이라 전체 국민의 관심도보다 높게 나타났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어떻게 진행했나
이번 조사는 중앙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5월 24일~25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가상번호) 면접 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24.4%(4119명 중 1004명)이며 4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을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 참조.